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고 1t LPG 트럭의 반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토 확대경

현대자동차는 포터 1t LPG로 대응에 나섰다. 100마력의 2.4L LPG 엔진을 탑재해 봉고 트럭을 견제했다. 현대차는 디젤 대비 LPG 엔진 출력이 25% 높고, 최대토크는 13% 앞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LPG 가격이 조금씩 오르고 디젤에 밀려 비중이 갈수록 줄어들자 결국 2003년 LPG 엔진 탑재를 중단했다.
하지만 봉고 1t LPG가 반전을 일으켰다. 대기질 개선에 성공하려면 1t 경유 트럭 감축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심지어 환경부는 최대 565만원의 보조금까지 책정하며 1t LPG 구매를 독려했고, 덕분에 지난해는 무려 3600대가 판매됐다.
보조금 효과에 고무된 환경부는 올해 1만 대에 달하는 LPG 1t 트럭 보조금을 예산으로 마련해 기아차에 생산을 독려하는 중이다. 이미 3000명 넘는 계약자가 출고를 기다리고 있어서다. 1t LPG 트럭은 국내 소상공인의 주요 사업 수단이라는 점을 감안해 기아차도 출고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하지만 디젤의 수출 물량과 LPG 부품 공급 등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아 녹록지는 않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1t LPG 트럭의 조기 출고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택배 등의 배달 수요가 폭증하자 서둘러 공급해 달라는 목소리다. 기아차로선 소수라도 찾는 사람이 있어 LPG 1t 트럭 판매를 유지했는데, 대기질 개선으로 초점이 바뀌면서 반전 기회가 주어진 셈이다.
단종의 유혹을 참아내며 견뎌낸 시간이 꽤 길었다는 점에서 ‘사회적 보답’이라는 해석까지 나오고 있다.
권용주 < 국민대 자동차운송디자인 겸임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