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정세균 국무총리가 황폐화된 경제를 정상화를 논할 정도의 여유가 생겼다고 말했다. 이에 경제 회복을 위한 정책에 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2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대해 "일상을 빼앗아 갔을 뿐 아니라 경제활동을 어렵게 하면서 국민경제를 황폐하게 만들었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충격파와 관련, "정말 무서운 것은 이 파장이 어디까지 갈 것인지 누구도 쉽게 예측하기조차 어렵다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정 총리는 "취업을 준비하던 청년부터 자영업자, 근로소득자, 기업인까지 어렵지 않은 국민이 없다"며 "당장 취약계층은 생계를 위협받고 있고 기업은 생존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신규 확진자가 10명 내외로 줄어 전반적 상황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면서, "언제든지 대규모 확산이 재발할 수 있어 긴장을 풀 수는 없지만 코로나19로 피폐해진 경제생활의 정상화를 논의할 정도의 여유는 생겼다"고 언급했다.

이는 그동안 방역과 경제라는 양대 과제 중 방역을 우선해왔지만 일일 신규 확진자가 한자릿수대를 기록하는 등 코로나19 발생 상황이 안정세를 유지함에 따라 경제 회복으로 본격 무게중심을 옮기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 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농어민들은 국제물류 마비로 수출 통로가 막혔고, 학교급식으로 소비되던 친환경 농산물은 많은 물량이 수확되지 못한 채 폐기되고 있다"며 농수산물 소비촉진 방안을 논의하겠다고도 밝혔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