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보균 前 행정안전부 차관 "각국 우수행정사례 공유해 코로나 피해 줄여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미국과 유럽까지 번지면서 공공행정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각국의 공공행정 노하우를 유엔 회원국이 공유하면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사태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습니다.”

지난 9일 유엔거버넌스센터(UNPOG) 제6대 원장에 취임한 심보균 전 행정안전부 차관(59·사진)은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는 데 센터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심 신임 원장은 “공공 및 행정 분야에서 30여 년간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유엔 회원국의 통치 및 행정 관련 발전을 도모하고 우리 정부의 우수한 행정사례를 세계에 확산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인천 송도에 사무국을 둔 유엔거버넌스센터는 2006년 행정자치부와 유엔이 협의해 설립한 기구다. 각국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행정 우수사례를 찾아 회원국이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심 원장은 “유엔은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하는 인류 공동의 목표인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2015년 채택했다”며 “이 목표를 위해 회원국의 거버넌스 역량을 높이는 게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심 원장은 ‘행정혁신 전도사’로 불린다. 행안부에서 전자정부와 공공빅데이터 분석 관련 업무를 총괄하며 해외에 국내 공공행정 노하우를 전수한 경험이 풍부하다. 행정고시 31회로, 전라북도 행정부지사·지방자치발전위원회 기획단장·행정자치부 기획조정실장 등을 역임했다. 국장 시절 오전 5시에 출근해 운동한 뒤 청사에서 아침 식사를 하고 업무를 시작해 워커홀릭으로 통하기도 했다.

심 원장이 초점을 맞춘 건 한국의 전자정부와 공공데이터 관련 분야다. 그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시행하는 공공데이터 평가에서 3회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유엔 전자정부 평가에서도 3회 연속 1위를 기록하는 등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자정부 발전과정과 성공사례에 관심을 둔 국가가 많다”며 “한국의 축적된 경험과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기반 혁신성장의 국제 흐름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자치단체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도 주요 과제 중 하나다. 심 원장은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 알 수 있듯 지자체의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지방자치를 위한 법·제도와 지방재정 확충 방안 등을 논의할 기회를 가질 계획”이라고 했다.

‘작은 물방울이 모여 큰 바다가 된다’는 게 심 원장의 좌우명이다. 회원국이 힘을 모으면 국제사회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의미다. 그는 “저개발국에 희망의 씨앗을 뿌릴 수 있도록 유엔거버넌스센터의 네트워크를 강화해 국가 간 협력을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