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공공건물 내진율 67.2%…전년 대비 4.9%P 상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국 공공건축물과 도로 등 공공시설물의 내진율이 67.2%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말 기준 공공시설물 18만8천880곳 가운데 12만6천994곳에서 내진 성능이 갖춰져 내진율이 이같이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공공시설물 내진율은 2018년 말 62.3%에서 4.9%포인트 올라갔다.
정부는 기관별로 소관 시설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하는 내진보강대책을 매년 수립·추진하고 있다.
작년에는 20종 약 8천800곳의 공공시설물에 8천722억원을 투입해 공공건축물 3천805건, 학교시설 3천83건, 도로시설 806건 등에서 내진 성능을 확보했다.
행안부는 "내진보강 예산투자 규모가 포항지진 이후 5년(2011∼2016년) 평균과 비교할 때 2017년 4.02배, 2018년 5.69배, 2019년 6.02배 등으로 증가하면서 내진 성능 확보 건수가 늘어났고 내진율도 높아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체 33종 공공시설물 가운데 고속철도, 다목적댐, 송유관, 원자로 및 관계시설, 리프트, 압력용기 등 모두 6종은 내진율 100%를 달성했다.
도시철도(99.7%), 전력시설(99.0%), 크레인(97.7%), 가스공급·액화석유가스저장시설(97.5%), 석유 정제·비축 및 저장시설(96.8%), 공동구(88.9%) 등 10종은 내진율 80% 이상을 확보했다.
이에 비해 유기시설(놀이시설)은 내진율이 6.3%에 그쳤고 학교시설(49.0%), 전기통신설비(52.4%), 폐기물 매립시설(55.7%) 등의 내진율은 60% 이하에 머물렀다.
한편 행안부는 2단계 공공시설물 내진보강 기본계획(2016∼2020년)이 올해로 마무리됨에 따라 현재까지 사업 결과를 토대로 2021∼2025년 추진할 3단계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3단계 기본계획에는 내진율 저조 시설물, 중요도, 노후도, 규모 등을 고려해 시설물별 내진보강 우선순위를 정하고 시설물 내 핵심 시설을 정해 집중 관리하는 내용을 담는다.
/연합뉴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말 기준 공공시설물 18만8천880곳 가운데 12만6천994곳에서 내진 성능이 갖춰져 내진율이 이같이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공공시설물 내진율은 2018년 말 62.3%에서 4.9%포인트 올라갔다.
정부는 기관별로 소관 시설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하는 내진보강대책을 매년 수립·추진하고 있다.
작년에는 20종 약 8천800곳의 공공시설물에 8천722억원을 투입해 공공건축물 3천805건, 학교시설 3천83건, 도로시설 806건 등에서 내진 성능을 확보했다.
행안부는 "내진보강 예산투자 규모가 포항지진 이후 5년(2011∼2016년) 평균과 비교할 때 2017년 4.02배, 2018년 5.69배, 2019년 6.02배 등으로 증가하면서 내진 성능 확보 건수가 늘어났고 내진율도 높아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체 33종 공공시설물 가운데 고속철도, 다목적댐, 송유관, 원자로 및 관계시설, 리프트, 압력용기 등 모두 6종은 내진율 100%를 달성했다.
도시철도(99.7%), 전력시설(99.0%), 크레인(97.7%), 가스공급·액화석유가스저장시설(97.5%), 석유 정제·비축 및 저장시설(96.8%), 공동구(88.9%) 등 10종은 내진율 80% 이상을 확보했다.
이에 비해 유기시설(놀이시설)은 내진율이 6.3%에 그쳤고 학교시설(49.0%), 전기통신설비(52.4%), 폐기물 매립시설(55.7%) 등의 내진율은 60% 이하에 머물렀다.
한편 행안부는 2단계 공공시설물 내진보강 기본계획(2016∼2020년)이 올해로 마무리됨에 따라 현재까지 사업 결과를 토대로 2021∼2025년 추진할 3단계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3단계 기본계획에는 내진율 저조 시설물, 중요도, 노후도, 규모 등을 고려해 시설물별 내진보강 우선순위를 정하고 시설물 내 핵심 시설을 정해 집중 관리하는 내용을 담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