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프랑스·일본에서 속도내는 연금 개혁, 한국은 손 놓을 건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연금개혁안을 관철시켰다. 프랑스 의회는 직군별로 다른 연금체계를 통일하고 은퇴 연령을 늦추는 것을 골자로 한 연금개혁안을 지난 3일 통과시켰다. 일본에서도 연금 수급연령을 늦추는 내용의 연금개혁안이 4일 각료회의를 통과했다. 65세부터 시작하는 연금 수급 연령을 본인이 희망하면 75세까지 늦출 수 있게 했다.
많은 나라에서 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연금제도 손질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연금재정 악화가 매우 심각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대다수 국가의 연금 개혁이 ‘더 내고 덜 받거나 더 늦게 받는’ 식으로 이뤄지는 것은 연금 고갈을 막기 위한 고육책이다. 연금 개혁에 거센 저항이 일고 세대 간, 혹은 직종 간 갈등이 커지는 것은 그래서다. 프랑스에서 대대적인 반대시위가 벌어진 것도 “일은 더하고 연금은 덜 받게 된다”는 이유에서였다.
우리나라의 국민연금도 개혁이 시급하기는 마찬가지다. ‘언제 어떻게’가 문제일 뿐, 연금 고갈을 막기 위해서는 ‘더 내고 덜 받는’ 식의 개혁이 불가피하다. 다른 나라에서 그렇듯이 국민연금 가입자들도 반발할 수밖에 없다. 중요한 것은 이런 ‘인기 없지만 꼭 필요한’ 개혁을 누군가는 ‘총대’를 메고 밀어붙여야 한다는 점이다. 마크롱은 연금 개혁에 대한 저항이 극심하자 자신이 퇴임 후 받을 월 1만9500유로(약 2500만원)의 연금을 포기하겠다고 선언하면서까지 개혁을 밀어붙였다.
국민연금 개편 논의는 수면 아래로 내려갔다. 보건복지부가 2018년 ‘더 내고 더 받는’ 개편안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가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며 퇴짜를 맞았다. 그러자 정부는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에 이 문제를 맡기더니 위원회가 제출한 복수의 개혁안을 국회에 또 넘겨버렸다. 총선을 앞둔 국회도 손을 놓고 있다. 대통령, 장관, 국회 모두 정치적 이해타산을 따지며 핑퐁을 치는 사이 국민의 노후는 점점 불확실해지고 있다.
많은 나라에서 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연금제도 손질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연금재정 악화가 매우 심각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대다수 국가의 연금 개혁이 ‘더 내고 덜 받거나 더 늦게 받는’ 식으로 이뤄지는 것은 연금 고갈을 막기 위한 고육책이다. 연금 개혁에 거센 저항이 일고 세대 간, 혹은 직종 간 갈등이 커지는 것은 그래서다. 프랑스에서 대대적인 반대시위가 벌어진 것도 “일은 더하고 연금은 덜 받게 된다”는 이유에서였다.
우리나라의 국민연금도 개혁이 시급하기는 마찬가지다. ‘언제 어떻게’가 문제일 뿐, 연금 고갈을 막기 위해서는 ‘더 내고 덜 받는’ 식의 개혁이 불가피하다. 다른 나라에서 그렇듯이 국민연금 가입자들도 반발할 수밖에 없다. 중요한 것은 이런 ‘인기 없지만 꼭 필요한’ 개혁을 누군가는 ‘총대’를 메고 밀어붙여야 한다는 점이다. 마크롱은 연금 개혁에 대한 저항이 극심하자 자신이 퇴임 후 받을 월 1만9500유로(약 2500만원)의 연금을 포기하겠다고 선언하면서까지 개혁을 밀어붙였다.
국민연금 개편 논의는 수면 아래로 내려갔다. 보건복지부가 2018년 ‘더 내고 더 받는’ 개편안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가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며 퇴짜를 맞았다. 그러자 정부는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에 이 문제를 맡기더니 위원회가 제출한 복수의 개혁안을 국회에 또 넘겨버렸다. 총선을 앞둔 국회도 손을 놓고 있다. 대통령, 장관, 국회 모두 정치적 이해타산을 따지며 핑퐁을 치는 사이 국민의 노후는 점점 불확실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