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전망대] 코로나發 '일자리 참사' 실상 13일 공개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인설 경제부 차장
![[월요전망대] 코로나發 '일자리 참사' 실상 13일 공개된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004/07.22095129.1.jpg)
직격탄을 가장 먼저 맞은 자영업뿐 아니라 대기업들까지 생존을 걱정해야 할 지경이다. 직원 월급 줄 돈은 고사하고 만기가 돌아오는 어음과 대출 막기도 버겁다. 이 때문에 기업들은 더 큰 위기에 빠지지 않기 위해 직원들을 쉬게 하거나 내보내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한 지난달 이후의 일자리 통계는 이번주에 나온다. 그런 점에서 금주는 ‘코로나발(發) 실업’의 실상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주는 사실상 첫주가 될 전망이다. 먼저 고용노동부가 테이프를 끊는다. 13일 발표되는 ‘3월 노동시장 동향’에선 지난달 정부가 실직자에게 지급하는 실업급여(구직급여) 신청자 수와 지급액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 2월 실업급여 지급액은 역대 최고치인 7819억원이었는데 이 기록이 다시 경신될 가능성이 크다.
![[월요전망대] 코로나發 '일자리 참사' 실상 13일 공개된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004/AA.22337097.1.jpg)
반쪽짜리가 아닌 온전한 ‘코로나발 실업대란’ 통계는 21대 국회의원 선거일(15일) 이틀 뒤에 볼 수 있다. 통계청이 17일 내놓는 ‘3월 고용동향’에서다. ‘불황의 매’를 먼저 맞은 음식·숙박·도소매 업종의 신규 취업자 수와 일시휴직자 수가 관심사다. 이 수치는 지난달부터 악화됐는데 코로나19 충격이 본격화한 3월엔 최악으로 치달았을 가능성이 크다. 고용지표가 발표될 때마다 자화자찬하던 정부 분위기도 급변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9일 “3월부터 고용 악화가 우려되는 엄중한 상황”이라며 일자리 위기를 예고했다. 이 때문에 정부가 머지않아 ‘코로나발 고용 위기’를 극복할 대책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과 중국의 실물 지표에도 관심이 쏠린다. 중국은 14일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과 3월 수출입 수치를 발표한다. 미국은 3월 산업생산과 소매판매 통계를 16일 내놓는다.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