2009년 신종플루엔 팬데믹 선언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위험 수준을 '높음'에서 '매우 높음'으로 올렸지만 팬데믹을 선언하지는 않았다. 팬데믹은 감염병이 한 나라를 넘어 전 세계로 전파돼 지구상의 모든 인류가 노출될 위험이 있을 때를 가리키는 용어다. WHO는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신종플루) 대유행 때 팬데믹을 선언했다.
국내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지난해 12월 31일 중국 우한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두 달 만에 전 세계 6대주 50여 개국으로 확산된 만큼 팬데믹은 시간 문제인 것으로 보고 있다. 한 감염내과 전문의는 "모든 대륙에서 확진자가 나오고 있는 점, 여러 국가의 지역사회에서 유행이 확인되는 점 등 팬데믹 조건을 충족한다"면서 "특히 백신과 치료제가 없다는 점까지 고려하면 완벽하게 팬데믹을 일으킬 수 있는 조건을 갖췄다"고 말했다.
또 다른 감염내과 전문의도 "신종 감염병 확산 3단계(국내→국가 간→대륙 간 전파)로 봤을 때 아시아뿐 아니라 유럽, 북남미 대륙 등 여러 대륙에서 환자가 발생한 코로나19는 팬데믹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대한예방의학회도 팬데믹 수순을 바라보고 있다. 대한예방의학회 관계자는 "코로나19발 팬데믹은 당연히 올 것"이라며 "신종 플루처럼 전 세계를 휩쓸고 가는 것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신종 플루 때와는 달리 치료제(항바이러스제)와 백신이 없다"며 "개인위생에 신경쓰고 사람과 사람 간의 접촉을 피하는 것 밖에 방법이 없다"고 덧붙였다.
▶ 한국경제 '코로나19 현황' 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kyung.com/coronavirus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