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족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해 중국은 5년 전부터 원격의료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휴대폰 화상통화와 채팅 기능을 이용해 의사와 문진을 하고 동일 환자와의 진료기록을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의사와 15~20분 정도 문진을 하고 회당 약 20위안을 낸다. 혈액검사, 엑스레이 촬영 등 기본 검사조차 없지만 의료서비스 공급 부족 탓에 이마저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 같은 인터넷 원격의료 시장의 선두기업인 핑안굿닥터는 하루 70만 건의 온라인 문진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 중국 전체 하루 외래 환자 문진 건수(2400만 건)의 3% 규모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8월 의료보험 지원, 온라인 처방전 합법화 등 두 가지 의료개혁을 단행했다. 환자들은 그동안 온라인 문진에 20위안씩 건별로 돈을 내거나 사적 보험 가입을 통해서만 의료 보장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공적의료보험에서 오프라인 병원과 동일한 보험 수가를 적용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온라인 약국도 전문의약품까지 취급할 수 있게 됐다.
중국 원격 의료 시장에서 알리바바 텐센트 등 인터넷 강자들과 사보험 시장 1위인 핑안보험의 자회사들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시장 초기에는 춘위와 같은 벤처 기업들이 인기를 끌었지만 시장이 커질수록 대기업인 핑안굿닥터(핑안보험), 알리헬스(알리바바), 위닥터(텐센트) 등이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이 가운데 핑안굿닥터는 보험업계 1위인 모회사 핑안보험과 함께 시너지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업계 최고의 온라인 진료 데이터베이스도 보유하게 됐다. 이 같은 규모의 경제를 바탕으로 업계에선 유일하게 1000여 명의 의사를 직접 고용해 사업을 펼치고 있다. 알리헬스는 알리바바의 지원을 받아 온라인 의약품 상거래에 집중하고 있다. 즉 알리바바 티몰에서 의약품을 구매하면 알리헬스 매출로 잡힌다. 알리헬스와 위닥터는 핑안굿닥터와 달리 의사와 환자를 연계하는 플랫폼만 제공하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3/AA.21710055.1.jpg)
우건 < JK캐피탈 매니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