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혈통' 김여정, '김정은 사망설 불식' 현장서 위상 재확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준공식서 김정은 옆자리 착석…로열패밀리 넘어 정치적 위상 확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각종 이상설(說)이 '가짜뉴스'로 판명된 자리에 참석하며 '백두혈통'의 위상을 재차 과시했다.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이 2일 공개한 순천인비료공장 준공식 행사 사진을 보면 김여정 제1부부장은 앞머리를 내리고 검정 치마정장 복장을 하고 김 위원장의 바로 오른편에 앉았다.
최고지도자가 참석하는 북한의 주요 행사 자리에서는 당 간부들이 통상 비슷한 서열순으로 주석단에 앉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김 제1부부장은 이날 자신보다 당내 공식 서열이 높은 김덕훈 당 부위원장보다도 상석에 앉은 셈이다.
아울러 그가 앉은 자리가 이날 행사에 불참한 '2인자' 최룡해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겸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통상 앉던 자리라는 점도 눈길을 끈다.
그는 또 김 위원장 뒤에 서서 준공테이프 절단용 가위 받침대를 들고 서 있는 등 '오른팔' 역할도 하는 모습이었다.
다만 이런 정황이 김 제1부부장의 당내 공식 직함이나 서열 변화라기 보다는 수많은 인파 앞에서 '백두혈통'으로서의 위상을 과시한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김 제1부부장이 준공식에는 참석했지만, 이후 김 위원장이 공장을 둘러보는 사진에서는 포착되지 않은 채 점도 이런 해석에 무게를 싣는다.
공장 시찰 때는 대부분 당 부위원장급들만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준공식과 행사 성격은 다르지만, 김 위원장은 올해 1월 삼지연극장에서 설 기념공연을 관람할 때도 고모인 김경희 전 노동당 비서와 김 제1부부장을 나란히 대동하며 '살아있는 백두혈통'의 결집을 부각한 바 있다. 실제로 김 제1부부장은 올해 들어 북한 권력 구도에서의 정치적 위상이 점차 확대·강화되는 분위기다.
그는 올해 차관급(제1부부장)으론 이례적으로 본인 명의로 청와대를 향해 막말에 가까운 대남 비난 담화와 대미 담화를 잇따라 내며 '최고지도자의 대변인'이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이어 최근 김 위원장의 군부대 시찰 활동에도 거의 매번 동행하며 로열패밀리라는 상징성을 넘어 아니라 실질적 권력 2인자로서 입지를 굳히고 있다는 평가다.
지난달 11일 열린 노동당 정치국 회의에서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해임된 것으로 추정됐던 정치국 후보위원 지위도 되찾았다.
김 위원장을 둘러싼 사망설까지 나오면서 김 제1부부장의 공식 후계자 가능성까지 일각에서 제기된 것도 결국 이런 배경에서 비롯된 셈이다.
이날 김 위원장의 신변에 아무런 이상이 없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결과적으로 전부 '해프닝'으로 결론났지만, 김 위원장의 공개활동 재개와 함께 김 제1부부장의 수행 횟수도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각종 이상설(說)이 '가짜뉴스'로 판명된 자리에 참석하며 '백두혈통'의 위상을 재차 과시했다.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이 2일 공개한 순천인비료공장 준공식 행사 사진을 보면 김여정 제1부부장은 앞머리를 내리고 검정 치마정장 복장을 하고 김 위원장의 바로 오른편에 앉았다.
최고지도자가 참석하는 북한의 주요 행사 자리에서는 당 간부들이 통상 비슷한 서열순으로 주석단에 앉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김 제1부부장은 이날 자신보다 당내 공식 서열이 높은 김덕훈 당 부위원장보다도 상석에 앉은 셈이다.
아울러 그가 앉은 자리가 이날 행사에 불참한 '2인자' 최룡해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겸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통상 앉던 자리라는 점도 눈길을 끈다.
그는 또 김 위원장 뒤에 서서 준공테이프 절단용 가위 받침대를 들고 서 있는 등 '오른팔' 역할도 하는 모습이었다.
다만 이런 정황이 김 제1부부장의 당내 공식 직함이나 서열 변화라기 보다는 수많은 인파 앞에서 '백두혈통'으로서의 위상을 과시한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김 제1부부장이 준공식에는 참석했지만, 이후 김 위원장이 공장을 둘러보는 사진에서는 포착되지 않은 채 점도 이런 해석에 무게를 싣는다.
공장 시찰 때는 대부분 당 부위원장급들만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준공식과 행사 성격은 다르지만, 김 위원장은 올해 1월 삼지연극장에서 설 기념공연을 관람할 때도 고모인 김경희 전 노동당 비서와 김 제1부부장을 나란히 대동하며 '살아있는 백두혈통'의 결집을 부각한 바 있다. 실제로 김 제1부부장은 올해 들어 북한 권력 구도에서의 정치적 위상이 점차 확대·강화되는 분위기다.
그는 올해 차관급(제1부부장)으론 이례적으로 본인 명의로 청와대를 향해 막말에 가까운 대남 비난 담화와 대미 담화를 잇따라 내며 '최고지도자의 대변인'이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이어 최근 김 위원장의 군부대 시찰 활동에도 거의 매번 동행하며 로열패밀리라는 상징성을 넘어 아니라 실질적 권력 2인자로서 입지를 굳히고 있다는 평가다.
지난달 11일 열린 노동당 정치국 회의에서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해임된 것으로 추정됐던 정치국 후보위원 지위도 되찾았다.
김 위원장을 둘러싼 사망설까지 나오면서 김 제1부부장의 공식 후계자 가능성까지 일각에서 제기된 것도 결국 이런 배경에서 비롯된 셈이다.
이날 김 위원장의 신변에 아무런 이상이 없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결과적으로 전부 '해프닝'으로 결론났지만, 김 위원장의 공개활동 재개와 함께 김 제1부부장의 수행 횟수도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