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국금지 호령하던 미국, 발병 두달만에 바이러스 진원지 '오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환자, 하루 1만명씩 늘어 중국·이탈리아 이어 3번째…WHO "새 진원지 될수있어"
트럼프 안이한 인식에 전문가 목소리 못내…검사키트 등 준비 지연
미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발생 2개월여 만에 전 세계 코로나19의 진원지라는 오명을 쓸 상황에 부닥쳤다.
미국이 다른 빈발국을 상대로 각종 규제책을 내놓던 상황과 비교하면 격세지감이다.
최첨단 의료강국 명성이 훼손된 것은 물론 자칫 미국이 다른 나라의 입국금지 리스트에 오르는 수모까지 걱정해야 할 판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4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가파르다며 새로운 진원지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 24시간 동인 신규 환자의 85%가 유럽과 미국에서 발생했고, 그 중 40%가 미국이라는 게 이유였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의 코로나19 실시간 현황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현재 미국의 환자는 5만2천명으로 중국(8만1천명), 이란(6만9천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특히 지난 19일 1만명을 넘긴 뒤 이틀 후인 21일 2만명을 돌파했고 이후 22일 3만명, 23일 4만명, 24일 5만명을 넘는 식으로 하루에 1만명씩 증가해 새로운 진원지라고 불려도 할 말이 없는 상황이다.
이 추세면 조만간 이란을 추월하는 것은 물론 중국을 앞설 가능성마저 배제할 수 없다.
미국에서 첫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것은 중국 우한으로 여행을 다녀온 워싱턴주 인근 주민이 양성 판정을 받은 지난 1월 21일이었다.
이때만 해도 미국은 발 빠르게 움직였다.
1월 29일 우한에서 전세기를 띄운 뒤 자국민을 미국으로 실어 날랐고, 31일에는 보건복지부 장관이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국내외 많은 논란과 우려에도 불구하고 2주간 중국에 머문 외국 국적자는 미국 입국을 금지하는 등 코로나 유입 차단을 위한 초강수를 뒀다. 이런 영향인지 미국은 이 무렵만 해도 환자가 얼마 되지 않아 코로나19 안전지대에 속했다.
이랬던 미국이 코로나19 진앙이라는 오명을 쓰는 상황까지 내몰린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안이한 인식을 한 요인으로 꼽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초기만 해도 중국 입국 금지 등 과감한 조처를 했지만, 이후에는 "독감보다 못하다", "미국인의 위험은 매우 낮다"며 코로나19 위험성을 경시하는 태도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코로나19 대응 1차 예산으로 의회에 25억달러를 요청하자 턱없이 부족하다고 본 의회가 3배가 넘는 83억달러를 배정한 일도 있었다.
정보당국이 1월부터 우려를 전달했지만, 대통령이 귀담아 듣지 않았다는 보도도 나왔다. 그러다 보니 공중보건을 책임진 당국자들도 코로나19의 심각성을 알리고 대비책을 마련하는데 소극적일 수밖에 없었다.
한 당국자가 지난달 25일 처음으로 코로나19의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을 경고한 뒤 주가가 내려가자 인도 방문 후 귀국 중이던 트럼프 대통령이 보건복지부 장관을 질책한 것으로 알려진 일화는 당시 분위기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무적 판단 탓에 전문가들의 과학적 의견이 제대로 반영될 통로가 없었다는 뜻이다.
칼럼니스트인 맷 배이는 워싱턴포스트 칼럼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바이러스를 당파적 프리즘을 통해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검사 키트 준비가 늦어진 것도 바이러스의 빠른 확산 요인으로 작용했다.
초기에 어렵사리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아 진단 키트를 만들었지만 결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다시 해결책을 찾기 위해 3주의 시간을 날렸다.
또 진단 대상을 호흡기계 증상이 있거나 최근 중국에 다녀온 경우, 감염자와 긴밀한 접촉을 한 경우 등으로 국한하는 바람에 지역사회 전파를 막을 기회를 놓쳤다는 비판론도 있다.
한 의학 전문가는 이런 상황을 "어둠 속에서 더듬거리는 것과 마찬가지였다"라고 표현했다.
또 마스크나 산소호흡기 등 코로나19 예방과 치료를 위해 필요한 일부 품목의 경우 공급난이 일찌감치 예상됐지만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결국 지역사회 전파가 일어나고 있었지만 제대로 된 검사를 못해 확산을 막을 황금시간을 날려버렸고, 뒤늦게 검사 체계를 정비했지만 코로나19가 이미 손을 쓰기 쉽지 않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퍼졌다는 것이다.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극도로 느린 검사는 코로나19 발병에 대한 미국의 대응을 방해하고 바이러스가 이미 얼마나 멀리 퍼졌는지 알 수 없도록 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트럼프 안이한 인식에 전문가 목소리 못내…검사키트 등 준비 지연
미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발생 2개월여 만에 전 세계 코로나19의 진원지라는 오명을 쓸 상황에 부닥쳤다.
미국이 다른 빈발국을 상대로 각종 규제책을 내놓던 상황과 비교하면 격세지감이다.
최첨단 의료강국 명성이 훼손된 것은 물론 자칫 미국이 다른 나라의 입국금지 리스트에 오르는 수모까지 걱정해야 할 판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4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가파르다며 새로운 진원지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 24시간 동인 신규 환자의 85%가 유럽과 미국에서 발생했고, 그 중 40%가 미국이라는 게 이유였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의 코로나19 실시간 현황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현재 미국의 환자는 5만2천명으로 중국(8만1천명), 이란(6만9천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특히 지난 19일 1만명을 넘긴 뒤 이틀 후인 21일 2만명을 돌파했고 이후 22일 3만명, 23일 4만명, 24일 5만명을 넘는 식으로 하루에 1만명씩 증가해 새로운 진원지라고 불려도 할 말이 없는 상황이다.
이 추세면 조만간 이란을 추월하는 것은 물론 중국을 앞설 가능성마저 배제할 수 없다.
미국에서 첫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것은 중국 우한으로 여행을 다녀온 워싱턴주 인근 주민이 양성 판정을 받은 지난 1월 21일이었다.
이때만 해도 미국은 발 빠르게 움직였다.
1월 29일 우한에서 전세기를 띄운 뒤 자국민을 미국으로 실어 날랐고, 31일에는 보건복지부 장관이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국내외 많은 논란과 우려에도 불구하고 2주간 중국에 머문 외국 국적자는 미국 입국을 금지하는 등 코로나 유입 차단을 위한 초강수를 뒀다. 이런 영향인지 미국은 이 무렵만 해도 환자가 얼마 되지 않아 코로나19 안전지대에 속했다.
이랬던 미국이 코로나19 진앙이라는 오명을 쓰는 상황까지 내몰린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안이한 인식을 한 요인으로 꼽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초기만 해도 중국 입국 금지 등 과감한 조처를 했지만, 이후에는 "독감보다 못하다", "미국인의 위험은 매우 낮다"며 코로나19 위험성을 경시하는 태도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코로나19 대응 1차 예산으로 의회에 25억달러를 요청하자 턱없이 부족하다고 본 의회가 3배가 넘는 83억달러를 배정한 일도 있었다.
정보당국이 1월부터 우려를 전달했지만, 대통령이 귀담아 듣지 않았다는 보도도 나왔다. 그러다 보니 공중보건을 책임진 당국자들도 코로나19의 심각성을 알리고 대비책을 마련하는데 소극적일 수밖에 없었다.
한 당국자가 지난달 25일 처음으로 코로나19의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을 경고한 뒤 주가가 내려가자 인도 방문 후 귀국 중이던 트럼프 대통령이 보건복지부 장관을 질책한 것으로 알려진 일화는 당시 분위기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무적 판단 탓에 전문가들의 과학적 의견이 제대로 반영될 통로가 없었다는 뜻이다.
칼럼니스트인 맷 배이는 워싱턴포스트 칼럼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바이러스를 당파적 프리즘을 통해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검사 키트 준비가 늦어진 것도 바이러스의 빠른 확산 요인으로 작용했다.
초기에 어렵사리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아 진단 키트를 만들었지만 결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다시 해결책을 찾기 위해 3주의 시간을 날렸다.
또 진단 대상을 호흡기계 증상이 있거나 최근 중국에 다녀온 경우, 감염자와 긴밀한 접촉을 한 경우 등으로 국한하는 바람에 지역사회 전파를 막을 기회를 놓쳤다는 비판론도 있다.
한 의학 전문가는 이런 상황을 "어둠 속에서 더듬거리는 것과 마찬가지였다"라고 표현했다.
또 마스크나 산소호흡기 등 코로나19 예방과 치료를 위해 필요한 일부 품목의 경우 공급난이 일찌감치 예상됐지만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결국 지역사회 전파가 일어나고 있었지만 제대로 된 검사를 못해 확산을 막을 황금시간을 날려버렸고, 뒤늦게 검사 체계를 정비했지만 코로나19가 이미 손을 쓰기 쉽지 않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퍼졌다는 것이다.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극도로 느린 검사는 코로나19 발병에 대한 미국의 대응을 방해하고 바이러스가 이미 얼마나 멀리 퍼졌는지 알 수 없도록 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