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을 위해 산하 문화예술시설의 휴관과 공연 중단 기간을 당분간 더 연장하기로 했다. 사진은 국립극장. /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부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을 위해 산하 문화예술시설의 휴관과 공연 중단 기간을 당분간 더 연장하기로 했다. 사진은 국립극장. /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 관련 국립문화예술시설들의 휴관을 당분간 더 유지하기로 20일 결정했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이날 재개관되어야 했지만,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5월 5일까지 연장하면서 휴관 기간을 늘렸다. 문체부는 “국립문화예술시설의 개관과 국립예술단체의 공연 재개 시기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강도와 생활방역 전환 시점, 기관별 재개 준비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시설은 국립중앙박물관, 지방박물관 13곳(경주·광주·전주·대구·부여·공주·진주·청주·김해·제주·춘천·나주·익산), 국립민속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4곳(과천·서울·청주·덕수궁), 국립중앙도서관 3곳(서울·세종·어린이청소년) 등 문체부 소속 24개 박물관·미술관·도서관이다. 국립중앙극장과 국립국악원(서울·부산·진도·남원), 정동극장, 명동예술극장,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 5개 국립공연기관도 포함된다. 국립극단, 국립발레단, 국립오페라단, 국립현대무용단, 국립합창단, 서울예술단,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등 7개 국립예술단체는 공연을 중단한다.

체부는 지난달 23일 코로나19 경계경보가 ‘심각’ 단계로 격상된 후 산하 시설의 운영을 중단했다. 1차 휴관 결정은 3월 8일, 2차는 3월 22일, 3차는 4월 5일이었다.

시설 서비스를 다시 시작하더라도 감염 예방을 위한 철저한 방역대책, 이용 인원 제한 등 부분 재개 형식이 될 계획이다. 이후 상황에 따라 단계적으로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서비스의 재개 시점과 이용 범위, 이용 방법 등은 각 기관의 누리집을 통해 별도로 안내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