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80% "코로나 사태로 연구개발(R&D) 활동에 차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 기업 80% 가량이 연구개발(R&D) 활동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연구소 보유 기업 1490곳(대·중견기업 58개, 중소·벤처기업 1432개)을 대상으로 11~16일 '코로나19 위기상황 관련 기업 R&D 실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발표했다. 조사에 응한 기업의 79.8%(1189개)가 R&D에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 47.7%는 올 초 예정했던 R&D 투자를 줄이겠다고 했고 41.3%는 연구원 채용을 축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R&D 피해는 국내외 협력활동 제약에 따른 차질이 주를 이뤘다. 출장 제한, 세미나 참가 불가 등으로 인해 R&D활동에 차질이 생겼다는 응답이 58.9%에 달했다. 경영환경 악화에 따른 R&D 과제 중단 또는 축소(42.7%), 재료 또는 부품 공급난에 따른 차질(35.8%) 등이 뒤를 이었다. 감염 위험에 따른 연구소 시설 폐쇄 또는 부분운영(22.6%), 소속 연구원 자가격리 또는 감염으로 인한 연구공백 발생(26%) 등도 있었다. 협력 및 위탁기관 피해 발생으로 인한 R&D 계획 변경(21.4%), 국내외 R&D 인력 채용 지연(20.1%) 등도 피해사례로 꼽혔다.
이같은 피해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별다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처방안 가운데 가장 많은 응답은 출장 및 대면회의 축소(65.2%)였다. '특별한 대응방안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도 20%였다.
기업들은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를 줄일 한시적 대책을 정부에 요구했다. 국가R&D 참여기업에 대한 현금부담률 완화(72.8%), 과제기간의 한시적 연장(64.6%), 세액공제율 상향조정(58.9%) 등을 주문했다. 중장기적으로 '온라인 비대면 R&D 협력'을 지원하는 종합 플랫폼 구축(51.3%)을 요청하기도 했다.
마창환 산업기술진흥협회 상근부회장은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해 2차 추가경정 예산에 반영하는 등 성장 동력이 끊기지 않도록 정부의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연구소 보유 기업 1490곳(대·중견기업 58개, 중소·벤처기업 1432개)을 대상으로 11~16일 '코로나19 위기상황 관련 기업 R&D 실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발표했다. 조사에 응한 기업의 79.8%(1189개)가 R&D에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 47.7%는 올 초 예정했던 R&D 투자를 줄이겠다고 했고 41.3%는 연구원 채용을 축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R&D 피해는 국내외 협력활동 제약에 따른 차질이 주를 이뤘다. 출장 제한, 세미나 참가 불가 등으로 인해 R&D활동에 차질이 생겼다는 응답이 58.9%에 달했다. 경영환경 악화에 따른 R&D 과제 중단 또는 축소(42.7%), 재료 또는 부품 공급난에 따른 차질(35.8%) 등이 뒤를 이었다. 감염 위험에 따른 연구소 시설 폐쇄 또는 부분운영(22.6%), 소속 연구원 자가격리 또는 감염으로 인한 연구공백 발생(26%) 등도 있었다. 협력 및 위탁기관 피해 발생으로 인한 R&D 계획 변경(21.4%), 국내외 R&D 인력 채용 지연(20.1%) 등도 피해사례로 꼽혔다.
이같은 피해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별다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처방안 가운데 가장 많은 응답은 출장 및 대면회의 축소(65.2%)였다. '특별한 대응방안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도 20%였다.
기업들은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를 줄일 한시적 대책을 정부에 요구했다. 국가R&D 참여기업에 대한 현금부담률 완화(72.8%), 과제기간의 한시적 연장(64.6%), 세액공제율 상향조정(58.9%) 등을 주문했다. 중장기적으로 '온라인 비대면 R&D 협력'을 지원하는 종합 플랫폼 구축(51.3%)을 요청하기도 했다.
마창환 산업기술진흥협회 상근부회장은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해 2차 추가경정 예산에 반영하는 등 성장 동력이 끊기지 않도록 정부의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