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미래통합당 총괄선대위원장이 5일 오전 이은권 대전 중구 후보 선거사무실에서 열린 대전 현장 선거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스1
김종인 미래통합당 총괄선대위원장이 5일 오전 이은권 대전 중구 후보 선거사무실에서 열린 대전 현장 선거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스1
총선 참패 수습 방안을 마련 중인 미래통합당이 조기 전당대회 대신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가기로 결정했다.

통합당은 22일 오전 10시 최고위원회를 열고 다수 의견에 따라 '김종인 비대위체제 전환'을 결정했다.

심재철 통합당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최고위가 끝난 뒤 기자들에게 "의원총회 이후 한번 더 구체적인 의견을 수렴했다"며 "다수 의견에 따라 김종인 비대위로 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통합당은 어제 밤까지 당 소속 제 20대 국회의원과 21대 당선자 등 총 142명을 대상으로 선거 패배를 수습할 지도체제에 대해 전수 조사를 실시했다.

심 원내대표는 "이미 최고위에서는 의견을 모았었다"며 "142명 중 2명이 연락이 되지 않았고, 지금 상황에서 과반이 넘는 의견이 '김종인 비대위'에 찬성을 했다"고 밝혔다.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이 비대위원장 직을 수락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받아들이실 것이라 생각한다"면서도 "일단 만나 뵙고 의견을 듣겠다"고 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아침 CBS 라디오에 출연해 "조기 전당대회가 전제된다면 (비대위원장직을) 맡을 수 없다"며 "비상대책위원회의 기간을 정하지 않고 전권을 가져야만 비대위원장직을 맡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 대선을 어떻게 끌고 갈지 준비가 철저히 되지 않고서는 지금 비대위를 만드는 의미가 없다"고 덧붙였다.

김 전 위원장의 발언은 대선 준비에 본격적으로 돌입하게 되는 올해 말까지 당의 전권을 가져야만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편 당내에서는 김종인 카드가 전혀 신선하지 않다는 비판도 나온다.

김 전 위원장은 총선 과정에서 수차례 미래통합당을 민주통합당, 더불어민주당으로 잘못 말해 논란을 일으켰다.

김 전 위원장은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을 도왔으나, 2016년 총선에선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다. 이어 이번 총선에선 다시 미래통합당 선대위원장을 맡았다.

김 전 위원장은 총선이 끝난 직후 비대위원장 추대설이 나오자 "솔직히 이야기해서 그 당(통합당)에 관심이 없다"고 해 무책임하다는 비판도 받았다.

총선 기간 박형준 당시 공동선대위원장이 "개헌 저지선이 위태롭다"며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했지만 김 전 위원장은 "동정을 받으려는 엄살"이라고 일축해 보수 유권자 결집을 방해했다는 비판도 있다.

총선 당일에는 "통합당이 1당 하는 데는 별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선거 결과와 전혀 다른 예측을 내놓기도 했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