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70% "한국인 입국제한으로 수출 조건 악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소기업중앙회, 전국 수출 중소기업 312개 긴급 조사
해외전시회 취소·현지 영업 위축·국산 이미지 하락으로 수출 감소 우려
해외전시회 취소·현지 영업 위축·국산 이미지 하락으로 수출 감소 우려
국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해외 국가들의 한국인 입국제한 조치에 대해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은 수출이 악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전국의 수출 중소기업 312개사를 대상으로 긴급 실시한 ‘코로나19 확산 및 입국제한 관련 수출 중소기업 영향 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중소기업 10곳 중 7곳(70.8%)은 수출이 악화될 것이라고 답했다. 일본에 대한 수출영향(81.8%)이 가장 클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중국(78.2%), 베트남(71.9%), 미국(63.8%) 순이다.
수출 중소기업들은 한국인 입국제한 조치로 예상되는 피해(복수응답)에 대해 ‘해외전시회 취소 등으로 수주기회 축소’(73.8%), ‘입국금지로 해당 국가 내 영업활동 제한’(62%)을 대거 꼽았다. ‘부품 및 원자재 수급 애로로 인한 계약 취소’(18.6%), ‘한국산 제품의 이미지 하락에 따른 수출 감소’(15.4%)가 뒤를 이었다.
응답한 중소기업의 75%는 코로나19로 작년 대비 수출액이 30% 이내에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해외 국가들의 한국인 입국제한이 6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중소기업 10곳 중 8곳(80.1%)은 버티기 힘들 것이라고 답했다.
교역 조건이 악화된 데 따른 기업의 대응책(복수응답)으로는 ‘기존 거래처 관리강화’(44.2%), ‘온라인 등 비대면 마케팅 강화’(32.7%), ‘대체 시장 발굴’(26.9%), ‘별도 대응방안 없음’(18.3%), ‘임금 삭감, 무급 휴직 등 긴축 경영’(17.3%), ‘폐업 및 구조조정’(6.4%) 순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중점 지원 과제(복수응답)로는 ‘수출 피해 기업 우대 금융 지원(42.9%), ‘관세 납부유예 등 조세 혜택’(37.8%), ‘입국제한 해제를 위한 정부 외교대응 강화’(33.7%), ‘입국제한으로 납기지연, 계약취소 등에 따른 수출입분쟁 비용 지원’(20.8%), ‘온라인 수출 강화 등 비대면 마케팅 지원사업 확대’(17.6%) 등을 요청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전국의 수출 중소기업 312개사를 대상으로 긴급 실시한 ‘코로나19 확산 및 입국제한 관련 수출 중소기업 영향 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중소기업 10곳 중 7곳(70.8%)은 수출이 악화될 것이라고 답했다. 일본에 대한 수출영향(81.8%)이 가장 클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중국(78.2%), 베트남(71.9%), 미국(63.8%) 순이다.
수출 중소기업들은 한국인 입국제한 조치로 예상되는 피해(복수응답)에 대해 ‘해외전시회 취소 등으로 수주기회 축소’(73.8%), ‘입국금지로 해당 국가 내 영업활동 제한’(62%)을 대거 꼽았다. ‘부품 및 원자재 수급 애로로 인한 계약 취소’(18.6%), ‘한국산 제품의 이미지 하락에 따른 수출 감소’(15.4%)가 뒤를 이었다.
응답한 중소기업의 75%는 코로나19로 작년 대비 수출액이 30% 이내에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해외 국가들의 한국인 입국제한이 6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중소기업 10곳 중 8곳(80.1%)은 버티기 힘들 것이라고 답했다.
교역 조건이 악화된 데 따른 기업의 대응책(복수응답)으로는 ‘기존 거래처 관리강화’(44.2%), ‘온라인 등 비대면 마케팅 강화’(32.7%), ‘대체 시장 발굴’(26.9%), ‘별도 대응방안 없음’(18.3%), ‘임금 삭감, 무급 휴직 등 긴축 경영’(17.3%), ‘폐업 및 구조조정’(6.4%) 순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중점 지원 과제(복수응답)로는 ‘수출 피해 기업 우대 금융 지원(42.9%), ‘관세 납부유예 등 조세 혜택’(37.8%), ‘입국제한 해제를 위한 정부 외교대응 강화’(33.7%), ‘입국제한으로 납기지연, 계약취소 등에 따른 수출입분쟁 비용 지원’(20.8%), ‘온라인 수출 강화 등 비대면 마케팅 지원사업 확대’(17.6%) 등을 요청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