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금통위…유동성 공급 추가 카드 '만지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회사채·기업어음 시장 불안 지속…금통위서 증권사에 직접 대출 논의 가능성
"기존 정책효과 지켜볼 것" 관측도…불안 심화시 추가 대책 불가피 한국은행이 이번 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를 열어 기준금리 조정과 추가 유동성 공급대책 시행 여부를 결정한다.
지난달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치로 내린 만큼 금리 조정보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대응을 위한 추가 유동성 공급대책이 나올지가 관건이다.
5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9일 예정된 금통위 정례회의에서는 금리를 현 수준인 연 0.75%로 동결할 것이란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임시 금통위를 열어 금리를 0.50%포인트 인하하며 사상 최저 수준으로 낮춘 지 얼마 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를 0.5%포인트 '빅 컷'한 효과와 일명 '한국판 양적완화'인 환매조건부채권(RP) 무제한 매입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효과를 지켜보자며 이번엔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시장의 관심은 한은이 신용확대 등 유동성 공급과 관련한 추가 조치를 내놓을지에 쏠려 있다.
회사채와 기업어음(CP) 시장을 중심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직전 거래일인 3일 자금시장에서 CP 금리(91일 만기)가 상승세를 마치고 13거래일 만에 소폭 하락(-0.04%포인트) 마감했지만, 당분간은 시장 불안이 이어질 것이란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코로나19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속속 실물지표로 드러나면서 금융시장에 위험회피 심리가 극도로 커진 탓이다. 회사채와 기업어음 수급 여건이 어려워지면서 시장 일각에선 한은이 이들 증권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시장 안정화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도 커졌다.
회사채나 기업어음 매입 기구를 설립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처럼 한은도 발권력을 동원해 시장안정을 위한 과감한 선제 조치들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는 주문이다.
앞서 한은은 지난달 26일 RP 무제한 매입 프로그램으로 시중에 필요한 자금을 모두 제공한다는 강력한 대책을 내놨다.
그러나 일부 금융사의 경우 이미 담보 여력이 소진된 상태여서 실효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너무 신중한 것 아니냐'는 시장 안팎의 비판이 거센 가운데 한은은 지난 2일 증권사, 여신전문금융회사 등 비은행 금융기관에 직접 대출을 검토한다는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추가로 발표했다.
9일 금통위 전까지 자금시장 불안이 지속하거나 악화하는 사태가 발생할 경우 한은은 금통위 의결을 통해 비은행 금융사 대출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내놓을 개연성이 있다.
한은은 신용위험 부담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대출 담보증권의 범위에 회사채 등을 포함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은이 과거 은행 이외 금융기관에 직접 대출을 한 것은 1997년 외환위기 사태 때가 유일하다.
당시 대출 자금은 한국증권금융(2조원)과 신용관리기금(1조원)을 통해 자금난에 빠진 증권사 및 종합금융사에 공급됐다.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와 RP 무제한 매입 프로그램이 지난주 가동했다는 점에서 한은이 이번 금통위에서 당장 추가 대책을 내놓기보다는 당분간 정책효과와 시장안정 상황을 지켜보려 할 것이란 관측도 있다.
김상훈 KB증권 연구원은 "아직 우려는 남았지만, 자금시장 경색이 다소 해소되는 기미를 보이는 상황"이라며 "한은이 당장 이번 회의에서 무언가를 내놓기보다 시장 여건과 1분기 거시지표 등을 좀 더 지켜보고서 추가 대책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굵직한 대책들이 이제 막 가동된 만큼 한은이 일단 정책 효과를 지켜보려 할 것이란 분석이다.
문제는 코로나19발 경제 충격으로 신용경색 사태가 악화할 경우이다.
한은은 회사채 만기도래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시장의 자체 수요와 채안펀드 매입 등으로 회사채 차환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그러나 해외발 충격 등으로 신용경색 우려가 커질 경우 정부와 한은도 연준의 긴급 유동성 지원책과 유사한 긴급 대책 검토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해 회사채매입기구(PMCCF·SMCCF)와 CP매입기구(CPFF) 등 총 5개의 긴급 유동성 공급기구를 만들었다.
연준은 또 코로나19 대응 재정지원법의 미 의회 통과로 보증 재원 4천540억달러가 확보됨에 따라 기업 부문 등에 최대 4조달러(5천조원)를 추가로 대출할 수 있게 됐다.
4조달러는 미 국내총생산(GDP)의 약 5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시장 상황이 매우 나빠질 경우 정부 보증을 전제로 한은이 특수목적기구(SPV)에 자금을 지원해 회사채나 CP를 사들이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기존 정책효과 지켜볼 것" 관측도…불안 심화시 추가 대책 불가피 한국은행이 이번 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를 열어 기준금리 조정과 추가 유동성 공급대책 시행 여부를 결정한다.
지난달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치로 내린 만큼 금리 조정보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대응을 위한 추가 유동성 공급대책이 나올지가 관건이다.
5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9일 예정된 금통위 정례회의에서는 금리를 현 수준인 연 0.75%로 동결할 것이란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임시 금통위를 열어 금리를 0.50%포인트 인하하며 사상 최저 수준으로 낮춘 지 얼마 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를 0.5%포인트 '빅 컷'한 효과와 일명 '한국판 양적완화'인 환매조건부채권(RP) 무제한 매입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효과를 지켜보자며 이번엔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시장의 관심은 한은이 신용확대 등 유동성 공급과 관련한 추가 조치를 내놓을지에 쏠려 있다.
회사채와 기업어음(CP) 시장을 중심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직전 거래일인 3일 자금시장에서 CP 금리(91일 만기)가 상승세를 마치고 13거래일 만에 소폭 하락(-0.04%포인트) 마감했지만, 당분간은 시장 불안이 이어질 것이란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코로나19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속속 실물지표로 드러나면서 금융시장에 위험회피 심리가 극도로 커진 탓이다. 회사채와 기업어음 수급 여건이 어려워지면서 시장 일각에선 한은이 이들 증권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시장 안정화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도 커졌다.
회사채나 기업어음 매입 기구를 설립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처럼 한은도 발권력을 동원해 시장안정을 위한 과감한 선제 조치들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는 주문이다.
앞서 한은은 지난달 26일 RP 무제한 매입 프로그램으로 시중에 필요한 자금을 모두 제공한다는 강력한 대책을 내놨다.
그러나 일부 금융사의 경우 이미 담보 여력이 소진된 상태여서 실효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너무 신중한 것 아니냐'는 시장 안팎의 비판이 거센 가운데 한은은 지난 2일 증권사, 여신전문금융회사 등 비은행 금융기관에 직접 대출을 검토한다는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추가로 발표했다.
9일 금통위 전까지 자금시장 불안이 지속하거나 악화하는 사태가 발생할 경우 한은은 금통위 의결을 통해 비은행 금융사 대출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내놓을 개연성이 있다.
한은은 신용위험 부담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대출 담보증권의 범위에 회사채 등을 포함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은이 과거 은행 이외 금융기관에 직접 대출을 한 것은 1997년 외환위기 사태 때가 유일하다.
당시 대출 자금은 한국증권금융(2조원)과 신용관리기금(1조원)을 통해 자금난에 빠진 증권사 및 종합금융사에 공급됐다.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와 RP 무제한 매입 프로그램이 지난주 가동했다는 점에서 한은이 이번 금통위에서 당장 추가 대책을 내놓기보다는 당분간 정책효과와 시장안정 상황을 지켜보려 할 것이란 관측도 있다.
김상훈 KB증권 연구원은 "아직 우려는 남았지만, 자금시장 경색이 다소 해소되는 기미를 보이는 상황"이라며 "한은이 당장 이번 회의에서 무언가를 내놓기보다 시장 여건과 1분기 거시지표 등을 좀 더 지켜보고서 추가 대책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굵직한 대책들이 이제 막 가동된 만큼 한은이 일단 정책 효과를 지켜보려 할 것이란 분석이다.
문제는 코로나19발 경제 충격으로 신용경색 사태가 악화할 경우이다.
한은은 회사채 만기도래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시장의 자체 수요와 채안펀드 매입 등으로 회사채 차환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그러나 해외발 충격 등으로 신용경색 우려가 커질 경우 정부와 한은도 연준의 긴급 유동성 지원책과 유사한 긴급 대책 검토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해 회사채매입기구(PMCCF·SMCCF)와 CP매입기구(CPFF) 등 총 5개의 긴급 유동성 공급기구를 만들었다.
연준은 또 코로나19 대응 재정지원법의 미 의회 통과로 보증 재원 4천540억달러가 확보됨에 따라 기업 부문 등에 최대 4조달러(5천조원)를 추가로 대출할 수 있게 됐다.
4조달러는 미 국내총생산(GDP)의 약 5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시장 상황이 매우 나빠질 경우 정부 보증을 전제로 한은이 특수목적기구(SPV)에 자금을 지원해 회사채나 CP를 사들이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