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웹툰 '고수익' 이유 있네…광고 단가 최고 5000만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웹툰 전성시대…광고 수익 짭짤
브랜드 웹툰 광고료 최고 5000만원
정부 부처, 대기업들 광고 집행 잇따라
브랜드 웹툰 광고료 최고 5000만원
정부 부처, 대기업들 광고 집행 잇따라
네이버와 카카오의 웹툰 광고 단가가 5000만원을 호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조원 규모 시장을 기반으로 웹툰이 포털 업체 실적 성장을 이끄는 '황금알 낳는 거위'로 자리 잡았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브랜드 웹툰 광고에 5000만원의 단가를 일괄 적용하고 있다.
브랜드 웹툰은 특정 기업이나 제품을 주제로 웹툰 시리즈를 제작·연재하는 상품. 기업이 알리고자 하는 이미지나 제품이 독자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전달되도록 웹툰을 이용하는 형태다.
주1회씩 총 8회 연재되며 웹툰 작가에게 주어지는 작가료는 광고비와 별도로 계산한다. 작가료는 작가의 네임 밸류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정부부처들의 브랜드 웹툰 수요가 이어졌다. 한국관광공사는 웹툰으로 걷기 여행을 알렸고 중소벤처기업부·창업진흥원은 창업경진대회를 웹툰 주제로 다뤘다. 행정안정부는 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공공기업이 함께 추진하는 정부 혁신을 웹툰을 통해 소개했다. 대기업들도 뛰어들었다. 현대자동차 KT 한화케미칼 DB손해보험 비씨카드 등 주요 기업들이 네이버와 손잡고 브랜드 웹툰 광고를 진행했다.
주호민, 기안84, 김규삼, 김양수, 이말년, 조석, 판다독 등 유명 웹툰 작가들이 브랜드 웹툰 작가로 나섰다.
카카오는 다음 웹툰의 브랜드 웹툰 광고비를 8회 연재 기준 3200만원으로 책정했다.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제작비(작가료)는 제외했다. 제작비 단가는 웹툰 작가의 이름값에 따라 최소 400만원에서 1000만원 이상으로 구분된다.
간접광고(PPL)도 수익이 쏠쏠하다. PPL은 연재 중인 작품의 스토리 내에 기업명이나 제품을 노출하는 방식이다. 독자의 거부감 없이 자연스러운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포털사는 설명한다.
네이버는 작가에 따라 최소 400만원에서 최대 2500만원까지 PPL 광고단가를 구분했다. 브랜드 웹툰과 달리 작가료를 포함한다. SC제일은행 일동후디스 굽네치킨 푸마 등이 네이버 웹툰과 PPL을 진행했다. 웹툰 독자에게 기업 광고 시청과 '캐시'를 맞바꿔 주는 것도 포털사의 웹툰 수익모델이다. 캐시는 유료 웹툰 결제시 현금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영화 예고편을 감상하거나 기업 애플리케이션(앱)을 내려받는 등 기업 광고·이벤트에 참여하는 이용자에게 캐시를 지급하는 식이다.
롯데홈쇼핑 SK플래닛 스마일게이트 영화사 NEW 등이 다음 웹툰과 함께 캐시탭 광고를 진행했다.
이처럼 포털사는 웹툰과 연계한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수익을 내고 있다. 광고와 유료결제, 지식재산권(IP) 사업 등으로 다각화하고 있다. 라인웹툰, 라인망가를 포함한 네이버웹툰의 작년 거래액은 6000억원에 달한다. 카카오는 카카오페이지, 다음웹툰, 픽코마(카카오재팬)를 통해 지난해 43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대다수 산업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에 타격이 예상되지만 웹툰은 도리어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집콕족'이 증가하면서 웹툰을 찾는 이들도 따라 늘고 있어서다.
주영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사태로 재택근무와 실내활동이 늘면서 인터넷 사용량과 콘텐츠 소모량이 급증하고 있다"며 "웹툰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등 콘텐츠 매출 성장이 포털사 실적 증가로 이어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10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브랜드 웹툰 광고에 5000만원의 단가를 일괄 적용하고 있다.
브랜드 웹툰은 특정 기업이나 제품을 주제로 웹툰 시리즈를 제작·연재하는 상품. 기업이 알리고자 하는 이미지나 제품이 독자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전달되도록 웹툰을 이용하는 형태다.
주1회씩 총 8회 연재되며 웹툰 작가에게 주어지는 작가료는 광고비와 별도로 계산한다. 작가료는 작가의 네임 밸류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정부부처들의 브랜드 웹툰 수요가 이어졌다. 한국관광공사는 웹툰으로 걷기 여행을 알렸고 중소벤처기업부·창업진흥원은 창업경진대회를 웹툰 주제로 다뤘다. 행정안정부는 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공공기업이 함께 추진하는 정부 혁신을 웹툰을 통해 소개했다. 대기업들도 뛰어들었다. 현대자동차 KT 한화케미칼 DB손해보험 비씨카드 등 주요 기업들이 네이버와 손잡고 브랜드 웹툰 광고를 진행했다.
주호민, 기안84, 김규삼, 김양수, 이말년, 조석, 판다독 등 유명 웹툰 작가들이 브랜드 웹툰 작가로 나섰다.
카카오는 다음 웹툰의 브랜드 웹툰 광고비를 8회 연재 기준 3200만원으로 책정했다.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제작비(작가료)는 제외했다. 제작비 단가는 웹툰 작가의 이름값에 따라 최소 400만원에서 1000만원 이상으로 구분된다.
간접광고(PPL)도 수익이 쏠쏠하다. PPL은 연재 중인 작품의 스토리 내에 기업명이나 제품을 노출하는 방식이다. 독자의 거부감 없이 자연스러운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포털사는 설명한다.
네이버는 작가에 따라 최소 400만원에서 최대 2500만원까지 PPL 광고단가를 구분했다. 브랜드 웹툰과 달리 작가료를 포함한다. SC제일은행 일동후디스 굽네치킨 푸마 등이 네이버 웹툰과 PPL을 진행했다. 웹툰 독자에게 기업 광고 시청과 '캐시'를 맞바꿔 주는 것도 포털사의 웹툰 수익모델이다. 캐시는 유료 웹툰 결제시 현금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영화 예고편을 감상하거나 기업 애플리케이션(앱)을 내려받는 등 기업 광고·이벤트에 참여하는 이용자에게 캐시를 지급하는 식이다.
롯데홈쇼핑 SK플래닛 스마일게이트 영화사 NEW 등이 다음 웹툰과 함께 캐시탭 광고를 진행했다.
이처럼 포털사는 웹툰과 연계한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수익을 내고 있다. 광고와 유료결제, 지식재산권(IP) 사업 등으로 다각화하고 있다. 라인웹툰, 라인망가를 포함한 네이버웹툰의 작년 거래액은 6000억원에 달한다. 카카오는 카카오페이지, 다음웹툰, 픽코마(카카오재팬)를 통해 지난해 43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대다수 산업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에 타격이 예상되지만 웹툰은 도리어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집콕족'이 증가하면서 웹툰을 찾는 이들도 따라 늘고 있어서다.
주영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사태로 재택근무와 실내활동이 늘면서 인터넷 사용량과 콘텐츠 소모량이 급증하고 있다"며 "웹툰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등 콘텐츠 매출 성장이 포털사 실적 증가로 이어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