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쇼크'로 흔들리는 외식시장…그래도 프랜차이즈 성장 계속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고 - 프랜차이즈 산업 재편되나

최근 외식 프랜차이즈가 위기에 처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자영업자가 너무 많이 진출해 과포화 상태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밥 수요가 늘어 가정간편식(HMR)이 외식 시장을 잠식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온라인에 밀려 오프라인 프랜차이즈 경쟁력 자체가 약화된 것은 아니다. 아마존은 왜 137억달러(약 16조6000억원)를 들여 미국 전역에 오프라인 매장 450개를 갖춘 식료품점 프랜차이즈 ‘홀푸드’를 인수했을까. 또 지난 2월 ‘아마존고 그로서리 스토어’라는 무인 슈퍼마켓 1호점을 미국 시애틀에 연 것일까.
세계에서 가장 앞서가는 e커머스(전자상거래) 기업조차 오프라인 매장에 탐을 내고 있다. 온·오프라인 매장을 함께 운영할 때 시너지가 난다는 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가 새벽배송업체 오아시스다. 마켓컬리, 쓱닷컴, 헬로네이처 등 국내 새벽배송 업체들이 지난해 모두 적자를 냈음에도 오아시스는 유일하게 흑자를 냈다. 비결은 37개 오프라인 매장에 있다. 새벽배송에서 다 팔지 못하면 입고 상품을 매장에서 판매한 것이 오아시스의 성공 비결이다.
그동안 서비스업 분야에서 프랜차이즈화가 더뎠던 이유는 외식업처럼 식자재 물류 공급 등을 통해 본사가 수익을 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엔 로열티(브랜드 사용료)를 내는 데 거부감이 점점 없어지는 분위기다. 프랜차이즈는 21세기 유통 분야에서 가장 고도화된 시스템이다. 시대의 요구에 맞는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계속 생겨날 것이다.
유재은 < 프랜코컨설팅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