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은 이날 오전 근로자대표와 회의를 열고 구조조정 규모를 전체(비정규직 포함 1683명)의 5분의 1인 350여명 수준으로 추진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연합뉴스
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은 이날 오전 근로자대표와 회의를 열고 구조조정 규모를 전체(비정규직 포함 1683명)의 5분의 1인 350여명 수준으로 추진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항공업계 첫 구조조정을 추진 중인 이스타항공이 단행 규모를 다소 축소할 전망이다. 당초 전체의 절반 가까이에 달했던 구조조정 규모는 20% 수준인 350명 가량으로 노사간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은 이날 오전 근로자대표와 회의를 열고 구조조정 규모를 전체(비정규직 포함 1683명)의 5분의 1인 350여명 수준으로 추진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스타항공은 지난 1일 직원들에게 희망퇴직 등을 통해 총 직원 수를 930명만 남기고, 줄인다는 방침을 담은 이메일을 보냈다. 두 차례에 걸쳐 희망퇴직 신청을 받은 후 신청자가 목표치에 미치지 못하면 다음달 말 정리해고를 실시한다는 내용이 골자였다.

당시 사측은 전체의 45%가량인 750여명을 구조조정하는 안을 검토했으나 노사간 고통 분담을 통해 최대한 고용을 유지하는 방안으로 협의 중인 상황으로 전해졌다. 이스타항공 경영진은 감축 인력을 최소화하는 대신 급여 조정 등 고통 분담을 통해 경영을 정상화하는 방안을 근로자 대표 측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근로자 측도 큰 틀에서는 동의하는 상황으로 전해졌다. 이에 정규직 기준으로는 구조조정 인원이 300명 이하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스타항공 관계자는 "희망퇴직 신청을 본격적으로 받기 전 노사가 인력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한 상황"이라며 "(구조조정 관련한) 세부 사항은 노사가 아직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스타항공은 무급휴직 등을 실시하며 허리띠를 졸라맸으나 결국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사 구조조정 첫 사례가 됐다. 유동성 부족이 심화되면서 이스타항공은 임직원의 2월 급여를 40%만 지급했고, 3월에는 아예 급여를 지급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앞서 이스타항공은 지난달 30일 1∼2년차 수습 부기장 80여명에게 4월1일자로 계약을 해지한다는 내용을 통보했다.

이스타항공은 현재 보유 중인 항공기 23대 중 2대를 이미 반납했고, 8대도 리스 계약 종료 후 반납한다는 방침이다.

다른 저비용항공사(LCC) 사정에 비춰 이스타항공의 구조조정 사례는 다른 항공사들로 번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코로나19가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상태로 접어들면서 하늘길이 사실상 '셧다운' 상태이기 때문이다. 유·무급휴직 확대 등 자구책으로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지만 타개책이 나오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LCC업계에 한 발 앞서 기내식과 청소 등을 담당하는 항공사 하청업계에는 구조조정이 진행된 상태다.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 기내식 협력업체 직원 중 인천에서 근무하는 1800명 중 1000명이 권고사직을 당했다. 남은 800명 중 300여 명도 휴직 중인 상황이다. 아시아나항공 협력업체인 아시아나AH는 직원의 절반에게 희망퇴직을 통보한 상태다.

항공사들의 올해 실적은 사상 최악의 수준이 예견되고 있다. '보이콧 재팬'이 덮친 지난해보다도 경착륙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항공협회가 올해 상반기 국적 항공사의 국제선 운송 실적을 기준으로 산출한 코로나19 매출 피해 규모는 6조4451억원으로 추산한다. 항공산업의 경우 영업비용 가운데 고정비 비중이 35∼40% 수준으로 높은 특성이 있는 만큼 항공업계가 자칫하다 고사위기에 처한다는 게 업계 안팎의 전망이다.

전경련은 이날 '코로나19 후 항공화물 운송 감소현황과 시사점' 자료를 통해 "수출이 코로나19 사태 전인 지난해부터 이미 악화일로인 상태에서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운송망 훼손으로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며 "항공업계와 수출기업에 대한 정부의 전향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대만, 독일 등 해외사례에 비춰 우리 정부의 지원 규모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전경련에 따르면 대만의 경우 모든 항공사를 대상으로 2조2000억원 규모의 재원을 투입했다. 아울러 독일은 자국 항공사에 대해 무한대 금융지원을 발표하는 등 전폭적인 지원방책을 발표한 점을 예로 들며 우리 정부도 국내 항공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전경련은 주장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