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물관리 방안 상반기 확정…수돗물 공급 실시간 관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노후 상수도 정비 2024년까지 완료
정부가 낙동강 유역의 상수원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을 올해 상반기 중으로 내놓기로 했다.
제2의 '붉은 수돗물' 사태를 막기 위해 수돗물 공급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수열(水熱) 에너지·수상 태양광 등 물 분야 친환경 에너지를 육성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환경부는 이러한 내용이 포함된 2020년도 물관리 분야 업무 계획을 4일 공개했다.
유역별 통합 물관리를 위해 환경부는 대구·구미 사이에 취수원 이전 갈등을 빚고 있는 낙동강 유역의 수질 개선·물 배분 대안을 포함한 낙동강 통합 물관리 방안을 올해 상반기 확정하고 내년 예산과 법정 계획에 반영해 추진하기로 했다.
영산강 유역에서는 수질 개선, 섬진강에는 염해 피해 저감 방안을 담아 통합 물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작업에 착수한다.
아울러 올해 상반기 낙동강 하굿둑 3차 개방 실증 실험을 진행해 개방에 따른 농·어업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수질 개선이 시급한 낙동강·금강·영산강 4개 지류의 하수 관로 정비 사업을 추진한다.
물 분쟁이 발생하면 소송 전 대통령 소속 국가물관리위원회의 분쟁 조정 절차를 필수적으로 거치도록 제도화하는 등 조정 기능도 활성화한다.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해 취수원 수질을 예측하고 수돗물 공급 전 과정을 감시·관리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2028년까지 추진하기로 한 노후 상수도 정비사업에도 국비를 조기에 투입해 종료 시점을 2024년으로 앞당긴다.
아울러 식수 사고가 3일 이상 지속하면 유역·지방환경청장을 현장 수습 조정관으로 파견해 사고 수습, 주민 지원을 총괄하도록 하면서 수도 사고에 대한 중앙·지방의 협조 체계도 구축한다.
먹는 샘물 수질 정보도 인터넷으로 실시간 공개한다.
환경부는 또 급속한 개발 과정에서 훼손된 수생태계(水生態系) 건강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국가 훼손하천 목록', '멸종 위기 수생 생물 복원 종합계획'도 수립하기로 했다
홍수·도시 침수에 대비하기 위해 상습 침수 지역 12곳을 '하수도 정비 중점 관리지역'으로 추가 지정하고 가뭄 대응 강화 차원에서 댐별 가뭄 대응 세부 대처 계획을 마련한다.
수열과 수상 태양광 등 물분야 친환경 에너지 신산업 투자를 늘리고 설비·제품 시장이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천수를 수열 에너지로 활용하면 사용료 면제를 추진하는 등 제도적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하수 찌꺼기를 이용하는 바이오가스 생산 시설도 12곳으로 확대한다.
/연합뉴스
제2의 '붉은 수돗물' 사태를 막기 위해 수돗물 공급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수열(水熱) 에너지·수상 태양광 등 물 분야 친환경 에너지를 육성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환경부는 이러한 내용이 포함된 2020년도 물관리 분야 업무 계획을 4일 공개했다.
유역별 통합 물관리를 위해 환경부는 대구·구미 사이에 취수원 이전 갈등을 빚고 있는 낙동강 유역의 수질 개선·물 배분 대안을 포함한 낙동강 통합 물관리 방안을 올해 상반기 확정하고 내년 예산과 법정 계획에 반영해 추진하기로 했다.
영산강 유역에서는 수질 개선, 섬진강에는 염해 피해 저감 방안을 담아 통합 물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작업에 착수한다.
아울러 올해 상반기 낙동강 하굿둑 3차 개방 실증 실험을 진행해 개방에 따른 농·어업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수질 개선이 시급한 낙동강·금강·영산강 4개 지류의 하수 관로 정비 사업을 추진한다.
물 분쟁이 발생하면 소송 전 대통령 소속 국가물관리위원회의 분쟁 조정 절차를 필수적으로 거치도록 제도화하는 등 조정 기능도 활성화한다.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해 취수원 수질을 예측하고 수돗물 공급 전 과정을 감시·관리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2028년까지 추진하기로 한 노후 상수도 정비사업에도 국비를 조기에 투입해 종료 시점을 2024년으로 앞당긴다.
아울러 식수 사고가 3일 이상 지속하면 유역·지방환경청장을 현장 수습 조정관으로 파견해 사고 수습, 주민 지원을 총괄하도록 하면서 수도 사고에 대한 중앙·지방의 협조 체계도 구축한다.
먹는 샘물 수질 정보도 인터넷으로 실시간 공개한다.
환경부는 또 급속한 개발 과정에서 훼손된 수생태계(水生態系) 건강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국가 훼손하천 목록', '멸종 위기 수생 생물 복원 종합계획'도 수립하기로 했다
홍수·도시 침수에 대비하기 위해 상습 침수 지역 12곳을 '하수도 정비 중점 관리지역'으로 추가 지정하고 가뭄 대응 강화 차원에서 댐별 가뭄 대응 세부 대처 계획을 마련한다.
수열과 수상 태양광 등 물분야 친환경 에너지 신산업 투자를 늘리고 설비·제품 시장이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천수를 수열 에너지로 활용하면 사용료 면제를 추진하는 등 제도적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하수 찌꺼기를 이용하는 바이오가스 생산 시설도 12곳으로 확대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