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에 '4대 금융지주' 비상체제 돌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리인하 따른 중장기 '사업전략' 수정 검토
"연체율 상승 등 대비해 비용 절감 집중"
"연체율 상승 등 대비해 비용 절감 집중"

1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신한금융그룹은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될 때까지 종합상황브리핑 회의를 운영한다.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최고재무책임자(CFO), 최고전략책임자(CSO), 최고리스크관리책임자(CRO) 등이 금융시장과 여신 상황을 점검한다.
KB금융은 당장 경영계획 수정보다 주요 지표를 중심으로 한 금융시장을 모니터링에 집중하고 있다. 신용리스크를 세밀하게 분석하고 시장 및 운영리스크를 대비하는 식이다.
우리금융은 그룹 위기관리 콘트롤타워인 비상경영대책위원회를 신설해 금융시장을 모니터링한다. 비상계획(컨틴전시 플랜)과 시나리오별 대응 방안가 검토 된다. 하나금융은 경기침체에 따른 연체율 상승, 충당금 관리 등 비용 절감에 집중하기로 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