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 폭락하는데…휘발유값 100원 '찔끔' 떨어진 이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금 비중 60%, 하락폭 일부 반영
운송·재고 소진 등 시차 원인
"그래도 기름값 하락세 너무 느리다" 지적도
운송·재고 소진 등 시차 원인
"그래도 기름값 하락세 너무 느리다" 지적도
"국제 유가는 반 토막 났다는데 우리 동네 휘발유 가격은 한 달간 100원 떨어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국제 유가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주유소에서 파는 기름값의 하락세는 더디기만 하다. 소비자들은 궁금하다. 국제 유가가 떨어지는 만큼 국내 주유소 기름값은 왜 내리지 않는지. 정유업체들이 중간에서 마진을 다 가져가기 때문은 아닐지.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37.6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역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전거래일인 지난 17일 종가 18.27달러에서 55.90달러가 폭락했다.
반면 21일 오전 국내 주유소 휘발유값 평균은 리터(ℓ)당 1306원으로 지난 17일(1318원) 대비 12원(0.9%) 하락했다. 국제 유가는 300% 넘게 떨어졌는데 국내 기름값은 1% 하락에 그친 셈이다.
◆ 높은 세금 비중에 하락폭 제한
전문가들과 정유업계는 "기름값의 60%가 세금이기 때문에 국제유가 대비 등락폭이 제한된다"고 설명한다. 또 정유사들이 중동에서 원유를 구입해 국내까지 운송하는 데 2~3주 가량이 소요되기 때문에 시차도 발생한다고 했다.
조상범 대한석유협회 팀장은 "국내 기름값에는 리터당 교통세 교육세 주행세 부가세 등 60%가량의 세금이 포함된다"며 "세금 비중이 높은 만큼 국제유가 하락폭이 전부 반영되기 어려운 구조"라고 말했다.
휘발유를 예로 들면 리터당 교통세 529원, 교육세 79.35원(교통세의 15%), 주행세 137.54원(교통세의 26%)의 세금이 붙는다. 여기에 판매 가격의 10%인 부가세가 추가된다. 결국 리터당 1300원인 휘발유 가격 가운데 세금만 800원 넘게 부과된다. 기름을 수입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도 국제 유가 하락이 즉각 반영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한다. 정유사들이 원유를 구입해 배로 선적 옮겨오는 데는 2~3주 가량이 걸린다. 여기에 개별 주유소들이 주로 한 번에 1~2주 판매량을 들여오기 때문에 재고가 소진되기 전까지 국제유가 하락분이 반영되는 건 쉽지 않다.
결과적으로 정유사가 원유를 수입하는데 2~3주, 개별 주유소들이 재고를 소진하는데 1~2주가 필요해 국제유가 하락이 국내 주유소 기름값에 반영되는 데 한 달 이상이 걸리게 된다.
◆ "모든 걸 감안해도 너무 늦게 떨어져"
환율이 급등한 것도 국내 기름값 하락을 막는 원인이다. 정유사들은 원유를 수입할 때 미국 달러화로 사오는데 환율이 급등하면서 지급해야 할 원화가 늘었다. 환차손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국내 기름값을 큰 폭으로 내릴 수 없는 것이다. 실제 지난 2월까지 1100원대에 머물던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1200원대로 치솟은 상태다.
하지만 이 모든 걸 감안해도 국제유가 하락폭에 비해 국내 기름값 하락세가 너무 느리다는 게 대다수 소비자들의 반응이다. 오를 땐 빨리 올리더니 내릴 땐 천천히 내린다는 불만이다.
에너지·석유시장 감시단은 최근 '2020년 2~3월 석유시장 분석 보고서'를 통해 "국제 유가 하락에 비해 국내 주유소 기름값은 충분히 인하되지 않고 있다"며 "정유사와 주유소는 국제 유가 하락에 맞춰 가격을 더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진우/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국제 유가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주유소에서 파는 기름값의 하락세는 더디기만 하다. 소비자들은 궁금하다. 국제 유가가 떨어지는 만큼 국내 주유소 기름값은 왜 내리지 않는지. 정유업체들이 중간에서 마진을 다 가져가기 때문은 아닐지.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37.6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역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전거래일인 지난 17일 종가 18.27달러에서 55.90달러가 폭락했다.
반면 21일 오전 국내 주유소 휘발유값 평균은 리터(ℓ)당 1306원으로 지난 17일(1318원) 대비 12원(0.9%) 하락했다. 국제 유가는 300% 넘게 떨어졌는데 국내 기름값은 1% 하락에 그친 셈이다.
◆ 높은 세금 비중에 하락폭 제한
전문가들과 정유업계는 "기름값의 60%가 세금이기 때문에 국제유가 대비 등락폭이 제한된다"고 설명한다. 또 정유사들이 중동에서 원유를 구입해 국내까지 운송하는 데 2~3주 가량이 소요되기 때문에 시차도 발생한다고 했다.
조상범 대한석유협회 팀장은 "국내 기름값에는 리터당 교통세 교육세 주행세 부가세 등 60%가량의 세금이 포함된다"며 "세금 비중이 높은 만큼 국제유가 하락폭이 전부 반영되기 어려운 구조"라고 말했다.
휘발유를 예로 들면 리터당 교통세 529원, 교육세 79.35원(교통세의 15%), 주행세 137.54원(교통세의 26%)의 세금이 붙는다. 여기에 판매 가격의 10%인 부가세가 추가된다. 결국 리터당 1300원인 휘발유 가격 가운데 세금만 800원 넘게 부과된다. 기름을 수입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도 국제 유가 하락이 즉각 반영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한다. 정유사들이 원유를 구입해 배로 선적 옮겨오는 데는 2~3주 가량이 걸린다. 여기에 개별 주유소들이 주로 한 번에 1~2주 판매량을 들여오기 때문에 재고가 소진되기 전까지 국제유가 하락분이 반영되는 건 쉽지 않다.
결과적으로 정유사가 원유를 수입하는데 2~3주, 개별 주유소들이 재고를 소진하는데 1~2주가 필요해 국제유가 하락이 국내 주유소 기름값에 반영되는 데 한 달 이상이 걸리게 된다.
◆ "모든 걸 감안해도 너무 늦게 떨어져"
환율이 급등한 것도 국내 기름값 하락을 막는 원인이다. 정유사들은 원유를 수입할 때 미국 달러화로 사오는데 환율이 급등하면서 지급해야 할 원화가 늘었다. 환차손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국내 기름값을 큰 폭으로 내릴 수 없는 것이다. 실제 지난 2월까지 1100원대에 머물던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1200원대로 치솟은 상태다.
하지만 이 모든 걸 감안해도 국제유가 하락폭에 비해 국내 기름값 하락세가 너무 느리다는 게 대다수 소비자들의 반응이다. 오를 땐 빨리 올리더니 내릴 땐 천천히 내린다는 불만이다.
에너지·석유시장 감시단은 최근 '2020년 2~3월 석유시장 분석 보고서'를 통해 "국제 유가 하락에 비해 국내 주유소 기름값은 충분히 인하되지 않고 있다"며 "정유사와 주유소는 국제 유가 하락에 맞춰 가격을 더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진우/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