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發 쇼크' 1분기 성장률 -1.4%…글로벌 금융위기 후 최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1.4%를 기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다. 가계의 체감심리가 급격히 얼어붙으면서 민간소비 증가율이 외환위기를 겪던 1998년 후 최저치를 기록한 영향이다. 소상공인이 몰려 있는 도소매업종과 항공사를 비롯한 운수업종 생산이 눈에 띄게 쪼그라들었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치)은 460조9703억원으로 전분기(467조4949억원) 대비 1.4% 하락했다. 소수점 두번째 자리로는 1.40%다. 분기 기준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4분기(-3.3%) 후 11년3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전년 동기 기준 1분기 성장률은 1.3%로 2009년 3분기(0.9%) 후 최저치다. 박양수 한은 금융통계국장은 "코로나19 충격이 1분기 성장률을 1.9~2%포인트 끌어내렸다"고 말했다. 국민의 실질 구매력을 보여주는 소득지표인 실질 국내총소득(GDI)도 1분기에 0.4% 감소했다.
국내총생산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민간소비 감소율은 6.4%를 기록한 영향이다. 감소율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분기(-13.8%) 후 가장 컸다. 민간소비는 국내총생산을 3.1%포인트 끌어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가계가 소비심리가 급격히 나빠졌고 바깥 나들이와 씀씀이를 줄인 영향이다. 한은이 발표한 3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달에 비해 18.5포인트 급락한 78.4로 나타났다. 이 지수가 기준선(100)보다 낮을수록 소비자 체감경기가 나쁘다는 뜻이다. 지난달 지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3월(72.8) 후 가장 낮았다. 지역사회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가 3월22일부터 실시한 사회적 거리두기도 소비 위축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민간소비를 제외한 항목들은 선전했다. 공장에 들어가는 기계류 등의 투자를 가리키는 설비투자는 0.2% 늘었다. 아파트 건설과 공장, 물류창고, 댐, 교량 등을 아우르는 건설투자는 1.3% 증가했다. 정부소비도 0.9% 증가했다.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예산을 1분기에 당겨서 집행한 영향이다. 수출은 2% 줄어드는 데 그쳤다. 자동차 기계류 화학제품 수출물량이 줄었지만 반도체가 늘어난 영향이다.
◆항공업계·자영업자 경기 최악
성장률을 경제활동별로 살펴보면 항공업계와 자영업자의 팍팍한 현실이 드러난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 분기 대비 2.0% 감소했다. 서비스업 가운데 자영업자가 몰린 도소매숙박음식업종 생산은 6.5%, 항공업체가 포함된 운수업은 12.6% 줄었다. 관광객이 줄고 소비활동이 위축되면서 자영업자가 직격탄을 맞은 데다. 세계 각국이 코로나19를 막기 위해 국경을 막으면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은 생존 기로에 섰다. 한국 경제의 버팀목인 제조업의 생산 1.8% 감소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코로나19로 관광객이 감소하고 소비활동이 줄면서 숙박업체와 소매업체를 비롯한 서비스업종이 직격탄을 맞았다"며 "중국 공장에서 부품을 조달하지 못한 국내 제조업체들이 1분기에 공장을 멈춘 여파로 실적이 나빠졌다"고 말했다.
이 같은 기업과 자영업자 위기는 고용과 소비에 재차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실적이 쪼그라든 기업이 고용을 주저하면서 가계의 소비여력도 급감하기 때문이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2660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9만5000명 감소했다. 취업자 수가 줄어든 것은 10년2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 같이 내수가 위축되면 재차 기업 실적도 나빠질 가능성이 높다. '코로나19 충격→내수 위축→기업 실적 감소→고용 감소→내수 위축'으로 이어지는 악순환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는 평가다.
◆1분기 성장세 이어지면 '-5.4%'
경기침체의 골은 2분기에 더 깊어질 전망이다. 소비가 갈수록 위축되는 데다 수출길이 본격적으로 좁아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핵심 수출시장인 미국과 유럽으로 코로나19 충격이 거세게 불어닥치고 있다. 수출길이 막히는 데다 각국의 공장이 방역을 위해 가동을 멈추고 있는 등 글로벌 공급망 붕괴도 진행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4월 1~20일 수출이 217억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6.9% 줄었다. 2분기 소비와 수출이 동시에 나빠지면서 1분기 성장률을 밑돌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올해 2분기부터는 글로벌 경기 침체가 본격화하면서 실물·고용충격이 확대될 우려가 커졌다"고 말했다. 올해 연간 기준으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배제하기도 어려워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제통화기금(IMF·-1.2%)과 국제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1.5%) 등은 올해 한국이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1분기 성장률이 2~4분기에도 이어진다고 가정하면 연간 경제성장률은 -5.5%를 기록한다. 역대 최악인 1998년(-5.1%) 성장률보다 더 나쁜 수준이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치)은 460조9703억원으로 전분기(467조4949억원) 대비 1.4% 하락했다. 소수점 두번째 자리로는 1.40%다. 분기 기준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4분기(-3.3%) 후 11년3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전년 동기 기준 1분기 성장률은 1.3%로 2009년 3분기(0.9%) 후 최저치다. 박양수 한은 금융통계국장은 "코로나19 충격이 1분기 성장률을 1.9~2%포인트 끌어내렸다"고 말했다. 국민의 실질 구매력을 보여주는 소득지표인 실질 국내총소득(GDI)도 1분기에 0.4% 감소했다.
국내총생산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민간소비 감소율은 6.4%를 기록한 영향이다. 감소율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분기(-13.8%) 후 가장 컸다. 민간소비는 국내총생산을 3.1%포인트 끌어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가계가 소비심리가 급격히 나빠졌고 바깥 나들이와 씀씀이를 줄인 영향이다. 한은이 발표한 3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달에 비해 18.5포인트 급락한 78.4로 나타났다. 이 지수가 기준선(100)보다 낮을수록 소비자 체감경기가 나쁘다는 뜻이다. 지난달 지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3월(72.8) 후 가장 낮았다. 지역사회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가 3월22일부터 실시한 사회적 거리두기도 소비 위축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민간소비를 제외한 항목들은 선전했다. 공장에 들어가는 기계류 등의 투자를 가리키는 설비투자는 0.2% 늘었다. 아파트 건설과 공장, 물류창고, 댐, 교량 등을 아우르는 건설투자는 1.3% 증가했다. 정부소비도 0.9% 증가했다. 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예산을 1분기에 당겨서 집행한 영향이다. 수출은 2% 줄어드는 데 그쳤다. 자동차 기계류 화학제품 수출물량이 줄었지만 반도체가 늘어난 영향이다.
◆항공업계·자영업자 경기 최악
성장률을 경제활동별로 살펴보면 항공업계와 자영업자의 팍팍한 현실이 드러난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 분기 대비 2.0% 감소했다. 서비스업 가운데 자영업자가 몰린 도소매숙박음식업종 생산은 6.5%, 항공업체가 포함된 운수업은 12.6% 줄었다. 관광객이 줄고 소비활동이 위축되면서 자영업자가 직격탄을 맞은 데다. 세계 각국이 코로나19를 막기 위해 국경을 막으면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은 생존 기로에 섰다. 한국 경제의 버팀목인 제조업의 생산 1.8% 감소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코로나19로 관광객이 감소하고 소비활동이 줄면서 숙박업체와 소매업체를 비롯한 서비스업종이 직격탄을 맞았다"며 "중국 공장에서 부품을 조달하지 못한 국내 제조업체들이 1분기에 공장을 멈춘 여파로 실적이 나빠졌다"고 말했다.
이 같은 기업과 자영업자 위기는 고용과 소비에 재차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실적이 쪼그라든 기업이 고용을 주저하면서 가계의 소비여력도 급감하기 때문이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2660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9만5000명 감소했다. 취업자 수가 줄어든 것은 10년2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 같이 내수가 위축되면 재차 기업 실적도 나빠질 가능성이 높다. '코로나19 충격→내수 위축→기업 실적 감소→고용 감소→내수 위축'으로 이어지는 악순환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는 평가다.
◆1분기 성장세 이어지면 '-5.4%'
경기침체의 골은 2분기에 더 깊어질 전망이다. 소비가 갈수록 위축되는 데다 수출길이 본격적으로 좁아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핵심 수출시장인 미국과 유럽으로 코로나19 충격이 거세게 불어닥치고 있다. 수출길이 막히는 데다 각국의 공장이 방역을 위해 가동을 멈추고 있는 등 글로벌 공급망 붕괴도 진행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4월 1~20일 수출이 217억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6.9% 줄었다. 2분기 소비와 수출이 동시에 나빠지면서 1분기 성장률을 밑돌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올해 2분기부터는 글로벌 경기 침체가 본격화하면서 실물·고용충격이 확대될 우려가 커졌다"고 말했다. 올해 연간 기준으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배제하기도 어려워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제통화기금(IMF·-1.2%)과 국제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1.5%) 등은 올해 한국이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1분기 성장률이 2~4분기에도 이어진다고 가정하면 연간 경제성장률은 -5.5%를 기록한다. 역대 최악인 1998년(-5.1%) 성장률보다 더 나쁜 수준이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