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비대위만 8번…통합당, '김종인 카드'는 성공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근혜 비대위 빼고 모두 실패
'강력한 리더십' 체제하에서만 성공
"김종인도 이를 알고 전권 요구"
'강력한 리더십' 체제하에서만 성공
"김종인도 이를 알고 전권 요구"
![김종인 전 미래통합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22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자택으로 들어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004/01.22433759.1.jpg)
통합당은 이번 비대위가 첫 비대위지만 전신 정당들을 거치면서 지난 10년간 7번의 비대위를 출범시킨 바 있다. 한나라당과 새누리당 그리고 자유한국당 시절 비대위의 역사는 △2010년 6월 김무성 비대위 △2011년 5월 정의화 비대위 △2011년 12월 박근혜 비대위 △2014년 5월 이완구 비대위 △2016년 6월 김희옥 비대위 △2016년 12월 인명진 비대위 △2018년 7월 김병준 비대위로 이어져 왔다.
![2004년 당시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한나라당(미래통합당 전신) 당사를 천막당사로 옮기기 위해 현판을 내리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004/01.22433778.1.jpg)
당시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당명을 한나라당에서 새누리당으로 변경해 당 분위기를 쇄신했으며 현역 의원의 25%를 공천에서 탈락시키는 등 강도 높은 개혁을 단행했다. 그 결과 새누리당은 전체 의석수의 과반이 넘는 152석을 차지해 원내 1당의 자리를 지켰다. 김종인 전 위원장은 박근혜 비대위에도 참여해 총선과 대선 승리의 공신으로 평가받았다.
이 같은 박근혜 비대위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유력 대권 주자라는 점에서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미래통합당 전신) 제19대 대통령 선거 후보 선출을 위해 2017년 3월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인명진 비대위원장이 당기를 흔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004/01.22433784.1.jpg)
4달 뒤 새누리당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되자 다시 비대위 체제로 전환했다. 갈릴리교회 원로목사였던 인명진 전 윤리위원장을 비대위원장으로 영입했다.
인명진 비대위는 당명을 자유한국당으로 바꾸며 친박계 청산에 나섰으나 정족수 미달로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지 못하는 등 비대위 구성부터 친박계 반발에 부딪혀 난관에 봉착했다. 친박계 좌장인 서청원·최경환 의원에 대한 징계도 당원권 정지에만 그치면서 말뿐인 혁신 아니냐며 비판에 휩싸였다. 결국 인명진 비대위는 친박의 벽을 넘지 못한 채 3개월 만에 끝났다.
![2018년 12월 당시 김병준 자유한국당(미래통합당 전신) 비대위원장이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당내 계파정치 타파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정치개혁 구상 'i폴리틱스'를 발표했다. /사진=김범준 기자 bjk07@hankyung.com](https://img.hankyung.com/photo/202004/01.22433798.1.jpg)
통합당 관계자는 "그동안 비대위의 성공 여부는 결국 강력한 리더십이였다"면서 "대선 주자도 아니고 총선도 끝난 상황에서 발휘할 수 있는 리더십은 전권밖에 없는 만큼 김종인 전 위원장도 이를 알고 이 같은 요구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준혁 한경닷컴 기자 pressc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