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5% "일상생활 재개하면 코로나19 감염위험 커질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대 보건대학원, 1천명 설문조사…44% "안전하지 않다"
65%, 한 달 전보다 상황 '안정됐다' 평가…84% '거리두기' 실천 국민 3명 중 2명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끝내고 일상생활을 재개하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릴 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유명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팀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0∼13일 전국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4차 코로나19 국민인식'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설문조사 대상자의 65.6%는 등교, 출근 등 다시 일상활동을 하게 되면 자신과 가족의 감염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답했다.
감염위험이 커지지 않을 것이란 응답자는 10.4%에 불과했다.
이런 위험도에 대한 인식은 연령별로 차이를 보였다.
20대의 71.8%가 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답했고, 40대는 68.8%, 30대 65.0%, 50·60대 각각 62.6% 등의 순으로 위험 인식이 높았다.
코로나19 사태를 한 달 전과 비교했을 때 '안정됐다'고 보는 의견은 64.8%로 나왔다.
'안정되지 않았다'는 18.0%, '그대로다'는 17.2%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신규 확진자가 하루 50명 밑으로 발생했던 때다.
하지만 우리 사회가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안전하다고 보는 비율은 낮았다.
응답자의 44.4%는 '안전하지 않다', 21.6%는 '안전하다'고 답했다.
직업군별로 보면 학생에서 유일하게 안전하다고 보는 답변이 36.1%로 '그렇지 않다'(24.6%)보다 높았다.
나머지 직업군에서는 안전하지 않다는 답변 비율이 더 높았다.
특히 판매·영업직의 51.4%는 안전하지 않다고 답했고, 안전하다는 답변은 18.9%에 그쳤다.
유 교수는 "확진자 수 감소세 유지 등 사태가 안정을 찾아간다고 보면서도 여전히 일상복귀는 안심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다"며 "이는 (확진자 발생) 통계 수치를 근거로 판단하는 객관적 위험과 심리적 위험 사이의 괴리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3.7%는 최근 2주간 사회적 거리두기를 철저히 실천했다고 답했다.
앞으로도 실천하겠다는 답변도 86.1%를 차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하기 어려운 부분으로는 '대중교통 이용 자제'가 26.5%로 가장 많았고, '외출자제'(18.3%), '사람과 사람 사이 두 팔 간격 거리(2m) 유지'(17.1%), '가정·사무실 주기적 소독'(12.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활방역 전환을 앞두고 정부가 제시한 '생활방역' 5대 수칙 실천율은 50∼70% 수준으로 나타났다.
항목별 실천율을 보면 '아침·저녁으로 자주 환기'(79.2%),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두 팔 간격으로 충분한 간격을 둡니다'(71.9%), '아프면 3∼4일 집에서 쉽니다'(69.5%), '친구, 지인에게 안부 연락'(59.8%), '가정이나 사무실 등 주기적 소독'(54.7%) 등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생활방역 전환을 위해서는 감염예방 문화 조성과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응답자의 32.9%는 생활방역 준비에 미흡한 부분으로 '감염예방행위 실천이 새로운 생활이 되도록 촉진하는 규범과 문화 조성'을 꼽았다.
24.9%는 '아프면 쉰다 등 생활방역 지침이 일상에 자리 잡도록 하는 제도'가 미흡하다고 답했다.
유 교수는 "이번 설문조사는 누구도 경험하지 않은 새로운 일상을 앞두고 생활방역에 대한 국민의 수용력과 충족되지 않은 수요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뒀다"며 "보건정책은 국민과 사회가 이해하고 받아들이지 못하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65%, 한 달 전보다 상황 '안정됐다' 평가…84% '거리두기' 실천 국민 3명 중 2명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끝내고 일상생활을 재개하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릴 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유명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팀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0∼13일 전국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4차 코로나19 국민인식'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설문조사 대상자의 65.6%는 등교, 출근 등 다시 일상활동을 하게 되면 자신과 가족의 감염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답했다.
감염위험이 커지지 않을 것이란 응답자는 10.4%에 불과했다.
이런 위험도에 대한 인식은 연령별로 차이를 보였다.
20대의 71.8%가 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답했고, 40대는 68.8%, 30대 65.0%, 50·60대 각각 62.6% 등의 순으로 위험 인식이 높았다.
코로나19 사태를 한 달 전과 비교했을 때 '안정됐다'고 보는 의견은 64.8%로 나왔다.
'안정되지 않았다'는 18.0%, '그대로다'는 17.2%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신규 확진자가 하루 50명 밑으로 발생했던 때다.
하지만 우리 사회가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안전하다고 보는 비율은 낮았다.
응답자의 44.4%는 '안전하지 않다', 21.6%는 '안전하다'고 답했다.
직업군별로 보면 학생에서 유일하게 안전하다고 보는 답변이 36.1%로 '그렇지 않다'(24.6%)보다 높았다.
나머지 직업군에서는 안전하지 않다는 답변 비율이 더 높았다.
특히 판매·영업직의 51.4%는 안전하지 않다고 답했고, 안전하다는 답변은 18.9%에 그쳤다.
유 교수는 "확진자 수 감소세 유지 등 사태가 안정을 찾아간다고 보면서도 여전히 일상복귀는 안심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다"며 "이는 (확진자 발생) 통계 수치를 근거로 판단하는 객관적 위험과 심리적 위험 사이의 괴리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3.7%는 최근 2주간 사회적 거리두기를 철저히 실천했다고 답했다.
앞으로도 실천하겠다는 답변도 86.1%를 차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하기 어려운 부분으로는 '대중교통 이용 자제'가 26.5%로 가장 많았고, '외출자제'(18.3%), '사람과 사람 사이 두 팔 간격 거리(2m) 유지'(17.1%), '가정·사무실 주기적 소독'(12.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활방역 전환을 앞두고 정부가 제시한 '생활방역' 5대 수칙 실천율은 50∼70% 수준으로 나타났다.
항목별 실천율을 보면 '아침·저녁으로 자주 환기'(79.2%),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두 팔 간격으로 충분한 간격을 둡니다'(71.9%), '아프면 3∼4일 집에서 쉽니다'(69.5%), '친구, 지인에게 안부 연락'(59.8%), '가정이나 사무실 등 주기적 소독'(54.7%) 등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생활방역 전환을 위해서는 감염예방 문화 조성과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응답자의 32.9%는 생활방역 준비에 미흡한 부분으로 '감염예방행위 실천이 새로운 생활이 되도록 촉진하는 규범과 문화 조성'을 꼽았다.
24.9%는 '아프면 쉰다 등 생활방역 지침이 일상에 자리 잡도록 하는 제도'가 미흡하다고 답했다.
유 교수는 "이번 설문조사는 누구도 경험하지 않은 새로운 일상을 앞두고 생활방역에 대한 국민의 수용력과 충족되지 않은 수요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뒀다"며 "보건정책은 국민과 사회가 이해하고 받아들이지 못하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