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절반 이상 '코로나19로 생계와 경제위기 겪어'-경기연구원 설문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기도민의 절반 이상이 코로나19로 인해 생계와 경제위기를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경기연구원이 지난 13일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경기도민이 바라본 코로나19'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28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4.3%는 코로나19로 인한 가장 큰 피해로 ‘생계・경제위기’를 꼽았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이후 경기도가 가장 우선시해야 하는 분야로 ‘경제 회복’(44.8%)을 답했다.
이와 함께 도민은 메르스나 중증질환(암, 뇌질환 등)에 비해 코로나19 감염병을 훨씬 더 위험하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트레스, 불안감, 사회적 영향력 부문에서 메르스는 0.5%, 0.7%, 1.0%, 중증질환은 19.7%, 21.4%, 1.4%인 데 반해 코로나19는 64.9%, 67.4%, 75.8%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는 자녀양육 부담과 고용불안에 처한 연령대가 코로나19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위협감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세태도 반영했다.
고용불안이 심화되고 있는 40대가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68.1%), 불안감(69.3%), 사회적 영향력(79.4%) 등 각 분야에서 제일 높은 위험도를 보여 해당 연령대의 고용불안 심화와 함께 자녀의 개학연기에 따른 양육 부담에 대한 체감도를 반영했다.
또 코로나19로 인한 가장 큰 피해로는 응답자 54.3%가 ‘생계 및 경제위기’를 지적했고, 다음으로 ‘사회적 혼란 및 스트레스’(24.3%), ‘생명과 건강 훼손’(19.3%) 순으로 답했다.
가계소득이 낮을수록 위기감은 더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 원 미만인 계층 75.0%가 ‘생계 및 경제위기’로 인한 피해를 가장 크게 우려해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한편, 경기도가 코로나19에 잘 대응하고 있다는 응답률은 63.3%로, 잘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6.3%)보다 높게 나타났다.
도민들은 코로나19 이후 경기도가 가장 우선시해야 하는 분야로는 경기도민 44.8%가 ‘경제 회복’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생계 및 경제위기에 대한 사회적 피해가 가장 우려되고 경제 사정이 나빠졌다고 인식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다.
연령별로는 50대에서 55.7%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경제 회복’ 다음으로는 ‘위기대응 원칙 확립’(23.0%), ‘감염병 예방 보편화’(15.5%), ‘비접촉 문화 가속화’(13.0%) 등의 순위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경기침체가 두드러진 가운데, 경기도민 90.6%는 재난긴급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급 방안으로는 보편적 지원(모두에게 금전성 지급)이 68.4%로, 선별적 지원보다 선호도가 높았다.
김정훈 경기연구원 전략정책부장 “코로나19 전염 공포가 경제위기로 전이되는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사회・경제활동 심리 악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과감한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고용안정 정책을 최우선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부장은 이어 “이번 위기극복을 통해 인구구조 변화 대응, 산업・노동구조 재편, 디지털 경제 발전, 사회・경제적 양극화 완화 등 새로운 사회・경제 패러다임 형성을 위한 대전환의 계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28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4.3%는 코로나19로 인한 가장 큰 피해로 ‘생계・경제위기’를 꼽았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이후 경기도가 가장 우선시해야 하는 분야로 ‘경제 회복’(44.8%)을 답했다.
이와 함께 도민은 메르스나 중증질환(암, 뇌질환 등)에 비해 코로나19 감염병을 훨씬 더 위험하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트레스, 불안감, 사회적 영향력 부문에서 메르스는 0.5%, 0.7%, 1.0%, 중증질환은 19.7%, 21.4%, 1.4%인 데 반해 코로나19는 64.9%, 67.4%, 75.8%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는 자녀양육 부담과 고용불안에 처한 연령대가 코로나19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위협감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세태도 반영했다.
고용불안이 심화되고 있는 40대가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68.1%), 불안감(69.3%), 사회적 영향력(79.4%) 등 각 분야에서 제일 높은 위험도를 보여 해당 연령대의 고용불안 심화와 함께 자녀의 개학연기에 따른 양육 부담에 대한 체감도를 반영했다.
또 코로나19로 인한 가장 큰 피해로는 응답자 54.3%가 ‘생계 및 경제위기’를 지적했고, 다음으로 ‘사회적 혼란 및 스트레스’(24.3%), ‘생명과 건강 훼손’(19.3%) 순으로 답했다.
가계소득이 낮을수록 위기감은 더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 원 미만인 계층 75.0%가 ‘생계 및 경제위기’로 인한 피해를 가장 크게 우려해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한편, 경기도가 코로나19에 잘 대응하고 있다는 응답률은 63.3%로, 잘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6.3%)보다 높게 나타났다.
도민들은 코로나19 이후 경기도가 가장 우선시해야 하는 분야로는 경기도민 44.8%가 ‘경제 회복’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생계 및 경제위기에 대한 사회적 피해가 가장 우려되고 경제 사정이 나빠졌다고 인식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다.
연령별로는 50대에서 55.7%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경제 회복’ 다음으로는 ‘위기대응 원칙 확립’(23.0%), ‘감염병 예방 보편화’(15.5%), ‘비접촉 문화 가속화’(13.0%) 등의 순위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경기침체가 두드러진 가운데, 경기도민 90.6%는 재난긴급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급 방안으로는 보편적 지원(모두에게 금전성 지급)이 68.4%로, 선별적 지원보다 선호도가 높았다.
김정훈 경기연구원 전략정책부장 “코로나19 전염 공포가 경제위기로 전이되는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사회・경제활동 심리 악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과감한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고용안정 정책을 최우선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부장은 이어 “이번 위기극복을 통해 인구구조 변화 대응, 산업・노동구조 재편, 디지털 경제 발전, 사회・경제적 양극화 완화 등 새로운 사회・경제 패러다임 형성을 위한 대전환의 계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