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실물경제에 암운이 드리웠다. 하지만 미국과 유럽, 중남미 등 세계 각국의 생산활동이 한 달 넘게 올스톱된 것과 비교하면 ‘불행 중 다행’으로 해석할 수 있는 부분들이 눈에 띈다.

74.1% 제조업 가동률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산업활동동향’에 나온 제조업 가동률. 코로나19 사태가 정점을 치닫던 지난 3월에도 제조업 네 곳 중 세 곳은 평상시처럼 돌아갔다. 중국에서 코로나19가 퍼지면서 글로벌 공급망이 멈췄던 2월과 비교하면 오히려 3.4%포인트 올랐다. 이 지표는 기업들이 생산설비를 얼마나 돌리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경기가 좋을 때는 70% 후반대 숫자가 나온다. 경기가 하강기로 접어든 지난해 가동률은 평균 72.9%였다.

-1.2% 올 성장률 전망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달 15일 수정 발표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코로나19의 충격을 감안해 지난해 10월(2.2%)보다 전망치를 3.4%포인트 낮췄다. ‘마이너스’ 전망이 나왔다는 점은 충격적이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선 가장 높다. 일본(-5.2%)과 미국(-5.9%)은 5%대 역성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독일(-7.0%) 프랑스(-7.2%)를 비롯한 유럽 국가들에 대한 전망은 한층 부정적이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내년엔 한국 경제가 5% 이상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특별취재팀>

류시훈 팀장(산업부), 송형석 차장(산업부), 백승현 차장·성수영 기자(경제부), 임도원 차장·임락근 기자(정치부), 안상미 차장·정지은 기자(사회부), 이승우 기자(IT과학부), 김보라 차장(생활경제부), 이지현·김우섭 기자(바이오헬스부), 김희경·은정진 기자(문화부), 최병일 전문기자·이선우 차장(레저스포츠산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