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도 차 내수판매 ↑…'세금감면+신차' 시너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2월 전년 동기 대비 국내 차량 판매 증가
▽ 완성차 5사 내수 성적, 전월 대비 84.8% 반등
▽ 해외 코로나19 확산에 수출 감소 우려는 여전
▽ 완성차 5사 내수 성적, 전월 대비 84.8% 반등
▽ 해외 코로나19 확산에 수출 감소 우려는 여전

2일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판매 실적 집계에 따르면 지난달 이들의 국내 판매 실적은 15만1025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3만8288대와 비교해 9.2% 늘어난 수치다.
한국에 앞서 코로나19 확산을 겪은 중국은 자동차 판매량이 크게 감소한 뒤 회복에 어려움을 겪는 모양새다. 중국 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에 따르면 지난 2월 중국 내 승용차 판매량은 약 92% 감소했다. 3월 역시 셋째 주까지 판매량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40% 줄어들 전망이다.
중국과 달리 국내 자동차 판매가 V자 반등을 한 첫 번째 원인으로는 정부의 개별소비세 감면 조치를 들 수 있다. 정부는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경제 활성화 조치의 일환으로 6월까지 자동차 개별소비세를 사상 최대치인 70% 인하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3월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 정책을 전후로 완성차 업체들의 판매량을 비교하면 5사 모두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월 대비 3월 판매 증가율 순으로는 르노삼성이 3673대에서 1만2012대로 327% 증가했다. 현대차가 83.7%, 한국GM이 80.1%, 기아차 77.8% 쌍용차 34.5% 순이었다.
두 번째 원인은 신차 출시다. 전월 대비로는 완성차 5사 모두 증가세를 보였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희비가 갈렸다. 신차를 선보인 완성차 4사의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GM 역시 소형 SUV 트레일블레이저가 3187대 팔리며 실적 상승을 견인했다. 트레일블레이저와 더불어 2551대가 팔린 스파크를 제외하면 한국GM에서 3월 판매량이 1000대를 넘긴 모델이 없다.
기아차는 다수 차량이 대체로 준수한 성적을 거뒀지만, 지난해 12월 선보인 중형 세단 K5가 8193대로 가장 많은 판매고를 기록했다. K5는 기아차에서 올해 1~3월 사이 누적 판매량이 2만대를 넘긴 유일한 모델이기도 하다.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산이 지속되며 해외 공장이 문을 닫는 것은 물론, 차량 소비도 급감하고 있다. 지난 2월 역대 최대 판매 실적을 달성했던 현대차 미국판매법인(HMA)은 3월 판매 실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3% 줄어들었다.
현대차의 3월 해외 판매는 26.2% 감소했고 기아차도 11.2% 축소됐다. 한국GM의 모기업인 제너럴모터스(GM)는 전 세계 직원들의 월급을 일시 삭감했다. 한국GM의 3월 수출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0.8% 위축됐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