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서울에 거주하는 50대 공인회계사 A씨는 작년 말 경기 성남시 분당에 있는 집을 팔았다. 1가구 2주택자의 세금 부담이 더 커질 것이라고 판단했다. 세금을 제외하고 15억원을 손에 쥔 그는 지난 3월 중순 증권사 계좌로 돈을 옮겼다. 이 가운데 10억원으로 주식을 분할 매수했다.

뭉칫돈을 들고 주식시장을 찾는 ‘언택트 왕개미’가 늘고 있다. 창구를 찾지 않고 모바일로 거액을 거래하는 이들이다. 제로금리 시대에 갈 곳을 잃은 개인투자자들의 자금이 클릭 몇 번, 터치 몇 차례에 손쉽게 옮겨 가는 새로운 자금이동, ‘신(新) 머니 무브(money move)’가 진행되고 있다는 평가다.
몰려오는 '언택트 왕개미'…'억' 소리나게 증시 반등 이끈다
올해만 비대면 예탁금 10兆↑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주가가 급락하기 시작한 3월 중순부터 증권사 지점 영업맨들은 정신이 없었다. 전화와 카카오톡으로 고객들의 질문이 쏟아졌다. 하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증권사 창구로 찾아오지 않았다. 온라인으로 직접 계좌를 개설하고, 주식을 샀다.

주식시장에 개미들이 몰려들면서 올 들어서만 개인투자자의 예탁금은 14조원이나 늘었다. 25조원대에 머물던 누적 예탁금은 한때 47조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 가운데 올해 국내 대형 증권사에 유입된 비대면(언택트) 예탁금만 10조원을 웃도는 것으로 집계됐다.

고액 자산가 계좌가 많은 삼성증권이 대표적이다. 올 들어 4월 중순까지 삼성증권의 비대면 예탁금은 4조1000억원가량 늘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1조4000억원)에 비해 약 193% 급증했다. 다른 증권사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삼성증권을 비롯해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KB증권 등 국내 5개 대형 증권사의 비대면 예탁금은 이달까지 10조원 넘게 순증했다.

왕개미들이 담은 종목은?

증권사의 ‘비대면 고객’ 가운데 A씨처럼 1억원 이상을 증권계좌로 옮긴 자산가도 많았다. 삼성증권에 올해 새로 유입된 비대면 고객 중 1억원 이상을 투자한 사람은 1만 명을 넘어섰다. 이들의 예탁금만 올 들어 늘어난 4조원의 절반인 2조원에 달한다.

증권업계는 고액 언택트 투자자가 늘어난 배경으로 유튜브 대중화를 1차 원인으로 꼽는다. 유튜브가 50~60대의 미디어로 자리잡으면서 다양한 투자 아이디어를 얻고 여기서 배운 대로 모바일 또는 PC로 투자에 나선다는 얘기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비대면 서비스가 처음 시작됐던 2016년 14%에 불과했던 50~60대 투자자들의 비율이 올해는 26%까지 증가했다”고 말했다. 증권사들은 이들이 가장 강력한 경제력을 가진 연령층이란 점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언택트 왕개미’들의 투자 포트폴리오는 우량주에 쏠렸다. 모험을 하는 대신 금리보다 다소 높은 이익을 취하겠다는 의도다. 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을 사들였다. 폭락장에서 주가가 하락하자 장기투자를 노리고 우량주를 저점에 사들인 것이다. 코로나19로 제약·바이오 업종이 수혜주로 떠오르며 진단키트 대장주 씨젠을 비롯해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도 왕개미들의 관심을 받았다.

유튜브 열풍에 중년 왕개미 ‘엄지 투자’ 활발

엄청난 ‘언택트 왕개미’가 출현한 배경에 대한 또 다른 해석은 국내 억대 연봉자의 증가다. 2018년 억대 연봉자는 사상 처음 80만 명을 넘어섰다. 2014년에 비해 30만 명이 늘었다. 이들이 여윳돈을 굴릴 투자처로 주식시장을 선택했다는 얘기다.

또 문재인 정부 들어 쏟아진 규제에 A씨처럼 부동산을 매각한 사람이 많아져 유휴자금이 넘쳐나는 것도 언택트 왕개미 출현을 설명하는 가설이다. 작년 3월 6464건이던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12월 1만8298건 수준으로 늘었다. 여기에 사실상 제로금리에 가까운 저금리 기조가 이어져 부동산을 판 돈을 넣어둘 곳이 마땅치 않았다는 게 증권업계의 분석이다.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개 은행의 예·적금 현황(2020년 1~3월 기준)을 집계한 결과 총 165만4979개(19조2700억원)가 중도 해지됐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 배당수익률이 3%대인 점을 감안하면 은행 예적금 대신 우량 종목에 이목이 쏠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주식시장에서 1억원 이상을 굴리는 왕개미들이 급증한 것도 이 때문이다.

박재원/한경제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