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개미' ETF에도 몰린다…"방망이는 짧게 잡으세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스피·코스닥 널뛰기 장세에
일평균 거래대금 10배 이상 폭증
시세 2배 추종하는 레버리지와
하락에 베팅하는 인버스에 몰려
일평균 거래대금 10배 이상 폭증
시세 2배 추종하는 레버리지와
하락에 베팅하는 인버스에 몰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증시 변동성이 커지면서 지수 연동형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 자금이 몰리고 있다. 지난 3월 코스피지수의 하루 변동폭이 8%가 넘는 등 급등락을 반복하면서 단기 차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레버리지·인버스 ETF에 베팅하는 사례가 늘었기 때문이다. 다만 이들 상품은 지수가 횡보할 경우 손실이 커질 수 있어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레버리지·인버스 ETF 거래액 급증 지수형 상품을 포함한 국내 ETF 시장은 순자산 50조원을 돌파하는 등 급성장하는 추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ETF 순자산 총액은 51조7000억원에 달했다. 2018년(41조원)보다 26.1% 늘었다. 2002년 시장 개설 당시(3444)보다는 150배 커졌다. 전체 주식시장 시가총액 대비 ETF 순자산 총액 비율은 2.8% 수준으로 미국(11.7%) 등 해외 선진시장보다 낮은 편이지만 매년 두자릿수 성장을 하고 있다. 종목수도 지난해 37개 늘어나 450개로 불어났다. 개인투자자들이 급락장에도 삼성전자를 집중적으로 사들여 화제가 됐던 ‘동학개미운동’은 이제 ETF 시장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달 31일 ‘KODEX레버리지(1조6100억원) 등 주요 지수 ETF의 거래액은 삼성전자(1조4590억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올 들어 거래액이 크게 늘어난 상품은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인버스 ETF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5거래일(3월 23~27일) ‘KODEX200선물 인버스2X’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3조5553억원으로, 지난해(1503억원)보다 23.6배 급증했다. 코스피지수가 8.39% 급락한 지난달 19일에는 거래액이 5조8278억원까지 치솟았다. 이 ETF는 코스피200 선물지수의 일별 수익률을 두 배 역추종한다. 코스피200 선물지수가 하루 1% 하락하면 이 ETF가 약 2% 상승하는 구조다.
역시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KODEX인버스’와 ‘KODEX코스닥150선물인버스’ 거래량도 각각 11.1배, 4.0배 늘었다. KODEX인버스는 코스피200지수와 반대 방향으로 가도록 설계됐고, KODEX코스닥150선물인버스 역시 코스닥150선물지수를 역추종한다.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로 전 세계 증시가 급락하자 증시 부진에 베팅하는 투자자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반대로 주가 반등을 노린 투자자들은 코스피·코스닥지수를 두 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로 몰리고 있다. 지수가 오르면 지수 상승률의 두 배가량 수익을 거둘 수 있어 ‘배짱 투자’에 나선 투자자에게 인기가 많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주가가 급락한 만큼 증시가 강한 반등세를 보일 것이란 기대가 반영된 것이다.
‘KODEX레버리지’의 최근 하루 평균 거래대금(2조3024억원)은 지난해(2064억원)보다 10배 가까이 늘었다. 코스닥150지수의 일별 수익률을 두 배씩 추종하는 ‘KODEX코스닥150레버리지’ 거래액도 약 다섯 배 증가했다.
“음의 복리효과 유의해야”
레버리지·인버스 ETF는 설계 구조상 장기 투자엔 적합하지 않아 투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 조언이다. 기초자산에 해당하는 지수가 등락을 거듭해 제자리로 복귀해도 수익률은 오히려 떨어지는 구조 때문이다. 레버리지 ETF는 기초지수가 방향성을 갖고 오르거나 떨어질 때 투자하면 유리하다. 일반 ETF는 기초지수의 등락폭에 비례해 수익률이 결정되지만 레버리지 ETF는 등락폭의 두 배만큼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초지수가 횡보하거나 박스권에 빠질 땐 일반 ETF보다도 못한 성적을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지수와 ETF 가격을 모두 100이라고 가정하자. 기초지수가 첫날 10% 오르고 둘째 날 10% 떨어지면 일반 ETF의 누적수익률은 -1%가 된다. 100→110→99 순으로 ETF 가격이 바뀌기 때문이다. 레버리지 ETF의 누적수익률은 -4%로 손실폭이 커진다. 20% 올랐다가 20% 떨어지면 100→120→96 순으로 ETF 가격이 바뀐다. ‘음의 복리효과’가 생기기 때문이다.
일반 ETF보다 수수료도 더 많이 내야 한다.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KODEX200’ 수수료는 연 0.15%지만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인 ‘KODEX 레버리지’ 수수료는 연 0.64%로 네 배 이상 높다. 선물 거래를 동반하기 때문에 관련 거래 비용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레버리지 ETF가 기초지수 기간 수익률의 두 배가 아니라 일간 수익률의 두 배를 추종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며 “레버리지·인버스 상품은 주가가 오를 것이란 확신이 있는 기간에만 짧게 투자하는 전략을 짜는 것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김기만 기자 mgk@hankyung.com
레버리지·인버스 ETF 거래액 급증 지수형 상품을 포함한 국내 ETF 시장은 순자산 50조원을 돌파하는 등 급성장하는 추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ETF 순자산 총액은 51조7000억원에 달했다. 2018년(41조원)보다 26.1% 늘었다. 2002년 시장 개설 당시(3444)보다는 150배 커졌다. 전체 주식시장 시가총액 대비 ETF 순자산 총액 비율은 2.8% 수준으로 미국(11.7%) 등 해외 선진시장보다 낮은 편이지만 매년 두자릿수 성장을 하고 있다. 종목수도 지난해 37개 늘어나 450개로 불어났다. 개인투자자들이 급락장에도 삼성전자를 집중적으로 사들여 화제가 됐던 ‘동학개미운동’은 이제 ETF 시장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달 31일 ‘KODEX레버리지(1조6100억원) 등 주요 지수 ETF의 거래액은 삼성전자(1조4590억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올 들어 거래액이 크게 늘어난 상품은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인버스 ETF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5거래일(3월 23~27일) ‘KODEX200선물 인버스2X’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3조5553억원으로, 지난해(1503억원)보다 23.6배 급증했다. 코스피지수가 8.39% 급락한 지난달 19일에는 거래액이 5조8278억원까지 치솟았다. 이 ETF는 코스피200 선물지수의 일별 수익률을 두 배 역추종한다. 코스피200 선물지수가 하루 1% 하락하면 이 ETF가 약 2% 상승하는 구조다.
역시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KODEX인버스’와 ‘KODEX코스닥150선물인버스’ 거래량도 각각 11.1배, 4.0배 늘었다. KODEX인버스는 코스피200지수와 반대 방향으로 가도록 설계됐고, KODEX코스닥150선물인버스 역시 코스닥150선물지수를 역추종한다.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로 전 세계 증시가 급락하자 증시 부진에 베팅하는 투자자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반대로 주가 반등을 노린 투자자들은 코스피·코스닥지수를 두 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로 몰리고 있다. 지수가 오르면 지수 상승률의 두 배가량 수익을 거둘 수 있어 ‘배짱 투자’에 나선 투자자에게 인기가 많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주가가 급락한 만큼 증시가 강한 반등세를 보일 것이란 기대가 반영된 것이다.
‘KODEX레버리지’의 최근 하루 평균 거래대금(2조3024억원)은 지난해(2064억원)보다 10배 가까이 늘었다. 코스닥150지수의 일별 수익률을 두 배씩 추종하는 ‘KODEX코스닥150레버리지’ 거래액도 약 다섯 배 증가했다.
“음의 복리효과 유의해야”
레버리지·인버스 ETF는 설계 구조상 장기 투자엔 적합하지 않아 투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 조언이다. 기초자산에 해당하는 지수가 등락을 거듭해 제자리로 복귀해도 수익률은 오히려 떨어지는 구조 때문이다. 레버리지 ETF는 기초지수가 방향성을 갖고 오르거나 떨어질 때 투자하면 유리하다. 일반 ETF는 기초지수의 등락폭에 비례해 수익률이 결정되지만 레버리지 ETF는 등락폭의 두 배만큼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초지수가 횡보하거나 박스권에 빠질 땐 일반 ETF보다도 못한 성적을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지수와 ETF 가격을 모두 100이라고 가정하자. 기초지수가 첫날 10% 오르고 둘째 날 10% 떨어지면 일반 ETF의 누적수익률은 -1%가 된다. 100→110→99 순으로 ETF 가격이 바뀌기 때문이다. 레버리지 ETF의 누적수익률은 -4%로 손실폭이 커진다. 20% 올랐다가 20% 떨어지면 100→120→96 순으로 ETF 가격이 바뀐다. ‘음의 복리효과’가 생기기 때문이다.
일반 ETF보다 수수료도 더 많이 내야 한다.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KODEX200’ 수수료는 연 0.15%지만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인 ‘KODEX 레버리지’ 수수료는 연 0.64%로 네 배 이상 높다. 선물 거래를 동반하기 때문에 관련 거래 비용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레버리지 ETF가 기초지수 기간 수익률의 두 배가 아니라 일간 수익률의 두 배를 추종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며 “레버리지·인버스 상품은 주가가 오를 것이란 확신이 있는 기간에만 짧게 투자하는 전략을 짜는 것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김기만 기자 m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