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野엔 호감도 낮지만 정부 견제심리 강한 '무당층'…부동산·경제운용 불만 높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승패 가를 무당층, 그들은 누구
文정부 출범 이후 기대 컸지만
'조국 사태' 등 도덕성 불거지며
1년2개월 만에 反文으로 돌아서
코로나 국면서 정부 지지로 선회
文정부 출범 이후 기대 컸지만
'조국 사태' 등 도덕성 불거지며
1년2개월 만에 反文으로 돌아서
코로나 국면서 정부 지지로 선회
어떤 정당도 지지하지 않는 무당(無黨)층은 도덕성에 대한 기준이 높고, 정부의 부동산과 경제정책에는 비판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야당에 대한 호감도가 낮으면서도 정부 견제 심리는 강했다. 역대 선거에서 승패를 좌우해온 무당층이 4·15 총선에서 어떤 선택을 할지 관심이 쏠린다.
한국경제신문이 5일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지난 3년간 134차례 이뤄진 한국갤럽 여론조사를 전수 분석한 결과 무당층은 문재인 대통령 당선 1년2개월 만에 반문(反文)으로 돌아섰다. 이 기간에 무당층은 전체 응답자 가운데 20~30%를 차지했다.
무당층의 70%는 취임 초기 문 대통령이 직무수행을 잘할 것으로 기대했다. 미·북 정상회담이 이뤄진 2018년 6월까지 무당층의 절반 이상은 문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무당층 사이에서 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으로 바뀐 건 2018년 7월 말께다. 이때 문 대통령에 대한 무당층의 부정평가가 44%로, 긍정평가(32%)를 처음으로 앞섰다. 김경수 경남지사가 드루킹 댓글 사건으로 검찰 소환을 앞두고 있던 때다.
무당층의 문 대통령 평가가 가장 부정적이던 시점도 정권의 도덕성 문제와 맞물려 있다. 지난해 8월 넷째주 조사에서 문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18%(부정평가 67%)에 그쳤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한 공방이 펼쳐진 시기와 겹친다.
최근 들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면에서 문 대통령에 대한 무당층 지지율은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문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고 답한 무당층은 40%(3월 넷째주 기준)다. 하지만 여전히 무당층의 47%는 문 대통령이 못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무당층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과 경제운용에 대한 불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8월 둘째주 부동산 정책 평가 조사에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지지하는 무당층 비율은 25%에 불과했다. 지지하지 않는 비율은 31%였다. 가장 최근인 3월 첫째주 조사에서 무당층의 59%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불만족’이라고 답했다. 잘하고 있다고 답한 무당층은 7%에 불과했다.
정부가 경제정책을 잘하고 있다고 답한 무당층(지난해 2월 넷째주 기준)은 14%, 못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65%였다. 문 대통령 취임 2주년을 기념해 이뤄진 지난해 5월 첫째주 조사에서도 무당층의 71%가 경제정책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했다.
무당층은 야당에 대한 호감도도 낮았다. 2018년 11월 넷째주 이뤄진 정당별 호감도 조사에서 무당층의 18%가 더불어민주당에 호감이 간다고 답했다. 자유한국당(현 미래통합당)은 7%로 호감도가 11%포인트 낮았다.
하지만 정부 견제 심리는 강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6월 첫째주 조사에서 총선 때 현 정부의 잘못을 심판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고 응답한 무당층 비율은 42%로, 여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고 답한 비율(28%)을 웃돌았다. 가장 최근인 3월 넷째주 조사에서도 무당층은 ‘정부 심판론(37%)’에 힘을 실었다. 지난주 조사에서 무당층은 전체의 27.2%에 달했다. 정권 심판론과 야당 책임론 사이에서 마음을 정하지 못한 무당층의 막판 표심에 따라 선거 판세도 뒤집어질 것이란 관측이다. 정치권에선 과거 선거 양상을 볼 때 무당층에 ‘숨은 야당 표’가 상대적으로 많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과거 무당층은 정권을 심판하는 쪽으로 투표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이념적 충성도가 낮은 편이어서 자기 이익에 따라 합리적인 투표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이 5일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지난 3년간 134차례 이뤄진 한국갤럽 여론조사를 전수 분석한 결과 무당층은 문재인 대통령 당선 1년2개월 만에 반문(反文)으로 돌아섰다. 이 기간에 무당층은 전체 응답자 가운데 20~30%를 차지했다.
무당층의 70%는 취임 초기 문 대통령이 직무수행을 잘할 것으로 기대했다. 미·북 정상회담이 이뤄진 2018년 6월까지 무당층의 절반 이상은 문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무당층 사이에서 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으로 바뀐 건 2018년 7월 말께다. 이때 문 대통령에 대한 무당층의 부정평가가 44%로, 긍정평가(32%)를 처음으로 앞섰다. 김경수 경남지사가 드루킹 댓글 사건으로 검찰 소환을 앞두고 있던 때다.
무당층의 문 대통령 평가가 가장 부정적이던 시점도 정권의 도덕성 문제와 맞물려 있다. 지난해 8월 넷째주 조사에서 문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18%(부정평가 67%)에 그쳤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한 공방이 펼쳐진 시기와 겹친다.
최근 들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면에서 문 대통령에 대한 무당층 지지율은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문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고 답한 무당층은 40%(3월 넷째주 기준)다. 하지만 여전히 무당층의 47%는 문 대통령이 못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무당층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과 경제운용에 대한 불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8월 둘째주 부동산 정책 평가 조사에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지지하는 무당층 비율은 25%에 불과했다. 지지하지 않는 비율은 31%였다. 가장 최근인 3월 첫째주 조사에서 무당층의 59%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불만족’이라고 답했다. 잘하고 있다고 답한 무당층은 7%에 불과했다.
정부가 경제정책을 잘하고 있다고 답한 무당층(지난해 2월 넷째주 기준)은 14%, 못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65%였다. 문 대통령 취임 2주년을 기념해 이뤄진 지난해 5월 첫째주 조사에서도 무당층의 71%가 경제정책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했다.
무당층은 야당에 대한 호감도도 낮았다. 2018년 11월 넷째주 이뤄진 정당별 호감도 조사에서 무당층의 18%가 더불어민주당에 호감이 간다고 답했다. 자유한국당(현 미래통합당)은 7%로 호감도가 11%포인트 낮았다.
하지만 정부 견제 심리는 강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6월 첫째주 조사에서 총선 때 현 정부의 잘못을 심판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고 응답한 무당층 비율은 42%로, 여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고 답한 비율(28%)을 웃돌았다. 가장 최근인 3월 넷째주 조사에서도 무당층은 ‘정부 심판론(37%)’에 힘을 실었다. 지난주 조사에서 무당층은 전체의 27.2%에 달했다. 정권 심판론과 야당 책임론 사이에서 마음을 정하지 못한 무당층의 막판 표심에 따라 선거 판세도 뒤집어질 것이란 관측이다. 정치권에선 과거 선거 양상을 볼 때 무당층에 ‘숨은 야당 표’가 상대적으로 많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과거 무당층은 정권을 심판하는 쪽으로 투표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이념적 충성도가 낮은 편이어서 자기 이익에 따라 합리적인 투표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