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원유 감산협상 '복병' 떠오른 멕시코…버티는 속내는(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루 40만 배럴 감산 요구 맞서 10만 배럴 감산 입장 고수
국영석유사 증산, 대통령 역점과제…헤지 거래로 유가급락 충격도 덜어 타결이 가까워 보였던 산유국들의 원유 감산 합의가 멕시코라는 의외의 복병을 만나 지연되고 있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감산 협상이 사흘째 계속됐다며, 이날 논의는 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멕시코의 양자 협상으로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이날 일부 진전이 있긴 했으나, 사우디가 멕시코에 더 많은 감산을 요구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타결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전했다.
앞서 OPEC+(석유수출국기구인 OPEC과 10개 주요 산유국의 연대체)는 지난 9일 화상회의를 열고 5∼6월 하루 1천만 배럴의 감산에 잠정 합의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급감한 원유 수요를 반영한 것이다.
이전 협상에서 대립했던 사우디와 러시아도 합의점을 찾았다.
그러나 멕시코가 느닷없이 변수로 떠올랐다.
일 40만 배럴의 감산을 요구받은 멕시코는 10만 배럴 이상의 감산은 힘들다며 동참을 거부했고 화상회의에서 퇴장했다.
다른 22개국의 동참에도 멕시코의 거부로 최종 합의가 결렬되자 미국이 개입하고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멕시코의 감산을 도와주겠다"며 멕시코가 요구받은 감산 할당량을 대신 떠안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멕시코는 원하는 대로 10만 배럴만 감산하고, 미국이 멕시코 대신 25만 배럴을 추가 감산하겠다는 것이다.
미국과 멕시코의 합의에 따라 OPEC+ 협상 타결이 임박해 보였으나, 10일 주요 20개국(G20) 에너지 장관 회의에서 재개된 협상에서도 끝내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멕시코 변수 외에 다른 쟁점이 있긴 했지만, 주로 사우디와 멕시코가 충돌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일부 다른 국가들은 그냥 넘어가길 원했으나, 사우디는 멕시코가 스스로 더 감산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코로나19 사태와 러시아·사우디의 유가 전쟁 전운으로 국제 유가가 급락한 것은 멕시코에도 치명적이었다.
멕시코 페소화 가치는 두 악재 속에 30% 이상 급락하기도 했다.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멕시코 대통령은 이달 초 사우디와 러시아를 향해 "인류를 향한 책임감은 어디로 갔느냐"고 준엄하게 꾸짖으며 감산 합의를 종용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멕시코가 자국의 감산엔 단호한 것에는 경제적 이유뿐 아니라 정치적인 이유 역시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멕시코 국영석유회사 페멕스(PEMEX)는 이미 생산시설 노후화 등으로 줄곧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빚더미에 올라있는 상태다.
지난 2018년 12월 취임한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페멕스 회생'을 역점 과제 중 하나로 삼고, 현재 일 170만 배럴가량인 생산량을 2024년까지 250만 배럴로 늘리겠다고 약속했다.
40만 배럴 감산은 이 같은 목적 달성을 어렵게 만든다.
SMBC 닛코증권의 로저 혼 연구원은 블룸버그에 페멕스 회생이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의 "정치적 자식"이라고 표현하며, 감산은 대통령에게 상징적으로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지 컨설턴트 데이비드 쉴즈도 BBC 스페인어판에 "대통령에게 석유는 정치적인 주제이고, 가장 우선순위에 있는 정책"이라며 "그는 생산량만 염두에 두고 유가는 보지 않는다.
석유시장 공통의 위기라는 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로이터통신은 "멕시코 대통령의 국가주의적 시각이 사우디와의 대치를 부채질하고 있다"며 "그는 전 세계 산유국 공통의 이익보다 국내 이슈를 우선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멕시코가 감산 압력에서 계속 버틸 수 있는 데에는 유가 급락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헤지' 거래라는 '믿는 구석'이 있다는 분석도 있다.
블룸버그는 멕시코가 지난 20년 동안 원유와 관련해 '풋옵션'(특정가격에 팔 권리)을 사들였다고 보도했다.
유가가 급락해도 미리 정한 가격에 원유를 팔 수 있는 일종의 보험이기 때문에 급할 건 없다는 것이다.
아르투로 에레라 멕시코 재무장관은 최근 현지 방송 인터뷰에서 "보험이 싸진 않았다"며 "그러나 지금과 같은 때를 위한 것이었다.
정부 재정은 타격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국영석유사 증산, 대통령 역점과제…헤지 거래로 유가급락 충격도 덜어 타결이 가까워 보였던 산유국들의 원유 감산 합의가 멕시코라는 의외의 복병을 만나 지연되고 있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감산 협상이 사흘째 계속됐다며, 이날 논의는 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멕시코의 양자 협상으로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이날 일부 진전이 있긴 했으나, 사우디가 멕시코에 더 많은 감산을 요구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타결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전했다.
앞서 OPEC+(석유수출국기구인 OPEC과 10개 주요 산유국의 연대체)는 지난 9일 화상회의를 열고 5∼6월 하루 1천만 배럴의 감산에 잠정 합의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급감한 원유 수요를 반영한 것이다.
이전 협상에서 대립했던 사우디와 러시아도 합의점을 찾았다.
그러나 멕시코가 느닷없이 변수로 떠올랐다.
일 40만 배럴의 감산을 요구받은 멕시코는 10만 배럴 이상의 감산은 힘들다며 동참을 거부했고 화상회의에서 퇴장했다.
다른 22개국의 동참에도 멕시코의 거부로 최종 합의가 결렬되자 미국이 개입하고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멕시코의 감산을 도와주겠다"며 멕시코가 요구받은 감산 할당량을 대신 떠안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멕시코는 원하는 대로 10만 배럴만 감산하고, 미국이 멕시코 대신 25만 배럴을 추가 감산하겠다는 것이다.
미국과 멕시코의 합의에 따라 OPEC+ 협상 타결이 임박해 보였으나, 10일 주요 20개국(G20) 에너지 장관 회의에서 재개된 협상에서도 끝내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멕시코 변수 외에 다른 쟁점이 있긴 했지만, 주로 사우디와 멕시코가 충돌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일부 다른 국가들은 그냥 넘어가길 원했으나, 사우디는 멕시코가 스스로 더 감산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코로나19 사태와 러시아·사우디의 유가 전쟁 전운으로 국제 유가가 급락한 것은 멕시코에도 치명적이었다.
멕시코 페소화 가치는 두 악재 속에 30% 이상 급락하기도 했다.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멕시코 대통령은 이달 초 사우디와 러시아를 향해 "인류를 향한 책임감은 어디로 갔느냐"고 준엄하게 꾸짖으며 감산 합의를 종용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멕시코가 자국의 감산엔 단호한 것에는 경제적 이유뿐 아니라 정치적인 이유 역시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멕시코 국영석유회사 페멕스(PEMEX)는 이미 생산시설 노후화 등으로 줄곧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빚더미에 올라있는 상태다.
지난 2018년 12월 취임한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페멕스 회생'을 역점 과제 중 하나로 삼고, 현재 일 170만 배럴가량인 생산량을 2024년까지 250만 배럴로 늘리겠다고 약속했다.
40만 배럴 감산은 이 같은 목적 달성을 어렵게 만든다.
SMBC 닛코증권의 로저 혼 연구원은 블룸버그에 페멕스 회생이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의 "정치적 자식"이라고 표현하며, 감산은 대통령에게 상징적으로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지 컨설턴트 데이비드 쉴즈도 BBC 스페인어판에 "대통령에게 석유는 정치적인 주제이고, 가장 우선순위에 있는 정책"이라며 "그는 생산량만 염두에 두고 유가는 보지 않는다.
석유시장 공통의 위기라는 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로이터통신은 "멕시코 대통령의 국가주의적 시각이 사우디와의 대치를 부채질하고 있다"며 "그는 전 세계 산유국 공통의 이익보다 국내 이슈를 우선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멕시코가 감산 압력에서 계속 버틸 수 있는 데에는 유가 급락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헤지' 거래라는 '믿는 구석'이 있다는 분석도 있다.
블룸버그는 멕시코가 지난 20년 동안 원유와 관련해 '풋옵션'(특정가격에 팔 권리)을 사들였다고 보도했다.
유가가 급락해도 미리 정한 가격에 원유를 팔 수 있는 일종의 보험이기 때문에 급할 건 없다는 것이다.
아르투로 에레라 멕시코 재무장관은 최근 현지 방송 인터뷰에서 "보험이 싸진 않았다"며 "그러나 지금과 같은 때를 위한 것이었다.
정부 재정은 타격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