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도 느닷없이 한국인 입국 금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 절반이 '코리아 빗장'
호주가 5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관련해 한국발(發) 입국을 금지하면서 ‘한국 차단’에 나선 국가가 99곳으로 늘어났다. 유엔 회원국(193개국)의 절반에 달하는 규모로 조만간 100개국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외교부에 따르면 이날 저녁 7시 기준 한국 방문자의 입국을 금지한 국가·지역은 43곳, 제한은 56곳에 달한다. 한국 일부 지역에서의 입국금지, 방문객에 대한 격리 조치, 한국발 항공기에 대한 검역 강화 및 권고 등 유형도 다양해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 출국했다간 낭패를 볼 정도다.
한국 내 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한국발 방문객에 ‘빗장’을 걸고 있지만 외교부의 노력은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실정이다. 외교부는 이날 호주가 한국발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한 데 대해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다. 호주는 발표 직전에야 우리 정부에 해당 사실을 통보했다.
이미 코로나19와 관련해 각국에 격리된 한국인 수는 1200여 명에 이른다. 정부는 이날 오전 코로나19로 인해 한국인 276명이 격리돼 있는 베트남에 외교부와 법무부, 경찰청 등 관계기관 소속 12명으로 구성된 신속대응팀을 파견했다. 현지에서 시설 격리 중이거나 새로 베트남에 도착하는 우리 국민에 대한 격리 해제 교섭, 귀국 희망자의 귀국 지원, 애로사항 해소 등 영사 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
외교부는 중국엔 신속대응팀을 파견하지 않기로 했다. “중국 현지 공관에서 관리가 가능하다고 판단했다”는 게 외교부의 설명이다.
하지만 베트남이 한국발 여객기의 하노이·호찌민 공항 착륙을 허가하지 않은 시점이 지난달 29일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대응이 늦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은 한국발 입국 제한을 시행하는 지방정부가 16곳(산둥성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광둥성 푸젠성 하이난성 상하이시 장쑤성 저장성 톈진시 쓰촨성 충칭시 윈난성 산시성 베이징시)에 이른다. 그러나 중국 내 한국 공관은 베이징 주재 대사관과 영사관 8개(홍콩 상하이 칭다오 광저우 선양 청두 시안 우한), 출장소 1개(다롄)뿐이다.
경제계 관계자는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이 세계에서 고립된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외교당국의 보다 선제적인 대응이 아쉽다”고 말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외교부에 따르면 이날 저녁 7시 기준 한국 방문자의 입국을 금지한 국가·지역은 43곳, 제한은 56곳에 달한다. 한국 일부 지역에서의 입국금지, 방문객에 대한 격리 조치, 한국발 항공기에 대한 검역 강화 및 권고 등 유형도 다양해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 출국했다간 낭패를 볼 정도다.
한국 내 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한국발 방문객에 ‘빗장’을 걸고 있지만 외교부의 노력은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실정이다. 외교부는 이날 호주가 한국발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한 데 대해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다. 호주는 발표 직전에야 우리 정부에 해당 사실을 통보했다.
이미 코로나19와 관련해 각국에 격리된 한국인 수는 1200여 명에 이른다. 정부는 이날 오전 코로나19로 인해 한국인 276명이 격리돼 있는 베트남에 외교부와 법무부, 경찰청 등 관계기관 소속 12명으로 구성된 신속대응팀을 파견했다. 현지에서 시설 격리 중이거나 새로 베트남에 도착하는 우리 국민에 대한 격리 해제 교섭, 귀국 희망자의 귀국 지원, 애로사항 해소 등 영사 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
외교부는 중국엔 신속대응팀을 파견하지 않기로 했다. “중국 현지 공관에서 관리가 가능하다고 판단했다”는 게 외교부의 설명이다.
하지만 베트남이 한국발 여객기의 하노이·호찌민 공항 착륙을 허가하지 않은 시점이 지난달 29일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대응이 늦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은 한국발 입국 제한을 시행하는 지방정부가 16곳(산둥성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광둥성 푸젠성 하이난성 상하이시 장쑤성 저장성 톈진시 쓰촨성 충칭시 윈난성 산시성 베이징시)에 이른다. 그러나 중국 내 한국 공관은 베이징 주재 대사관과 영사관 8개(홍콩 상하이 칭다오 광저우 선양 청두 시안 우한), 출장소 1개(다롄)뿐이다.
경제계 관계자는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이 세계에서 고립된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외교당국의 보다 선제적인 대응이 아쉽다”고 말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