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연저점 전망치 1800까지 낮아져…"다음주 FOMC가 중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투자증권, 연저점 1800 제시
"FOMC 금리인하 만으론 역부족"
"FOMC 금리인하 만으론 역부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불안에 국내 증권사들이 잇따라 코스피지수 저점 전망을 낮추고 있다. 반등을 위해서는 우선 다음 주 예정된 미 연방공개시장원회(FOMC)에서의 조치가 중요하다는 분석이다.
한국투자증권은 12일 코스피지수의 연간 전망치를 1800~2200으로 낮췄다. 기존에는 코스피 기업들의 올해 자기자본이익률(ROE)를 8%로 봤으나, 코로나19로 타격이 불가피해졌다는 것이다. 1800~2200은 ROE 7%를 가정한 수치다.
박소연 연구원은 "만약 이번 사태가 신용위험을 야기하는 수준까지 확산된다면 2020년 한국 시장의 ROE는 2008년과 2019년 수준이 6%까지 낮아진다"며 "코스피 역시 1700선 수준의 하락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만 코로나19 사태의 점진적 정상화, 각국 중앙은행의 자산매입 등 추가 경기부양책 발표, 유가 하락으로 인한 소비진작 효과 등이 나타난다면 현 수준에서 극단적 하락을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당장 다음 주 FOMC가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만약 금리인하 조치만이 시행된다면 시장은 추가 급락할 것으로 봤다. 이번 사태의 본질은 기업들이 돈을 못 버는 현금흐름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코로나19가 종식될 때까지 버틸 수 있는 돈을 직접적으로 주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채권 매입 확대 등을 기대했다.
전날 KB증권도 코스피의 연저점 전망치를 1850으로 낮췄다.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로나19 확산에 국제유가 급락이 더해지면서 올 상반기 미국과 유럽, 일본의 일시적인 기술적 침체 위험이 높아졌다"며 "경제활동이 멈춤에 따라 현금흐름이 막힌 기업들의 단기 신용위험이 급격히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중국과 한국의 사례를 감안할 때 유럽과 미국의 전염병 확산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충격의 정점은 다음 달 형성될 것으로 봤다.
이어 "전세계 중앙은행과 정부 정책의 핵심은 상반기까지 신용 공급을 통해 현금흐름이 취약해진 필수기업들의 디폴트 위험을 차단하는 데 있다"며 "4월까지는 6개월 후를 바라보고 분할매수에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했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
한국투자증권은 12일 코스피지수의 연간 전망치를 1800~2200으로 낮췄다. 기존에는 코스피 기업들의 올해 자기자본이익률(ROE)를 8%로 봤으나, 코로나19로 타격이 불가피해졌다는 것이다. 1800~2200은 ROE 7%를 가정한 수치다.
박소연 연구원은 "만약 이번 사태가 신용위험을 야기하는 수준까지 확산된다면 2020년 한국 시장의 ROE는 2008년과 2019년 수준이 6%까지 낮아진다"며 "코스피 역시 1700선 수준의 하락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만 코로나19 사태의 점진적 정상화, 각국 중앙은행의 자산매입 등 추가 경기부양책 발표, 유가 하락으로 인한 소비진작 효과 등이 나타난다면 현 수준에서 극단적 하락을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당장 다음 주 FOMC가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만약 금리인하 조치만이 시행된다면 시장은 추가 급락할 것으로 봤다. 이번 사태의 본질은 기업들이 돈을 못 버는 현금흐름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코로나19가 종식될 때까지 버틸 수 있는 돈을 직접적으로 주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채권 매입 확대 등을 기대했다.
전날 KB증권도 코스피의 연저점 전망치를 1850으로 낮췄다.
신동준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로나19 확산에 국제유가 급락이 더해지면서 올 상반기 미국과 유럽, 일본의 일시적인 기술적 침체 위험이 높아졌다"며 "경제활동이 멈춤에 따라 현금흐름이 막힌 기업들의 단기 신용위험이 급격히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중국과 한국의 사례를 감안할 때 유럽과 미국의 전염병 확산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충격의 정점은 다음 달 형성될 것으로 봤다.
이어 "전세계 중앙은행과 정부 정책의 핵심은 상반기까지 신용 공급을 통해 현금흐름이 취약해진 필수기업들의 디폴트 위험을 차단하는 데 있다"며 "4월까지는 6개월 후를 바라보고 분할매수에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했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