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용 코로나 진단키트 이름 '독도' 될까…국민청원 20만 돌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청원인 "독도 위상 크게 향상될 것"
해당 청원 외에도 독도 요청 글 다수
해당 청원 외에도 독도 요청 글 다수
전 세계 각국에서 한국의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진단키트에 대한 러브콜이 쇄도하는 가운데 진단키트의 이름을 '독도'로 하자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20만 이상의 동의를 얻었다.
지난 25일 올라온 '수출용 코로나19 진단키트 이름을 독도로 해주세요'라는 제목의 청원 글은 27일 오후 4시 기준 참여인원이 20만7400명을 넘어섰다.
청원인은 "세계 각국에서 한국을 코로나19 극복 모범사례로 인식하고 최근에는 트럼프 대통령도 진단키트 제공을 요청했다"며 "이에 수출하는 진단키트 제품명을 '독도'로 해주시길 청원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 우리나라뿐 아니라 모든 나라가 코로나19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중국과의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코로나19의 어려움을 조기에 겪었지만 정부와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폐쇄 없이 정상적인 상황에서 사태를 진정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개별 제품이지만 진단키트가 '독도'라는 이름으로 수출된다면 지구를 지키는 수호신으로서의 독도 위상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진단키트에 '독도'라는 이름을 붙여달라는 청원은 해당 글 외에도 '해외 보급용 코로나19 진단 키트 독도로 이름 지으면?', '코로나 진단 키트를 통해 대한민국의 영토인 독도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게 해주세요', '해외로 수출되는 코로나 진단키트 이름을 독도키트로 부탁드립니다' 등 다수의 청원이 올라와 있다. 국내 업체들이 개발한 코로나19 유전자 증폭(RT-PCR) 진단키트는 최근 유럽·아시아·아프리카·중동·남미 등 전 세계에서 공급 요청을 받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26일 기준 외교 경로를 통해 진단키트 수입에 대해 문의하거나 요청한 곳은 51개국, 인도적 지원을 문의한 곳은 50개국으로, 일부 국가들은 공급 계약 후 수출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도 긴급사용승인 신청 후 승인을 기다리는 중이다.
특히 일부 국가에서는 실무진을 넘어서 장관급이나 정상급에서 문의를 해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정부는 관계 부처와 협의해 우선순위를 정한다는 방침이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지난 25일 올라온 '수출용 코로나19 진단키트 이름을 독도로 해주세요'라는 제목의 청원 글은 27일 오후 4시 기준 참여인원이 20만7400명을 넘어섰다.
청원인은 "세계 각국에서 한국을 코로나19 극복 모범사례로 인식하고 최근에는 트럼프 대통령도 진단키트 제공을 요청했다"며 "이에 수출하는 진단키트 제품명을 '독도'로 해주시길 청원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 우리나라뿐 아니라 모든 나라가 코로나19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중국과의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코로나19의 어려움을 조기에 겪었지만 정부와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폐쇄 없이 정상적인 상황에서 사태를 진정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개별 제품이지만 진단키트가 '독도'라는 이름으로 수출된다면 지구를 지키는 수호신으로서의 독도 위상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진단키트에 '독도'라는 이름을 붙여달라는 청원은 해당 글 외에도 '해외 보급용 코로나19 진단 키트 독도로 이름 지으면?', '코로나 진단 키트를 통해 대한민국의 영토인 독도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게 해주세요', '해외로 수출되는 코로나 진단키트 이름을 독도키트로 부탁드립니다' 등 다수의 청원이 올라와 있다. 국내 업체들이 개발한 코로나19 유전자 증폭(RT-PCR) 진단키트는 최근 유럽·아시아·아프리카·중동·남미 등 전 세계에서 공급 요청을 받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26일 기준 외교 경로를 통해 진단키트 수입에 대해 문의하거나 요청한 곳은 51개국, 인도적 지원을 문의한 곳은 50개국으로, 일부 국가들은 공급 계약 후 수출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도 긴급사용승인 신청 후 승인을 기다리는 중이다.
특히 일부 국가에서는 실무진을 넘어서 장관급이나 정상급에서 문의를 해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정부는 관계 부처와 협의해 우선순위를 정한다는 방침이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