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가속기 포항 유치 '관심'…입지, 정치여건 불리
차세대 방사광가속기를 경북 포항에 유치하려는 경북도와 포항시 계획이 실현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26일 포항시 등에 따르면 신규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에 포항을 비롯해 강원 춘천, 전남 나주, 충북 청주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유치의향서를 냈다.

방사광가속기는 원자핵이나 전자 등을 가속, 충돌시켜 물질의 미세 구조를 분석하는 대형 연구시설이다.

전문가로 구성된 부지선정평가위원회는 다음 달 6∼7일 평가를 거쳐 입지를 발표한다.

도와 시는 객관적인 여건을 따졌을 때 포항이 가장 앞선다고 자체 평가한다.

정부와 포항시 등은 포항공대 인근 땅에 이미 3세대와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3세대는 도넛 모양, 4세대는 직선 모양 가속기다.

정부는 2027년까지 1조원을 들여 저장링 둘레가 280m인 3세대 가속기보다 큰 저장링 둘레 약 700m의 가속기를 만들 계획이다.

크기가 크면 훨씬 더 많은 연구팀이 실험할 수 있다.

도와 시는 애초 기존 3·4세대 방사광가속기 인근 10만㎡ 땅에 차세대 방사광가속기를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연구시설이나 숙소 등을 갖춘 만큼 저장링만 추가하면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소 26만㎡의 대지를 확보해야 한다는 조건에 따라 포항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로 유치 대상부지를 변경했다.

도와 시는 기존 가속기 건설 및 운영기법을 보유한 인력이 많은 것도 장점이라고 본다.

차세대 가속기 포항 유치 '관심'…입지, 정치여건 불리
그러나 현재 돌아가는 판세는 포항이 불리한 편이다.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 부지 유치 공모계획 평가항목과 기준이 기본요건(25점)·입지 조건(50점)·지자체 지원(25점)으로 시설 접근성, 배후도시 정주여건 등 입지에 가장 큰 비중을 뒀다.

수도권에서 멀어서 접근성이 떨어지는 포항이 불리할 수밖에 없다.

다른 지역은 모두 현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국회의원에 당선됐지만 포항은 미래통합당 후보가 당선돼 국회를 통한 간접 지원도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4·15 총선을 앞두고 지난 8일 광주에서 "차세대 원형 방사광가속기 유치와 이(E)모빌리티 신산업 생태계를 광주·전남에 구축해 호남을 미래첨단산업 중심지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가 논란을 빚었다.

민주당은 곧바로 정정사항 공지문을 통해 "4세대 원형 방사광가속기 유치에 충북도와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겠다는 발언이 생략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결국 민주당은 나주와 청주를 후보로 본다는 속내를 보인 셈이다.

시 관계자는 "객관적으로 볼 때는 포항이 가장 유리하지만 결과는 알 수 없다"며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 합리적으로 판단하리라고 보며 평가에 맞춰 잘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차세대 가속기 포항 유치 '관심'…입지, 정치여건 불리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