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발 입국제한 106곳…한·일 상호 무비자 입국 중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입국 금지는 44곳, 제한은 62곳
외교부 “우리 국민 피해 최소화에 중점”
미국 “당분간 한국 추가조치 없을 것”
외교부 “우리 국민 피해 최소화에 중점”
미국 “당분간 한국 추가조치 없을 것”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계속 급증하는 가운데, 한국에 ‘빗장’을 건 국가가 9일 106곳에 달했다. 한국과 일본의 상호 무비자 입국도 이날부터 중단됐다.
외교부의 9일 오전 9시 기준 집계에 따르면 한국발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나라들은 총 106곳이다. 입국 금지국은 44곳, 제한은 62곳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 “정부가 입국 규제 같은 것을 막아 보려고 백방으로 뛰고 노력했지만 확진자 숫자(에) 한계를 느낀 것은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또 “끊임없이 정부가 입국 규제 조치가 늘어나지 않도록 노력하겠지만, (우리 국민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둬야 하지 않겠나”라고 덧붙였다.
다만 미국은 “한국에 대한 추가 여행제한 조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미국과는 코로나19와 관련해 긴밀한 소통을 계속하고 있다. 이미 추가적인 여행 제한은 당분간 검토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다. 또 “미국은 우리의 방역 노력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신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과 일본은 코로나19 대응을 이유로 9일 0시부터 양국 간 사증(비자) 면제를 중단했다. 양국은 2006년 3월부터 90일간의 단기체류시 비자를 서로 면제해 왔다. 해당 제도 시행이 14년 만에 잠정 중지된 것이다. 일본 측에선 한국에서 일본으로 입국하는 사람에 대해 2주 동안 지정 장소에 대기하도록 했다.
하지만 일본엔 ‘14일 격리’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다. 검역법에 해당 조치를 뒷받침할 조항이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주무부처인 후생노동성과 외무성에서도 상당히 당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국 내에서조차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나치게 무리한 처사를 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제징용 배상판결 문제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나) 연장 여부 등 민감한 사안이 얽힌 가운데 상호 입국제한 조치까지 이어지면서 한·일 관계는 더욱 얼어붙을 것으로 우려된다. 한·일 민간 교류엔 더욱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방한 일본인은 327만여명, 방일 한국인은 558만여명에 이른다. 일본 여행 또는 출장 취소가 속출하면서 피해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늘길도 막혔다. 대한항공은 일본 12개 도시 17개 노선 중 오는 28일까지 인천-나리타 노선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의 운항을 전면 중단했다. 아시아나항공,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은 일본 노선이 완전히 끊어졌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외교부의 9일 오전 9시 기준 집계에 따르면 한국발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나라들은 총 106곳이다. 입국 금지국은 44곳, 제한은 62곳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 “정부가 입국 규제 같은 것을 막아 보려고 백방으로 뛰고 노력했지만 확진자 숫자(에) 한계를 느낀 것은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또 “끊임없이 정부가 입국 규제 조치가 늘어나지 않도록 노력하겠지만, (우리 국민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둬야 하지 않겠나”라고 덧붙였다.
다만 미국은 “한국에 대한 추가 여행제한 조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미국과는 코로나19와 관련해 긴밀한 소통을 계속하고 있다. 이미 추가적인 여행 제한은 당분간 검토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다. 또 “미국은 우리의 방역 노력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신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과 일본은 코로나19 대응을 이유로 9일 0시부터 양국 간 사증(비자) 면제를 중단했다. 양국은 2006년 3월부터 90일간의 단기체류시 비자를 서로 면제해 왔다. 해당 제도 시행이 14년 만에 잠정 중지된 것이다. 일본 측에선 한국에서 일본으로 입국하는 사람에 대해 2주 동안 지정 장소에 대기하도록 했다.
하지만 일본엔 ‘14일 격리’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다. 검역법에 해당 조치를 뒷받침할 조항이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주무부처인 후생노동성과 외무성에서도 상당히 당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국 내에서조차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나치게 무리한 처사를 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제징용 배상판결 문제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나) 연장 여부 등 민감한 사안이 얽힌 가운데 상호 입국제한 조치까지 이어지면서 한·일 관계는 더욱 얼어붙을 것으로 우려된다. 한·일 민간 교류엔 더욱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방한 일본인은 327만여명, 방일 한국인은 558만여명에 이른다. 일본 여행 또는 출장 취소가 속출하면서 피해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늘길도 막혔다. 대한항공은 일본 12개 도시 17개 노선 중 오는 28일까지 인천-나리타 노선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의 운항을 전면 중단했다. 아시아나항공,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은 일본 노선이 완전히 끊어졌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