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주자' 당대표는 임기 6개월…여 '당권·대권 분리' 손볼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선 1년 전 사퇴' 규정…"대선주자 출마에 걸림돌" vs "특정후보 밀어주기"
민주 '거여' 되면서 차기 리더십 중요해져…"효과적 운영방안 고민"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8월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권·대권 분리 규정을 보완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새 당 대표의 임기는 2년이지만, 당권·대권 분리 규정으로 차기 당 대표가 대선에 뛰어들려면 임기를 6개월 정도만 채우고 중도 사퇴해야 하기 때문이다.
당 일각에서 이낙연 코로나19국난극복대책위원장 등 대선주자들의 전대 출마 가능성을 열어두기 위해 이 규정을 손봐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그러나 규정을 바꿀 경우 당권·대권 분리의 애초 취지에 맞지 않고, 다른 당권·대권 후보들의 반발 가능성이 커 실제 개정이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21일 민주당 관계자 등에 따르면 차기 당권 경쟁 구도의 핵심은 바로 당권·대권 분리 규정이다.
민주당 당헌 제25조에는 '당 대표 및 최고위원이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고자 하는 때에는 대통령 선거일 전 1년까지 사퇴해야 한다'고 나와 있다.
또 당 대표가 임기 8개월 이상을 남기고 사퇴할 때에는 2개월 안에 임시전당대회를 열어 당 대표를 선출해야 한다.
차기 대선은 2022년 3월 9일 예정돼 있기 때문에 현 규정대로라면 새로 뽑힌 당 대표가 대선에 출마할 경우 2021년 3월 9일 이전에 사퇴해야 한다.
현 이해찬 대표의 임기가 오는 8월 24일 끝나므로 대선주자가 당 대표가 될 경우에는 내년 3월 9일 이전까지 임기 6개월짜리 당 대표가 되는 것이다.
또 새 대표 선출을 위해 또다시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민주당의 한 재선 의원은 "당권·대권 분리 규정이 정리돼야 하는 사정이 있어서 당권 경쟁 구도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여권의 유력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이낙연 위원장의 경우에도 현행 당권·대권 분리 규정대로라면 전대 출마가 부담되는 상황이다.
당장 임기 문제를 가지고 상대 후보들의 공격을 받을 수 있다.
당권·대권 분리 규정을 보완해야 한다는 의견은 주로 이 위원장 등 대선주자들의 전대 참여에 무게를 싣는 쪽에서 나오고 있다.
당 관계자는 "어느 때보다도 안정적인 리더십이 중요해진 상황에서 1년 전 물러나야 한다는 현행 규정 자체가 걸림돌이 돼서 일부 후보의 전대 출마를 가로막아선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권·대권 분리 규정은 애초 '제왕적 대표'를 막고 공정한 대선 경쟁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됐다는 점에서 개정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또 다른 재선 의원은 "당권·대권 분리 규정은 주자들의 이해관계 때문에 개정이 쉽지 않다"며 "특정 후보 밀어주기라는 반발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민주당 지도부는 이번 총선으로 180석(더불어시민당 의석 포함)의 '거대 여당'이 되면서 차기 리더십에 대한 고심이 깊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과거 개혁입법 추진 과정에서 극심한 내홍을 겪은 열린우리당의 전례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안정적인 리더십의 당내 수요가 높아지는 상황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국민이 180석을 몰아줬는데 어떻게 첫 정기국회를 잘 치를지, 어떻게 당을 운영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지, 차기 대권후보는 어떤 민주적 절차를 통해 뽑을지 등 현 지도부가 여러 가지 다각적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민주 '거여' 되면서 차기 리더십 중요해져…"효과적 운영방안 고민"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8월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권·대권 분리 규정을 보완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새 당 대표의 임기는 2년이지만, 당권·대권 분리 규정으로 차기 당 대표가 대선에 뛰어들려면 임기를 6개월 정도만 채우고 중도 사퇴해야 하기 때문이다.
당 일각에서 이낙연 코로나19국난극복대책위원장 등 대선주자들의 전대 출마 가능성을 열어두기 위해 이 규정을 손봐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그러나 규정을 바꿀 경우 당권·대권 분리의 애초 취지에 맞지 않고, 다른 당권·대권 후보들의 반발 가능성이 커 실제 개정이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21일 민주당 관계자 등에 따르면 차기 당권 경쟁 구도의 핵심은 바로 당권·대권 분리 규정이다.
민주당 당헌 제25조에는 '당 대표 및 최고위원이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고자 하는 때에는 대통령 선거일 전 1년까지 사퇴해야 한다'고 나와 있다.
또 당 대표가 임기 8개월 이상을 남기고 사퇴할 때에는 2개월 안에 임시전당대회를 열어 당 대표를 선출해야 한다.
차기 대선은 2022년 3월 9일 예정돼 있기 때문에 현 규정대로라면 새로 뽑힌 당 대표가 대선에 출마할 경우 2021년 3월 9일 이전에 사퇴해야 한다.
현 이해찬 대표의 임기가 오는 8월 24일 끝나므로 대선주자가 당 대표가 될 경우에는 내년 3월 9일 이전까지 임기 6개월짜리 당 대표가 되는 것이다.
또 새 대표 선출을 위해 또다시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민주당의 한 재선 의원은 "당권·대권 분리 규정이 정리돼야 하는 사정이 있어서 당권 경쟁 구도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여권의 유력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이낙연 위원장의 경우에도 현행 당권·대권 분리 규정대로라면 전대 출마가 부담되는 상황이다.
당장 임기 문제를 가지고 상대 후보들의 공격을 받을 수 있다.
당권·대권 분리 규정을 보완해야 한다는 의견은 주로 이 위원장 등 대선주자들의 전대 참여에 무게를 싣는 쪽에서 나오고 있다.
당 관계자는 "어느 때보다도 안정적인 리더십이 중요해진 상황에서 1년 전 물러나야 한다는 현행 규정 자체가 걸림돌이 돼서 일부 후보의 전대 출마를 가로막아선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권·대권 분리 규정은 애초 '제왕적 대표'를 막고 공정한 대선 경쟁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됐다는 점에서 개정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또 다른 재선 의원은 "당권·대권 분리 규정은 주자들의 이해관계 때문에 개정이 쉽지 않다"며 "특정 후보 밀어주기라는 반발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민주당 지도부는 이번 총선으로 180석(더불어시민당 의석 포함)의 '거대 여당'이 되면서 차기 리더십에 대한 고심이 깊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과거 개혁입법 추진 과정에서 극심한 내홍을 겪은 열린우리당의 전례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안정적인 리더십의 당내 수요가 높아지는 상황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국민이 180석을 몰아줬는데 어떻게 첫 정기국회를 잘 치를지, 어떻게 당을 운영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지, 차기 대권후보는 어떤 민주적 절차를 통해 뽑을지 등 현 지도부가 여러 가지 다각적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