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분기 성장률 -1% 미달 전망…금융위기 후 최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IB 전망치 평균 -1.5%…연간으로도 마이너스 전망
한은, 23일 1분기 GDP 발표…전문가 "2분기 이후가 더 문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 충격으로 1분기 한국경제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1년여 만에 분기 기준 최저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9일 블룸버그가 9개 국내외 경제연구기관·투자은행(IB) 등으로부터 받은 1분기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8일 집계 기준) 평균치는 전기 대비 -1.5%에 그쳤다.
스탠다드차타드·바클레이즈·하이투자증권·HSBC·IHS이코노믹스·JP모건·옥스포드이코노믹스·소시에테제네랄·노바스코티아은행의 성장률 수정 전망치를 평균 낸 결과다.
전망치가 가장 낮은 노바스코티아은행(-3.4%)을 제외하더라도 전망치 평균은 -1.3%로 여전히 -1%를 밑돌았다.
이 같은 전망이 현실화할 경우 1분기 경제는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2008년 4분기(-3.3%)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하게 된다.
한국은행은 1분기 실질 GDP 속보치를 23일 발표한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에도 한국경제가 1분기 저성장을 할 것이란 예상이 많았다.
지난 2월 초 기준 블룸버그 집계 9개 기관의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0.2%에 불과했다.
재정 부양과 수출 호조로 작년 4분기 성장률이 기대를 뛰어넘은 1.3%를 나타낸 게 기저효과로 작용해 올해 1분기 성장률을 낮추는 요인이 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중국발 코로나19 확산으로 2월부터 일부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국내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가시화한 게 경기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었다.
앞서 중국 국가통계국은 1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이 -6.8%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 정부가 분기별 경제성장률을 발표하기 시작한 199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월 하순 들어 국내에서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확진자 수가 폭증하면서 서비스업종을 중심으로 내수가 급격히 위축된 것이 1분기 역성장의 결정적인 요인이 됐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중국 1분기 성장률의 마이너스 폭이 매우 큰 점을 고려하면 한국도 1분기 성장률 마이너스 폭이 당초 예상보다 크게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1분기 지표보다 2분기 이후 경기 부진을 더 걱정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말한다.
한국경제의 성장 동력인 수출이 1분기까지는 비교적 선방했지만 코로나19가 선진국으로 확산한 2분기부터는 수출 감소세가 본격적으로 반영될 수 있어서다.
통관 기준으로 집계한 수출은 2월 중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고, 3월에도 감소 폭이 0.2%에 그쳐 코로나19 영향이 제한적이었다.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국내에서는 2∼3월 코로나19 확산이 심각했지만 수출의 경우 1분기 중 큰 타격을 받지 않았던 게 사실"이라며 "미국, 유럽 지역의 코로나19 확산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2분기 이후 본격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연간 성장률마저 마이너스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코로나19가 그동안 서비스업 위주로 타격을 줬지만, 미국·유럽의 경기위축에 따라 주력 수출산업으로 피해 영역이 넓혀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2분기 경제가 1분기보다 더 악화해 연간으로도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도 지난 14일 낸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세계경제가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악의 침체를 맞았다며 올해 한국의 성장률을 -1.2%로 전망했다.
반면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9월 금융통화위원회 후 회견에서 올해 한국경제가 1%대 성장은 쉽지 않지만 플러스 성장은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한은, 23일 1분기 GDP 발표…전문가 "2분기 이후가 더 문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 충격으로 1분기 한국경제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1년여 만에 분기 기준 최저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9일 블룸버그가 9개 국내외 경제연구기관·투자은행(IB) 등으로부터 받은 1분기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8일 집계 기준) 평균치는 전기 대비 -1.5%에 그쳤다.
스탠다드차타드·바클레이즈·하이투자증권·HSBC·IHS이코노믹스·JP모건·옥스포드이코노믹스·소시에테제네랄·노바스코티아은행의 성장률 수정 전망치를 평균 낸 결과다.
전망치가 가장 낮은 노바스코티아은행(-3.4%)을 제외하더라도 전망치 평균은 -1.3%로 여전히 -1%를 밑돌았다.
이 같은 전망이 현실화할 경우 1분기 경제는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2008년 4분기(-3.3%)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하게 된다.
한국은행은 1분기 실질 GDP 속보치를 23일 발표한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에도 한국경제가 1분기 저성장을 할 것이란 예상이 많았다.
지난 2월 초 기준 블룸버그 집계 9개 기관의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0.2%에 불과했다.
재정 부양과 수출 호조로 작년 4분기 성장률이 기대를 뛰어넘은 1.3%를 나타낸 게 기저효과로 작용해 올해 1분기 성장률을 낮추는 요인이 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중국발 코로나19 확산으로 2월부터 일부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국내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가시화한 게 경기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었다.
앞서 중국 국가통계국은 1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이 -6.8%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 정부가 분기별 경제성장률을 발표하기 시작한 199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월 하순 들어 국내에서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확진자 수가 폭증하면서 서비스업종을 중심으로 내수가 급격히 위축된 것이 1분기 역성장의 결정적인 요인이 됐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중국 1분기 성장률의 마이너스 폭이 매우 큰 점을 고려하면 한국도 1분기 성장률 마이너스 폭이 당초 예상보다 크게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1분기 지표보다 2분기 이후 경기 부진을 더 걱정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말한다.
한국경제의 성장 동력인 수출이 1분기까지는 비교적 선방했지만 코로나19가 선진국으로 확산한 2분기부터는 수출 감소세가 본격적으로 반영될 수 있어서다.
통관 기준으로 집계한 수출은 2월 중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고, 3월에도 감소 폭이 0.2%에 그쳐 코로나19 영향이 제한적이었다.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국내에서는 2∼3월 코로나19 확산이 심각했지만 수출의 경우 1분기 중 큰 타격을 받지 않았던 게 사실"이라며 "미국, 유럽 지역의 코로나19 확산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2분기 이후 본격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연간 성장률마저 마이너스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코로나19가 그동안 서비스업 위주로 타격을 줬지만, 미국·유럽의 경기위축에 따라 주력 수출산업으로 피해 영역이 넓혀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2분기 경제가 1분기보다 더 악화해 연간으로도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도 지난 14일 낸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세계경제가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악의 침체를 맞았다며 올해 한국의 성장률을 -1.2%로 전망했다.
반면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9월 금융통화위원회 후 회견에서 올해 한국경제가 1%대 성장은 쉽지 않지만 플러스 성장은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