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생존 기로에 선 영화계…극장 매출 2500억 급감·멀티플렉스도 '셧다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분기 극장 매출 2500억원 줄어
75편 이상 개봉 연기·취소, 극장들도 폐업 위기
CGV 전국 35곳 지난 3월 28일부터 휴점
멀티플렉스 3사 대표들은 정부에 긴급 금융지원
75편 이상 개봉 연기·취소, 극장들도 폐업 위기
CGV 전국 35곳 지난 3월 28일부터 휴점
멀티플렉스 3사 대표들은 정부에 긴급 금융지원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극장가가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정부는 나름의 대책을 강구했지만 영화인들은 '뜬구름'이라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난 3월 관객수는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며 '시련'을 맞고 있다. 4월이라고 해서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3월 관객은 183만4491명으로 지난해 3월(1467만 1693명)에 비해 8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관객수가 줄면서 극장 매출액 또한 나락으로 떨어졌다. 지난달 151억 5000만 원에 불과했다. 지난해 3월 매출액은 1265억 6000만 원이었다.
1월에서 3월까지 1분기 극장매출로 따지면 지난해에 비해 2485억 원이 감소했다.
극장은 우리나라 영화산업 매출의 76%를 차지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극장이 대위기에 놓면서 배급, 제작, 마케팅 등 영화산업 전반이 냉각기에 들어섰다.
한국영화마케팅사협회가 회원사 24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상반기 개봉이 연기되거나 취소된 작품은 한국영화 27편, 수입사 외화 28편, 할리우드 직배사 20편 등 75편에 이른다.
마케팅사 관계자는 "전체 상반기 예산 손실액이 20억 원 이상으로 폐업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영화 개봉 중단 뿐만 아니라 신규 촬영도 모두 연기되고 중단된 상황이다.
극장들도 일부 셧다운 됐다. CGV는 국내에서도 직영점 116곳 중 35곳의 영업을 중단했고, 메가박스는 4월부터 44곳 중 10곳을 임시 휴관 조치했다.
해외 영업 또한 올스톱이다. CGV는 중국 지방정부 요청에 따라 총 139개 극장 문을 닫았다. 터키도 이달 17일부터 총 108곳의 문을 닫았다. 베트남은 84곳 중 74곳, 인도네시아는 68곳 중 62곳이 영업을 중단했다.
롯데시네마도 베트남 내 총 46개 극장 가운데 42곳이 휴점했다.
증권가에선 CGV의 올해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며 큰 폭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극장들은 정부에 지원책을 요구했고 정부는 이에 응답했다. 먼저 영화계의 실질적인 부담 완화를 위해 영화발전기금 부과금(티켓 가격의 3%)을 한시 감면하기로 했다.
영화발전기금 조성을 위해 영화관 입장권에 부과되던 영화발전기금 부과금은 매달 납부가 원칙이었다.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540억 수준이었다.
정부의 지원책에 따라 한시 감면은 올해 2월분 부터 소급적용된다.
이어 영화기금 변경을 통해 개봉이 연기·취소된 영화 20여 편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지원하고 영세상영관 200여개 극장에서 '영화상영 기획전'을 운영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또 코로나19로 촬영, 제작이 중단된 작품 20여 편에 대한 제작 지원과 단기적 실업 상태인 영화인 400명을 대상으로 직무재교육 및 직업훈련수당 지원에 나선다.
단기적 실업 상태에 놓인 현장 영화인을 대상으로는 직무 재교육을 하고, 400명에게 직업훈련수당을 지급할 계획이다.
하지만 영화인연대 측은 '영화산업 지원, 골든타임이 지나간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내고 정부의 빠른 지원을 촉구했다.
이들은 "영화산업의 붕괴는 이미 초읽기 상태"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부는 기다리라고만 한다"고 지적했다.
영화인 연대회의는 "대책이라고 나온 내용은 여전히 뜬구름"이라며 직접적인 대책 7가지를 제안했다.
코로나19 대책 영화인 연대회의가 발표한 7가지 방안은 Δ 영화관련업을 특별지원업종 즉각 지정 Δ 금융지원의 문턱을 낮춰 극장의 유동성 확보를 즉각 지원할 것 Δ 영화발전기금의 징수를 금년 말까지 한시적으로 완전 면제할 것 Δ 영화발전기금을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영화업계 긴급지원자금으로 선집행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간소화 Δ 도산 직전의 영화 관련 업체들의 기본 고용 유지를 위해 인건비 직접 지원 적극 검토 Δ 실업으로 내몰리고 있는 영화인들을 위해 최저임금 기준 생계비 지원 등 특단의 대책 강구 Δ 제작비 상승분 관련 모태펀드 추가 투자 등이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지난 3월 관객수는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며 '시련'을 맞고 있다. 4월이라고 해서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3월 관객은 183만4491명으로 지난해 3월(1467만 1693명)에 비해 8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관객수가 줄면서 극장 매출액 또한 나락으로 떨어졌다. 지난달 151억 5000만 원에 불과했다. 지난해 3월 매출액은 1265억 6000만 원이었다.
1월에서 3월까지 1분기 극장매출로 따지면 지난해에 비해 2485억 원이 감소했다.
극장은 우리나라 영화산업 매출의 76%를 차지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극장이 대위기에 놓면서 배급, 제작, 마케팅 등 영화산업 전반이 냉각기에 들어섰다.
한국영화마케팅사협회가 회원사 24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상반기 개봉이 연기되거나 취소된 작품은 한국영화 27편, 수입사 외화 28편, 할리우드 직배사 20편 등 75편에 이른다.
마케팅사 관계자는 "전체 상반기 예산 손실액이 20억 원 이상으로 폐업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영화 개봉 중단 뿐만 아니라 신규 촬영도 모두 연기되고 중단된 상황이다.
극장들도 일부 셧다운 됐다. CGV는 국내에서도 직영점 116곳 중 35곳의 영업을 중단했고, 메가박스는 4월부터 44곳 중 10곳을 임시 휴관 조치했다.
해외 영업 또한 올스톱이다. CGV는 중국 지방정부 요청에 따라 총 139개 극장 문을 닫았다. 터키도 이달 17일부터 총 108곳의 문을 닫았다. 베트남은 84곳 중 74곳, 인도네시아는 68곳 중 62곳이 영업을 중단했다.
롯데시네마도 베트남 내 총 46개 극장 가운데 42곳이 휴점했다.
증권가에선 CGV의 올해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며 큰 폭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극장들은 정부에 지원책을 요구했고 정부는 이에 응답했다. 먼저 영화계의 실질적인 부담 완화를 위해 영화발전기금 부과금(티켓 가격의 3%)을 한시 감면하기로 했다.
영화발전기금 조성을 위해 영화관 입장권에 부과되던 영화발전기금 부과금은 매달 납부가 원칙이었다.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540억 수준이었다.
정부의 지원책에 따라 한시 감면은 올해 2월분 부터 소급적용된다.
이어 영화기금 변경을 통해 개봉이 연기·취소된 영화 20여 편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지원하고 영세상영관 200여개 극장에서 '영화상영 기획전'을 운영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또 코로나19로 촬영, 제작이 중단된 작품 20여 편에 대한 제작 지원과 단기적 실업 상태인 영화인 400명을 대상으로 직무재교육 및 직업훈련수당 지원에 나선다.
단기적 실업 상태에 놓인 현장 영화인을 대상으로는 직무 재교육을 하고, 400명에게 직업훈련수당을 지급할 계획이다.
하지만 영화인연대 측은 '영화산업 지원, 골든타임이 지나간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내고 정부의 빠른 지원을 촉구했다.
이들은 "영화산업의 붕괴는 이미 초읽기 상태"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부는 기다리라고만 한다"고 지적했다.
영화인 연대회의는 "대책이라고 나온 내용은 여전히 뜬구름"이라며 직접적인 대책 7가지를 제안했다.
코로나19 대책 영화인 연대회의가 발표한 7가지 방안은 Δ 영화관련업을 특별지원업종 즉각 지정 Δ 금융지원의 문턱을 낮춰 극장의 유동성 확보를 즉각 지원할 것 Δ 영화발전기금의 징수를 금년 말까지 한시적으로 완전 면제할 것 Δ 영화발전기금을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영화업계 긴급지원자금으로 선집행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간소화 Δ 도산 직전의 영화 관련 업체들의 기본 고용 유지를 위해 인건비 직접 지원 적극 검토 Δ 실업으로 내몰리고 있는 영화인들을 위해 최저임금 기준 생계비 지원 등 특단의 대책 강구 Δ 제작비 상승분 관련 모태펀드 추가 투자 등이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