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아프리카 가봉 해역서 해적에 납치당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 "소재파악 안돼"
한국인 선원이 아프리카 서부 가봉 인근 해역에서 피랍됐다. 현재 피랍자의 생사는 물론 납치세력들의 신원도 파악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6일 외교부와 AFP통신에 따르면 한국 국민 1명 등 여러 국적의 선원이 탑승한 어선 2척이 지난 3일(현지시간) 오전 4시 40분께 서아프리카 가봉의 수도 리브르빌 인근 해역에서 해적에 나포됐다. 이 어선은 새우 잡이 조업 중이었다. 가봉 당국과 가까운 한 소식통은 AFP에 "해적이 인도네시아인 3명, 세네갈인 2명, 한국인 1명을 납치했다"고 말했다.
조업 당시 2척의 선박에는 각각 9명의 선원이 탑승해 있었다. 납치세력들은 이들을 모두 한 쪽에 옮겨 태운 뒤 북쪽 방향인 적도기니 코리스코섬 인근까지 이동했다. 이후 18명의 선원 중 한국인 선장 1명을 비롯해 6명만 스피드보트에 옮겨 태워 도주했고, 나머지 12명은 풀려나 리브르빌항으로 돌아왔다. 풀려난 이들은 세네갈인 11명, 마다가스카르인 1명 등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현재로서는 납치세력들의 신원 및 소재 등은 파악되지 않고 있다"며 "정부는 신속한 사태수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즉각 가봉과 프랑스, 미국 등 관련국에 피랍선원 구출을 위한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주가봉대사관도 비상대책반을 구성, 가봉 외교부와 해군 당국을 접촉해 신속한 구조를 요청해놓은 상태다.
최근 가봉 해역을 포함한 기니만에서는 해적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작년 12월에도 리브르빌 인근 해역에서 어선 여러 척이 공격을 받았으며 중국인 선원 4명이 억류되고 가봉인 선장 1명이 살해됐다.
한국인 선원 납치사건은 지난해 11월 18일 예멘 서해상에서 한국인 탑승 선박이 예멘 후티 반군에 나포된 지 5개월여만이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
6일 외교부와 AFP통신에 따르면 한국 국민 1명 등 여러 국적의 선원이 탑승한 어선 2척이 지난 3일(현지시간) 오전 4시 40분께 서아프리카 가봉의 수도 리브르빌 인근 해역에서 해적에 나포됐다. 이 어선은 새우 잡이 조업 중이었다. 가봉 당국과 가까운 한 소식통은 AFP에 "해적이 인도네시아인 3명, 세네갈인 2명, 한국인 1명을 납치했다"고 말했다.
조업 당시 2척의 선박에는 각각 9명의 선원이 탑승해 있었다. 납치세력들은 이들을 모두 한 쪽에 옮겨 태운 뒤 북쪽 방향인 적도기니 코리스코섬 인근까지 이동했다. 이후 18명의 선원 중 한국인 선장 1명을 비롯해 6명만 스피드보트에 옮겨 태워 도주했고, 나머지 12명은 풀려나 리브르빌항으로 돌아왔다. 풀려난 이들은 세네갈인 11명, 마다가스카르인 1명 등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현재로서는 납치세력들의 신원 및 소재 등은 파악되지 않고 있다"며 "정부는 신속한 사태수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즉각 가봉과 프랑스, 미국 등 관련국에 피랍선원 구출을 위한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주가봉대사관도 비상대책반을 구성, 가봉 외교부와 해군 당국을 접촉해 신속한 구조를 요청해놓은 상태다.
최근 가봉 해역을 포함한 기니만에서는 해적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작년 12월에도 리브르빌 인근 해역에서 어선 여러 척이 공격을 받았으며 중국인 선원 4명이 억류되고 가봉인 선장 1명이 살해됐다.
한국인 선원 납치사건은 지난해 11월 18일 예멘 서해상에서 한국인 탑승 선박이 예멘 후티 반군에 나포된 지 5개월여만이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