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미래통합당은 22일 당을 조속히 비상대책위원회로 전환하고, 비대위원장에 김종인 전 통합당 총괄 선거대책위원장을 영입하기로 했다.

심재철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은 통합당 현역 의원과 21대 총선 당선인 142명 중 140명을 상대로 전화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 같은 의견이 다수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심 권한대행은 "김종인 비대위 의견이 다수였고, 그래서 김종인 비대위로 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종인 비대위' 찬성률을 묻는 질문에 "조사해본 결과 과반의 의견이 나왔다"고 답했다.

140명 중 '김종인 비대위 찬성'은 62명, 현행 권한대행 체제에서의 조기 전대는 43명으로 전해진다. '오세훈 비대위'와 '김무성 비대위'도 각각 2명이었다. 나머지는 '당선인 대회를 열어 정하자'는 등의 답변이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김종인 비대위'에 대한 찬성률은 40% 초반에 그친 셈이다.

이에 대해 조경태 최고위원은 한 언론사와의 통화에서 "과반을 얻지 못한 '김종인 카드'는 무효라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조 최고위원은 "하루빨리 당선인 대회를 열어 차기 원내대표를 뽑고, 정상적인 전대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우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아무리 급해도 모여서 토론도 제대로 해보지 않고 전화 여론조사라니. 그것도 위원장의 기한도 정해지지 않은 전권을 갖는 비대위라니, 도대체 당이 이제 집으로 가게 될 최고위원들의 사유물이던가"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김종인 전 위원장은 임기에 제한을 두지 않고, 당헌·당규에 구애받지 않는 '전권'이 주어지면 비대위원장직을 맡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비상대책이라는 것은 당헌·당규에 너무 집착하다 보면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며 "국가가 비상 상태를 맞아 비상계엄령을 선포하면 헌법도 중지되는 것"이라고도 했다.

이날 최고위에선 그러나 비대위원장의 임기나 권한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없었다고 비공개 최고위 참석자들이 전했다. 심 권한대행은 이날 오후 시내 모처에서 김 전 위원장을 만나 비대위원장직 수락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위원장은 심 권한대행에게 "내일쯤 답을 주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하면 통합당은 28일께 전국위원회를 열어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을 확정하고, 권한대행 체제의 현 지도부는 사퇴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