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단기금융상품에 집중 투자해 단기 실세금리의 등락이 펀드 수익률에 신속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한 초단기공사채형 상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MMF
② 파생결합증권
③ 바이아웃 펀드
④ 프로젝트파이낸싱
⑤ 양도성예금증서

해설. MMF(money market fund)는 수시입출금식 초단기 채권형 펀드를 뜻한다. 고객의 돈을 모아 펀드를 구성한 뒤 이를 채권·기업어음 등 주식을 제외한 유가증권에 투자해 그 결과를 고객들에게 돌려주는 실적배당 금융상품이다. 수시로 돈을 맡길 수 있고 별도의 중도해지 수수료 없이 돈을 찾을 수 있어 단기 여유자금을 예치하는 데 적합하다. 파생결합증권은 기초자산인 금리, 원자재, 환율 등의 가격에 연동돼 투자수익이 결정되는 유가증권이다. 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라 일정 수익을 얻을 수 있게 설계한 상품이다. 자산 가격이 정해진 구간을 벗어나지 않으면 약속한 수익률을 보장받지만, 미리 정해둔 원금 손실 구간에 들어가면 원금 손실을 보게 된다. 정답 ①

문제. 다음은 미국 중앙은행(Fed)에 대한 신문 기사 제목들이다. 이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 ○○경제신문
트럼프, ‘비둘기파’ 2명, Fed 이사직 투입

● □□일보
미 연준 의장, ‘비둘기파적’ 발언

① 주가 상승의 호재로 작용할 것이다.
② 기준금리가 높이 올라갈 것이다.
③ 미국 경기가 완연히 회복됐다는 뜻일 것이다.
④ 공개 시장 매각을 지지하는 사람이 많아질 것이다.
⑤ 미 달러화의 가치가 상승해 미국 기업의 수출경쟁력이 상승할 것이다.

해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위원회에서 위원들은 성향에 따라 매파와 비둘기파로 나뉜다. 매파는 긴축통화정책인 금리 인상과 국채매각 등을 통해 물가안정을 추구한다. 반면 비둘기파는 경제성장을 중시하여 금융완화정책인 양적완화, 금리 인하, 국채 매입 등을 통해 적절한 인플레이션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미국 중앙은행에 비둘기파 이사 수가 많아지고 의장도 비둘기파적 발언을 하고 있다는 것은 기준금리 인하를 통해 미국 경기를 부양하는 통화정책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정답 ①

문제. 아래 글에서 소개된 임금 인상 이후 ‘A의 여가시간 결정’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무엇인가?

< 소득과 여가로부터 효용을 받는 A는 현재 1만원의 시급을 받고 있다. A는 하루에 8시간을 일하고 나머지 16시간을 여가에 사용하고 있다. 만약 내년부터 임금이 1만원에서 1만2000원으로 인상된다면 A는 여가시간을 16시간에서 20시간으로 늘릴 것이다. (가정 : 여가는 정상재다) >

① 대체효과가 소득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난다.
②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난다.
③ 소득효과와 대체효과가 동일하다.
④ 소득효과, 대체효과의 상대적 크기를 알 수 없다.
⑤ A는 비합리적인 소비자다.

해설. 지문에서 임금이 인상된 이후 노동시간이 감소하고 여가시간은 늘어났다. 이는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더 크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여기서 대체효과란 임금(여가의 기회비용)이 인상되면 여가시간이 감소함을 의미하고, 소득효과란 임금이 인상되면 정상재인 여가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