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80년생 김팀장과 90년생 이대리가 웃으며 일하는 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990년대생인 ‘청년’ 직장인들은 어떤 생각으로 일할까.
90년대생의 특성을 소개하고, 이들과 잘 어울리는 방법을 안내하는 책이 출간됐다.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김범준 씨가 저술한 ‘80년생 김팀장과 90년생 이대리가 웃으며 일하는 법’(출판사 한빛비즈)이다.
80년생 김 팀장은 괴롭다. 위로부터의 실적 압박이 거세지고 있어서다. 팀원들과 적극 소통해 대책을 강구하려 해도 ‘왜 그래야 하죠?’라며 따지는 90년생 이 대리를 설득하는 게 버겁다. 팀원들이 정시 퇴근한 사무실에 홀로 남아 상념에 젖는 일이 잦다.
90년생 이 대리도 힘든 건 마찬가지다. 요즘 트렌드에 맞는 상품 기획과 홍보 전략을 올려도 “지시한 일은 잘 정리하고 있죠?”라는 팀장 말에 기운 빠지기 일쑤다. 아무런 권한도 없이 책임만 늘어나는 회사 분위기에 한계를 느끼고 있다.
김 팀장은 이 대리와 소통이 되지 않아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한다. 밀레니얼 세대인 이 대리는 비효율적인 업무 체계와 구시대적인 조직 문화에 숨이 막힌다. 두 세대 모두 각자의 닫힌 문 앞에서 힘겨워하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를 해결해야 할까.
저자는 서로의 ‘관계 적정거리’를 파악하고, 적합한 ‘소통 도구와 방식’을 택하며, 일방적으로 ‘통보하지 말고 논의’하되, 교감할 수 있는 ‘상대방의 언어’로 말하라고 조언한다. 90년대생들과 소통할 때는 그들의 방식을 이해하고 존중하라는 게 골자다. 세대 차이는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90년대생들은 사고의 틀 자체가 다르다는 평가가 많다. 이들에게 리더로 인정 받는 건 무척 어려운 일이다. 90년대생들은 ‘프로 효율러’이기 때문이다. 그 이전 세대가 ‘무작정 빨리빨리’를 원했다면 90년대생들은 “불필요함은 비효율”이라고 단정한다. 선배 또는 팀장이란 이름으로 이들의 시간과 영역을 침해하는 걸 조심해야 한다는 의미다.
90년대생들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이메일을 선호한다. 직접 얼굴을 맞대거나 전화로 얘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또 SNS나 메일을 통해 자기 생각을 제대로 정리하고 소통할 수 있다.
이들은 ‘트로피 키즈’(Trophy Kids)라고 불리기도 한다. 어린 시절부터 다양한 트로피나 상장을 타 본 경험이 있어서다. 인정 받는다는 것의 의미를 잘 안다는 뜻이다. 이를 추구하려는 성향도 강하다. 이 때문에 일방적인 지시보다 90년대생들의 장점을 찾아내 칭찬하고 격려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저자는 설명한다.
90년대생인 이 대리는 회사 내에서 자력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이 대리의 가능성이 실현되려면 김 팀장이 이 대리 생각에 꽃을 피워줘야 한다. 이럴 경우에만 이 대리 역시 김 팀장의 닫혀 있던 문을 활짝 열어줄 것이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90년대생의 특성을 소개하고, 이들과 잘 어울리는 방법을 안내하는 책이 출간됐다.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김범준 씨가 저술한 ‘80년생 김팀장과 90년생 이대리가 웃으며 일하는 법’(출판사 한빛비즈)이다.
80년생 김 팀장은 괴롭다. 위로부터의 실적 압박이 거세지고 있어서다. 팀원들과 적극 소통해 대책을 강구하려 해도 ‘왜 그래야 하죠?’라며 따지는 90년생 이 대리를 설득하는 게 버겁다. 팀원들이 정시 퇴근한 사무실에 홀로 남아 상념에 젖는 일이 잦다.
90년생 이 대리도 힘든 건 마찬가지다. 요즘 트렌드에 맞는 상품 기획과 홍보 전략을 올려도 “지시한 일은 잘 정리하고 있죠?”라는 팀장 말에 기운 빠지기 일쑤다. 아무런 권한도 없이 책임만 늘어나는 회사 분위기에 한계를 느끼고 있다.
김 팀장은 이 대리와 소통이 되지 않아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한다. 밀레니얼 세대인 이 대리는 비효율적인 업무 체계와 구시대적인 조직 문화에 숨이 막힌다. 두 세대 모두 각자의 닫힌 문 앞에서 힘겨워하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를 해결해야 할까.
저자는 서로의 ‘관계 적정거리’를 파악하고, 적합한 ‘소통 도구와 방식’을 택하며, 일방적으로 ‘통보하지 말고 논의’하되, 교감할 수 있는 ‘상대방의 언어’로 말하라고 조언한다. 90년대생들과 소통할 때는 그들의 방식을 이해하고 존중하라는 게 골자다. 세대 차이는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90년대생들은 사고의 틀 자체가 다르다는 평가가 많다. 이들에게 리더로 인정 받는 건 무척 어려운 일이다. 90년대생들은 ‘프로 효율러’이기 때문이다. 그 이전 세대가 ‘무작정 빨리빨리’를 원했다면 90년대생들은 “불필요함은 비효율”이라고 단정한다. 선배 또는 팀장이란 이름으로 이들의 시간과 영역을 침해하는 걸 조심해야 한다는 의미다.
90년대생들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이메일을 선호한다. 직접 얼굴을 맞대거나 전화로 얘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또 SNS나 메일을 통해 자기 생각을 제대로 정리하고 소통할 수 있다.
이들은 ‘트로피 키즈’(Trophy Kids)라고 불리기도 한다. 어린 시절부터 다양한 트로피나 상장을 타 본 경험이 있어서다. 인정 받는다는 것의 의미를 잘 안다는 뜻이다. 이를 추구하려는 성향도 강하다. 이 때문에 일방적인 지시보다 90년대생들의 장점을 찾아내 칭찬하고 격려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저자는 설명한다.
90년대생인 이 대리는 회사 내에서 자력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이 대리의 가능성이 실현되려면 김 팀장이 이 대리 생각에 꽃을 피워줘야 한다. 이럴 경우에만 이 대리 역시 김 팀장의 닫혀 있던 문을 활짝 열어줄 것이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