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 확산규모 조사한다…당국 "일정·방법 검토 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로나19 브리핑하는 정은경 본부장.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004/01.22419941.1.jpg)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27일 정례브리핑에서 "어떤 항체검사법을 적용해 검사를 시행할지, 방법에 대해 전문가들과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며 "방법과 일정, 조사대상이 정리되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항체조사에 활용할 방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국내에서 개발한 면역진단키트(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는 방식) 일부는 수출용 허가를 받았을 뿐, 국내에 허가된 제품이 없는 상황이다.
정 본부장은 "대량의 검사를 할 수 있는 항체검사법이나 시약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수출을 허가받은 항원·항체 신속검사법은 10여종 있지만, 임상으로 국내 허가가 난 제품은 아직 없다"고 밝혔다.
식약처 또한 지난 24일 배포한 '코로나19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에서 "항원, 항체를 이용한 제품의 경우에는 코로나19 진단 보조"라고 명시했다. 다만 식약처 관계자는 "가이드라인은 허가 심사에 활용되는 기준 등을 정리해 안내하는 수준"이라며 "(특정 제품을) 특별히 허가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만든 건 아니다"고 설명했다.
방역당국은 항체검사법을 확진 판정에 쓰지 않고 연구·보조용으로만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정 본부장 역시 "감염 초기에는 항체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감염환자 조기 확진에 이 방법은 적절하지 않고, 검사의 민감도도 PCR보다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