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테크밸리 2단계 일반산단도 1년 이상 조기 조성
울산형 뉴딜…성안소각장 1·2호 재건립 1년 앞당겨 착공
울산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극복을 위한 '울산형 뉴딜' 세부 사업과 관련해 성암소각장 1·2호기 재건립과 하이테크밸리 일반산업단지 2단계 조성 사업을 1년 이상 신속히 완공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이들 사업도 울산형 뉴딜사업 실무 TF 숙의 과정과 이해관계자 등과 논의를 거쳤다.

성암소각장 1·2호기 재건립 사업은 2000년 5월 설치된 이래 내구연한 15년을 지나 20년째 가동 중인 성암소각장 소각로 1·2호기를 증설하는 것이다.

사업비 1천905억원을 투입해 지역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전량 소각할 수 있도록
소각용량을 400t에서 500t으로 늘리는 사업이다.

올해는 예비타당성 면제, 투자심사 등 행정 절차를 마무리하고 2021년 47억원을 들여 환경영향평가와 기본 및 실시설계를 끝낸다는 계획이다.

2022년 착공하고, 2025년까지 연간 460억원씩 투입해 본격적으로 공사한다.

시는 예타 조사와 투자심사를 동시에 추진해 사전절차 이행 기간을 줄이고, 설계와 시공의 일괄 입찰(턴키) 계약으로 예정보다 1년 앞당겨 착공한다는 것이다.

소각장이 재건립되면 지역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모두 안정적으로 소각할 수 있어 매립장 조성 비용 300억원을 절감할 수 있다.

미세먼지를 비롯한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저감시키는 최적 기술을 적용해 대기환경 개선으로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시는 기대한다.

송철호 시장은 "소각 폐열을 활용한 에너지 사업도 확대해 연간 160억원, 20년간 3천200억원에 이르는 시 세입 증대, 4천700여 명 고용유발 효과, 4천300억원 경제유발 효과도 기대한다"고 말했다.

울산형 뉴딜…성안소각장 1·2호 재건립 1년 앞당겨 착공
하이테크밸리 산단 2단계 사업도 조기 추진한다.

이는 울주군 삼남면 일대에 2023년까지 1천318억원을 들여 미래 신산업에 특화된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기업 맞춤형 특화산단을 조기에 개발해 기업 입주 공간을 적기에 제공하고, 2차 전지와 ESS(에너지 저장 장치), 첨단소재, 수소 산업 등 신산업과 강소기업을 유치하고, 지속적인 투자유치와 고용 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당초 내년 예정한 부지 보상 절차를 올해 4월 보상계획 공고로 일찌감치 시작했고, 사업 기간 역시 1년 이상 단축하기로 했다.

시는 이 산단을 경제자유구역과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해 산·학·연이 연계한 연구개발 중심 첨단 산단으로 조성하고, 조세 감면과 규제 완화 특례 등 기업하기 좋은 여건을 만들어 미래 신산업 기업을 유치하기로 했다.

시는 하이테크밸리 산단(1·2단계) 조성으로 4천600명 고용유발 효과, 4천200억원 생산유발 효과가 생길 것으로 분석했다.

송 시장은 "생활 방역체제 전환과 함께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되면 내수가 본격적으로 살아날 것"이라며 "울산시가 준비한 울산형 뉴딜 사업도 지역경제를 살리는 기폭제가 되도록 제반 절차와 착수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