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빨간불' 대한항공, 이달 중 곳간 현금 바닥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정비 4천억∼5천억원·이달 만기 회사채 2천400억원
자산 매각 등 자구책에도 유동성 위기…"채권 지급 보증 등 정부 지원 절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항공업계가 사상 초유의 위기 상황에 처한 가운데 업계 1위인 대한항공마저 이달 내로 보유 현금이 바닥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이 지난달 발행한 항공운임채권 자산유동화증권(ABS) 6천228억원이 이달 내로 모두 소진될 것으로 보인다.
한 달에 나가는 고정비용이 4천억∼5천억원 규모인 데다 이달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만 2천400억원이기 때문이다.
항공운임채권 ABS는 항공권 판매로 미래에 발생할 매출을 담보로 하는 채권으로, 항공사들의 주요 자금 조달 수단 가운데 하나다.
대한항공은 통상 2조원가량을 ABS로 조달해왔다.
하지만 현재 코로나19로 대한항공의 여객 매출 중 94%를 차지하는 국제선 노선 대부분이 운항을 중단하는 등 매출 급감이 이어지며 유동성 확보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국제선의 경우 주간 공급 기준 900회가량 운항했으나 현재는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뉴욕 등 13개 노선을 주 50∼55회 운항하는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3월 여객 수송량이 전년 동기 대비 75.7% 감소했고 코로나19 국면에서 그나마 선방한 화물 수송량 역시 16% 감소한 점을 고려하면 충분한 자금 조달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한국신용평가는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항공업계의 상환능력 악화를 참작해 대한항공의 ABS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한단계 하향 조정하기도 했다.
한신평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지난달 ABS 회수 실적은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68∼84%로 감소했다.
회사채와 ABS, 차입금 등 대한항공이 올해 안에 갚아야 할 금액은 총 4조원 정도로, 이중 상반기 내에 만기가 돌아오는 금액만 1조2천억원 규모에 달한다. 대한항공은 전 직원의 70% 이상이 6개월간 순환휴직에 들어가는 한편 임원진은 월 급여의 30∼50%를 반납하기로 하는 등 각종 자구책을 마련해 시행 중이지만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송현동 부지, 왕산마리나 등 유휴 자산과 비수익 사업의 매각을 추진하며 최근 '삼정KPMG·삼성증권' 컨소시엄을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기도 했지만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을 끄기에는 역부족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이러다 대한항공마저 국제선 운항을 이어가기 쉽지 않은 상황에 부닥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대한항공 등 항공업계는 "전체 항공사에 대한 무담보 저리대출 확대와 채권에 대한 정부의 지급보증 등 대규모 정책자금 지원 확대는 물론 항공기 재산세 면제 등 각종 세금감면이 절실하다"고 정부에 호소한 상태다.
이 같은 상황에도 금융위는 대기업에 대한 특혜 시비를 감안한 듯 대한항공 지원에 한층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금융 논리로만 문제에 접근하다 '제2의 한진해운' 사태가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다음주로 예상되는 5차 비상경제회의에서 항공 산업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책이 나올지 주목된다.
/연합뉴스
자산 매각 등 자구책에도 유동성 위기…"채권 지급 보증 등 정부 지원 절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항공업계가 사상 초유의 위기 상황에 처한 가운데 업계 1위인 대한항공마저 이달 내로 보유 현금이 바닥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이 지난달 발행한 항공운임채권 자산유동화증권(ABS) 6천228억원이 이달 내로 모두 소진될 것으로 보인다.
한 달에 나가는 고정비용이 4천억∼5천억원 규모인 데다 이달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만 2천400억원이기 때문이다.
항공운임채권 ABS는 항공권 판매로 미래에 발생할 매출을 담보로 하는 채권으로, 항공사들의 주요 자금 조달 수단 가운데 하나다.
대한항공은 통상 2조원가량을 ABS로 조달해왔다.
하지만 현재 코로나19로 대한항공의 여객 매출 중 94%를 차지하는 국제선 노선 대부분이 운항을 중단하는 등 매출 급감이 이어지며 유동성 확보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국제선의 경우 주간 공급 기준 900회가량 운항했으나 현재는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뉴욕 등 13개 노선을 주 50∼55회 운항하는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3월 여객 수송량이 전년 동기 대비 75.7% 감소했고 코로나19 국면에서 그나마 선방한 화물 수송량 역시 16% 감소한 점을 고려하면 충분한 자금 조달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한국신용평가는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항공업계의 상환능력 악화를 참작해 대한항공의 ABS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한단계 하향 조정하기도 했다.
한신평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지난달 ABS 회수 실적은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68∼84%로 감소했다.
회사채와 ABS, 차입금 등 대한항공이 올해 안에 갚아야 할 금액은 총 4조원 정도로, 이중 상반기 내에 만기가 돌아오는 금액만 1조2천억원 규모에 달한다. 대한항공은 전 직원의 70% 이상이 6개월간 순환휴직에 들어가는 한편 임원진은 월 급여의 30∼50%를 반납하기로 하는 등 각종 자구책을 마련해 시행 중이지만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송현동 부지, 왕산마리나 등 유휴 자산과 비수익 사업의 매각을 추진하며 최근 '삼정KPMG·삼성증권' 컨소시엄을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기도 했지만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을 끄기에는 역부족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이러다 대한항공마저 국제선 운항을 이어가기 쉽지 않은 상황에 부닥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대한항공 등 항공업계는 "전체 항공사에 대한 무담보 저리대출 확대와 채권에 대한 정부의 지급보증 등 대규모 정책자금 지원 확대는 물론 항공기 재산세 면제 등 각종 세금감면이 절실하다"고 정부에 호소한 상태다.
이 같은 상황에도 금융위는 대기업에 대한 특혜 시비를 감안한 듯 대한항공 지원에 한층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금융 논리로만 문제에 접근하다 '제2의 한진해운' 사태가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다음주로 예상되는 5차 비상경제회의에서 항공 산업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책이 나올지 주목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