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가온 개학예정일에 교실은 고민…"여전히 시기상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례없는 감염병 환경에 교사들 "처음 맞는 상황이라 혼선 있을 것"
유증상 학생 따돌림 등 우려도…농어촌 학교 기숙사 대책도 문제 "학교는 학생이 건강상 문제를 보여도 보호자가 데리러 오기 전에는 그냥 밖으로 보낼 수가 없다. 만약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학생이 있는데 부모가 데리러 올 수 없을 경우 어떻게 조치해야 할지 아직 모르겠다."(서울 강동구의 한 초등학교 교사 A(28)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세 차례 연기된 각급 학교 개학을 애초 계획대로 내달 6일 하게 될지가 이르면 30일 결정될 예정인 가운데 일선 교사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교육계에 따르면 개학 예정일을 앞두고 전국 시·도 교육청은 최근 거의 매일 코로나19 대응지침을 일선 교사들에게 보내고 있다.
지침에는 학생들 간 거리 유지를 위해 등교시간과 출입 동선을 지정하고, 교실에 들어가기 전이나 점심시간 급식실 이동에 앞서 발열검사를 하되 필요하다면 수업 중 추가로 실시한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유증상자가 있으면 담임교사가 전담 관리인이 되고, 별도로 마련된 격리 공간에 학생을 보내야 한다.
그러나 교사 상당수는 '감염병 상황에서의 교육'이라는 유례없는 상황에 고민이 많다.
지침이 아무리 구체적이어도 예상치 못한 일은 벌어지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해외 감염자 유입 등으로 아직 마음을 놓을 단계가 아닌데 개학한다면 교육에 들일 시간을 교실 방역에 쏟아야 하는 점도 문제다. 고등학교 교사 B(52)씨는 "수업이나 급식 때라면 몰라도 우리가 쉬는 시간에까지 학생들을 통제한다는 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라며 "이런 지침을 처음 적용하다 보니 교사들 입장에서도 혼선이 있을 수 있고 학생들이 지도에 얼마나 잘 따를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경기도의 한 고교 교사 C(30)씨는 "보통 한 반에 학생이 20∼40명인데 체온측정 시간을 15∼20초만 잡아도 매일 몇 번 하면 수업 운영시간이 틀어질 것"이라며 "교직원이 확진을 받으면 더 문제"라고 했다.
교육당국이 내놓는 '학교 내 거리두기'나 마스크 착용 지도 등 조치가 실효성이 있는지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 노원구의 한 중학교 교사 D(31)씨는 "거리두기를 위해 가로 6열로 배치한 책상을 5열로 바꿨는데, 반 학생이 30명이 넘으니 결국 앞뒤 간격이 좁아지더라"고 했다.
초등학교 교사 최모(29)씨는 "학생들은 등교할 때는 집에서부터 마스크를 잘 쓰고 오지만 교실에 와서는 답답한지 금방 벗더라"며 "KF94 마스크를 쓰고 1시간 반 수업을 해봤는데 나도 답답하고 이야기 전달이 잘 안 됐다"고 말했다.
일부 교사들은 학생의 코로나19 증상을 조기에 발견해내더라도 학생 간 낙인찍기나 따돌림 등 교실의 특수성에 기인한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사 이모(28)씨는 "자가격리가 따돌림으로 이어지는 것도 고민해봐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어릴수록 자신과 타인의 몸에 대해 잘 모를 수밖에 없는데, 혹시나 유증상자가 생기면 어린 학생들 사이에 생길 '심리적 후폭풍'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다.
통폐합으로 학교 숫자가 줄어든 농어촌 지역 교사들은 기숙사 문제도 고민이다.
집과 학교의 거리가 기본적으로 멀어 애초에 통학이 불가능한 학생이 많기 때문이다.
학생 대부분이 기숙사에서 생활한다는 경남의 한 고교 교사 E(33)씨는 "기숙사는 뾰족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라며 "여러 학생이 한 공간에 있어 가정보다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교육당국이 '온라인 개학'까지 대안으로 제시하면서도 일선 교사들의 의견에는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왔다.
전북의 한 초등학교 교사 김모(28)씨는 "가장 큰 문제는 교육부에서 교사와 소통을 별로 안 한다는 점"이라며 "개학이 일주일 정도 남았는데 갑자기 모든 학생더러 원격 수업 웹사이트 계정을 만들라고 말하는 상황이 대표적"이라고 말했다.
김씨는 "인터넷과 프린터 등이 다 갖춰져야 진행 가능한 게 온라인 수업이고, 저학년은 부모 지도 없이 원격수업에 접속하기 어려워 대비가 필요한데 교육부는 현장 의견을 구하지 않았다"고 했다.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지난 28일 열린 전국 시도교육감 간담회에서도 교육감 대다수가 내달 6일 개학에 부정적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교사들의 의견도 대체로 다르지 않다.
교사단체 좋은교사운동이 지난 26∼27일 유치원과 초·중·고교 교사 4천2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3%가 "학생 감염 예방을 위해 등교 개학을 4월 6일 이후로 연기해야 한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유증상 학생 따돌림 등 우려도…농어촌 학교 기숙사 대책도 문제 "학교는 학생이 건강상 문제를 보여도 보호자가 데리러 오기 전에는 그냥 밖으로 보낼 수가 없다. 만약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학생이 있는데 부모가 데리러 올 수 없을 경우 어떻게 조치해야 할지 아직 모르겠다."(서울 강동구의 한 초등학교 교사 A(28)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세 차례 연기된 각급 학교 개학을 애초 계획대로 내달 6일 하게 될지가 이르면 30일 결정될 예정인 가운데 일선 교사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교육계에 따르면 개학 예정일을 앞두고 전국 시·도 교육청은 최근 거의 매일 코로나19 대응지침을 일선 교사들에게 보내고 있다.
지침에는 학생들 간 거리 유지를 위해 등교시간과 출입 동선을 지정하고, 교실에 들어가기 전이나 점심시간 급식실 이동에 앞서 발열검사를 하되 필요하다면 수업 중 추가로 실시한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유증상자가 있으면 담임교사가 전담 관리인이 되고, 별도로 마련된 격리 공간에 학생을 보내야 한다.
그러나 교사 상당수는 '감염병 상황에서의 교육'이라는 유례없는 상황에 고민이 많다.
지침이 아무리 구체적이어도 예상치 못한 일은 벌어지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해외 감염자 유입 등으로 아직 마음을 놓을 단계가 아닌데 개학한다면 교육에 들일 시간을 교실 방역에 쏟아야 하는 점도 문제다. 고등학교 교사 B(52)씨는 "수업이나 급식 때라면 몰라도 우리가 쉬는 시간에까지 학생들을 통제한다는 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라며 "이런 지침을 처음 적용하다 보니 교사들 입장에서도 혼선이 있을 수 있고 학생들이 지도에 얼마나 잘 따를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경기도의 한 고교 교사 C(30)씨는 "보통 한 반에 학생이 20∼40명인데 체온측정 시간을 15∼20초만 잡아도 매일 몇 번 하면 수업 운영시간이 틀어질 것"이라며 "교직원이 확진을 받으면 더 문제"라고 했다.
교육당국이 내놓는 '학교 내 거리두기'나 마스크 착용 지도 등 조치가 실효성이 있는지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 노원구의 한 중학교 교사 D(31)씨는 "거리두기를 위해 가로 6열로 배치한 책상을 5열로 바꿨는데, 반 학생이 30명이 넘으니 결국 앞뒤 간격이 좁아지더라"고 했다.
초등학교 교사 최모(29)씨는 "학생들은 등교할 때는 집에서부터 마스크를 잘 쓰고 오지만 교실에 와서는 답답한지 금방 벗더라"며 "KF94 마스크를 쓰고 1시간 반 수업을 해봤는데 나도 답답하고 이야기 전달이 잘 안 됐다"고 말했다.
일부 교사들은 학생의 코로나19 증상을 조기에 발견해내더라도 학생 간 낙인찍기나 따돌림 등 교실의 특수성에 기인한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사 이모(28)씨는 "자가격리가 따돌림으로 이어지는 것도 고민해봐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어릴수록 자신과 타인의 몸에 대해 잘 모를 수밖에 없는데, 혹시나 유증상자가 생기면 어린 학생들 사이에 생길 '심리적 후폭풍'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다.
통폐합으로 학교 숫자가 줄어든 농어촌 지역 교사들은 기숙사 문제도 고민이다.
집과 학교의 거리가 기본적으로 멀어 애초에 통학이 불가능한 학생이 많기 때문이다.
학생 대부분이 기숙사에서 생활한다는 경남의 한 고교 교사 E(33)씨는 "기숙사는 뾰족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라며 "여러 학생이 한 공간에 있어 가정보다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교육당국이 '온라인 개학'까지 대안으로 제시하면서도 일선 교사들의 의견에는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왔다.
전북의 한 초등학교 교사 김모(28)씨는 "가장 큰 문제는 교육부에서 교사와 소통을 별로 안 한다는 점"이라며 "개학이 일주일 정도 남았는데 갑자기 모든 학생더러 원격 수업 웹사이트 계정을 만들라고 말하는 상황이 대표적"이라고 말했다.
김씨는 "인터넷과 프린터 등이 다 갖춰져야 진행 가능한 게 온라인 수업이고, 저학년은 부모 지도 없이 원격수업에 접속하기 어려워 대비가 필요한데 교육부는 현장 의견을 구하지 않았다"고 했다.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지난 28일 열린 전국 시도교육감 간담회에서도 교육감 대다수가 내달 6일 개학에 부정적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교사들의 의견도 대체로 다르지 않다.
교사단체 좋은교사운동이 지난 26∼27일 유치원과 초·중·고교 교사 4천2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3%가 "학생 감염 예방을 위해 등교 개학을 4월 6일 이후로 연기해야 한다"고 답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