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에 규모 7.7 강진이 나 인근 국가인 태국까지 피해가 번지면서 태국 출신 K팝 아이돌들도 안타까움을 드러냈다.29일 블랙핑크 멤버 리사는 "지진으로 피해를 본 모두를 위해 기도합니다. 안전하길 바랍니다"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담은 글을 자신의 계정에 게재했다. 그룹 2PM 닉쿤과 (여자)아이들 민니 또한 "모두 안전하길 바랄게요"라며 현지인들의 안전을 당부했다.갓세븐 태국 멤버 뱀뱀 역시 "모든 뉴스를 팔로우하고 조심하라"고 당부했고, 베이비몬스터 치키타는 "태국에 있는 모두 안전하길 바란다"고 위로의 메시지를 전했다.하지만 일각에서는 국내 영남 지방에서도 역대 최악의 산불이 발생해 연일 피해가 커지는 상황을 언급하며 "한국에서 활동하면서 한국의 재난에는 외면한다"는 반응도 나왔다. 몇몇은 "한국에서 활동해 명성을 얻고 돈을 벌면서 기부하지 않는다"는 날 선 주장도 나오고 있다.온라인 커뮤니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유명인 산불 기부 명단'이라며 기부자와 기부액을 나열한 리스트가 공유되고 있기도 하다.명단에는 세븐틴 정국 10억원, JYP엔터 5억원, 지드래곤 SM엔터 3억원, 아이브 아이유 2억원, 라이즈 재민 1억 5000만원, 황영웅 1억 4000만원, 정동원 1억 3000만원, 공유 김우빈 김준수 도영 마크 미연 백종원 수지 슈가 슬기 신민아 에이티즈 영탁 윈터 윤아 은혁 이병헌 이영지 이종석 이준호 이찬원 이효리 장근석 장민호 재현 전소연 정해인 제노 제이홉 지창욱 차은우 카리나 태연 태용 RM 1억원 등 가수, 배우를 비롯한 유명인들이 이름을 올렸다.리사가 있는 블랙핑크의 경우 지수가 1억5000만원, 제니가 1억원
"중국 정부는 탈북자 등에 대한 강제노동을 통해 생산단가를 낮춘 물건을 전 세계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피에로 토지 미 의회 중국위원회 사무국장(사진)은 최근 워싱턴DC에서 한국경제신문과 만나 "북한 인권과 탈북자 문제는 단순한 사회운동이 아니라 중국 경제의 본질적인 문제와 닿아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위원회는 미국 의회와 행정부가 함께 중국 관련 사안을 감독하는 조직이다. 중국의 인권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정치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 관리하며 연례 보고서 작성과 정기적인 청문회 개최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2000년 중국의 WTO 가입에 반대한 이들을 중심으로 구성돼 중국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변호사 출신인 토지 국장은 크리스 스미스 하원의원(공화당, 뉴저지주) 등과 함께 중국 및 북한의 인권 문제를 오랫동안 조사해 왔다. 토지 국장은 "북한 정부는 중국 정부와 거래를 통해 탈북자나 북한 주민들을 강제 노동에 종사하게 하고 있다"면서 "우리의 조사에 따르면, 고기잡이 배에는 위구르족이나 중국인들이 많이 타지만 차가운 생선을 손질하는 일에는 위구르족과 북한 주민, 특히 북한 여성들이 다수 참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대부분의 돈은 북한 정권이 가져가고, 정권은 그 돈을 무기를 사는 일 등에 쓴다"고 덧붙였다. 이렇게 생산된 생선을 그는 ‘강제 노동으로 오염된 물고기’라면서 “관세법, 위구르족 강제노동방지법 등 미국 법률 위반한 이런 생선을 미국의 군대, 학교, 교도소 등이 구입하지 않도
올해 1월 쥐 사체가 나와 충격을 안긴 일본 최대 규동(일본식 소고기 덮밥) 체인점 '스키야'에서 바퀴벌레가 나왔다. 쥐 사체가 발각돼 사과한 지, 일주일 만이다.스키야는 29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한 점포에서 고객에 제공한 상품에 이물질(해충)이 발견됐다. 고객 및 관계자들에게 큰 불편과 걱정을 끼쳐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이와 함께 대부분의 점포에서 휴점 후 시설 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30일 요미우리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스키야는 일본 내 약 1970개 점포 중 쇼핑센터 내 일부 등을 제외한 대부분 점포를 오는 31일 오전 9시부터 4월 4일 오전 9시까지 휴점하기로 했다. 쇼핑 시설 내에 설치된 점포도 조율이 끝나는 대로 순차적으로 휴점하고 전문 해충 업체에 의뢰해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스키야는 1월에도 한 매장에서 제공한 된장국에 쥐 사체가 포함된 게 알려져 논란에 휩싸였다. 당시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관련 소문이 확산됐지만, 스키야 측은 2개월 후인 지난 22일에야 뒤늦은 사과로 더욱 논란이 됐다. 스키야 측은 연이은 위생 문제에 "월 다른 매장에서 이물질 오염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상황이 또 발생한 사실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인다"고 했다.한편 스키야는 일본 전역에 1970여개의 점포를 갖고 있다. 마츠야, 요시노야와 함께 일본 3대 규동 체인점으로 불린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