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은행은 20세기 초반 농업협동조합운동의 시동을 계기로 탄생했다. 손병환 농협은행장은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휴먼뱅크를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농협은행 제공
농협은행은 20세기 초반 농업협동조합운동의 시동을 계기로 탄생했다. 손병환 농협은행장은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휴먼뱅크를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농협은행 제공
농협은행은 1958년 설립된 농업은행을 계승하는 상업은행이다. 증권, 보험 등의 금융업 전반을 영위하는 농협금융지주 산하 은행법인이다. 현재는 농협금융지주를 농협중앙회가 지배하지만, 농협과 농협은행의 뿌리는 같다. 그래서 농협은행의 역사는 한국 농업협동조합 운동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58년 농업은행이 모태

농협은 20세기 격동의 한국 역사 속에서 성장했다. 농협 성립은 대한제국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7년 ‘지방금융조합규칙’ 칙령을 계기로 지방금융조합들이 설립되기 시작했다. 한·일 강제 병합을 계기로 지방금융연합회는 조선금융조합연합회로 명칭을 바꿔 명맥을 이어갔다.

6·25전쟁 이후 자유당 정권은 농협법 입법화를 추진했다. 1957년 농업협동조합법과 농업은행법이 제정됐고, 1958년 농업은행이 설립됐다. 1961년 박정희 정부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선 농업협동조합과 농업은행을 다시 합병시켰다. 농협중앙회가 만들어져 농협이 은행업과 농업지원 사업을 모두 영위하게 됐다. 1980년대 민주화 시대, 농협에도 직선제를 도입되는 등 변화의 바람이 몰아쳤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금융환경이 급변하면서 농민을 지원하는 경제부문과 금융부문의 분리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농협은 오랜 연구 끝에 2012년 농협중앙회 사업을 금융지주와 경제지주로 분리하는 이른바 ‘신경분리’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이때 농협은행도 농협금융지주의 자회사인 별도 법인으로 출범했다. 1961년 농업은행이 조합 내부로 흡수된 뒤 51년 만에 은행 법인이 다시 설립된 것이다. 농협은행은 다른 은행처럼 은행법이 아닌 특별법에 근거해 설립된 특수은행으로 분류된다.

국내 자본 100% 민족은행

농협은행은 100% 국내 자본으로 설립된 민족은행이다. 1100여 개의 전국 최대 지점망을 갖고 있다. 도·농지역 점포 비중이 다른 은행들에 비해 높다는 것도 자랑거리다. 금융 소외계층을 위한 금융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지방자치단체 금고를 관리하는 ‘나라 살림 전문 은행’으로도 꼽힌다. 창출된 수익은 농업·농촌 지원사업으로 다시 환원하고 농심(農心)의 기본 가치를 국민과 함께 나눠 ‘농가소득 5000만원 시대’를 여는 게 목표다.

농협은행은 1984년 은행신용카드 업무를 시작했다. 30여 년간 결제 및 디지털 금융 노하우를 축적했다. 1990년 중앙회 전 점포와 회원조합 간을 연결하는 전국 최대 규모의 온라인 전산망을 구축했다. 농협은행 출범 뒤에는 스마트 앱 개발에 적극 나섰다.

2018년 말 내놓은 모바일 앱 NH스마트뱅킹은 ‘은행 간편금융의 집대성’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비밀번호 6자리만으로 모든 금융서비스를 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올원상담봇(챗봇), 음성뱅킹 기능을 넣고 패턴인증 등을 도입했다. 2018년 9월 베트남에서도 올원뱅크 서비스를 시작했다. 베트남 현지인을 겨냥해 계좌 잔액 및 거래 내역을 조회할 수 있고, 이체도 할 수 있게 만들었다. 현지인이 많이 사용하는 전자지갑 서비스도 붙이기로 했다.

‘휴먼뱅크’로 도농 간 격차 해소

농협은행은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도농 간 격차를 해소하는 ‘휴먼뱅크’를 경영 목표로 삼고 있다. 농업인 고객을 대상으로 한 금융 교육 등 사회공헌사업을 적극 진행 중이다.

농협은행은 2011년부터 7년 연속으로 은행권에서 사회공헌활동비 지출 규모가 가장 많았다. 매년 1000억원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 농촌지역의 소외계층을 위한 어르신 말벗 서비스와 금융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행복채움금융교실 등을 운영하고 있다.

금융회사라는 ‘특기’를 살려 행복채움 금융교실, 1사1교 금융교육, 모두레 어린이 경제·금융교실을 운영한다. 아동·청소년, 노인 등 금융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금융교육을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농협은행은 ‘NH행복채움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농업인과 혁신기업, 소외계층의 자립 및 청년 일자리 창출 사업에 총 42조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하는 게 목표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