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성년자를 협박해 찍은 성 착취 영상을 퍼뜨렸던 `n번방`이 개설된 `텔레그램`이 논란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수사망을 피해 탈퇴 행렬이 이어지는 건 물론, 급기야 다른 메신저에 `대피소`를 운영해 영상을 계속 유포하고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국내 메신저들도 또 다른 `n번방` 차단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이지효 기자입니다.

<기자>

미성년자를 비롯한 수많은 여성들의 성착취 영상을 제작해 유포한 일명 `n번방`

서버가 해외에 있어 추적이 어렵고 보안이 철저하다고 알려진 텔레그램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다만 `박사방` 운영자 조주빈이 체포되자 `텔레그램 탈퇴`가 인기 검색어에 올랐고,

경찰의 수사망을 피해 텔레그램 기록 삭제를 문의하는 글도 빗발치는 모습입니다.

<스탠딩> 이지효 기자

"텔레그램을 겨냥한 경찰 수사가 확대되면서 음란물 창구로 쓰인 대화방들이 사라지고 있는 데다, 이용자들의 탈퇴 행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과연 텔레그램의 `n번방` 이용자들을 추적할 수 있을까.

전문가들은 본사의 동의 없이 모든 정보를 얻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현걸 / 디포렌식 코리아 대표

"아이폰도 피싱에서 보안성이 높은 편인데, 반대로 얘기하면 폐쇄성이 높은 거고요. (텔레그램은) 운영하는 거 자체가 해외 쪽에 있잖아요. 수사협조 등에서 우리나라에서 접근하기 어렵습니다."

<인터뷰> 이승국 / 디지털 리 포렌식 연구소 대표

"텔레그램 자체는 물리적인 획득이 안되기 때문에 분석을 못하는 거예요. 키를 어디에 두는가에 따라 달라지는데 그걸 못 찾았어요. 카카오톡은 그나마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니까."

또 다른 메신저를 새로운 음란물 유통 창구로 이용하려는 시도도 느는 상황.

구글과 트위터, 디스코드 등 해외 플랫폼은 물론, 더는 국내 메신저도 안전지대가 아닙니다.

실제로 카카오는 카카오톡에서 제공하는 익명채팅 서비스 `오픈채팅`의 모니터링을 강화했습니다.

익명의 사람들이 접근하는 오픈채팅방이 부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지적 때문입니다.

다만 카카오톡은 텔레그램과 달리 실명 기반 서비스인데다, 국내 수사 기관의 압수수색 영장에도 협조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승주 /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텔레그램은 그게 마케팅 포인트이기 때문에, 그 어떤 나라가 수사 공조를 요청해도 협조하지 않아요. 정부의 협조를 안한다는 배경과 기술적으로 최고의 기술을 써서 만들었는가는 다른 거잖아요."

또 다른 유사 `n번방`을 찾아 문을 두드리고 있는 이용자들이 여전한 가운데,

유통 채널이 된 플랫폼 사업자의 책임을 높이는 입법도 속도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한국경제TV 이지효입니다.
`n번방`으로 떠오른 텔레그램…국내 메신저도 `비상`
이지효기자 jhlee@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